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obilizing Community Assets in Tikapur, Nepal

        Shin, Sun-Young(신선영),Han, Sang-Il(한상일),Chung, So-Yoon(정소윤)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4 남아시아연구 Vol.20 No.2

        남아시아의 내륙국가 네팔은 200 년 왕정에서 민주주의 정치체제로 이행하였다. 민주주의로의 이행 이후 네팔의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빈곤, 실업, 보건의료서비스의 부족, 낮은 교육수준 등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과정에서 국제기구 및 국제 NGO 등과의 협력 하에 하향식 개발 사업을 진행하였다. 그러나 최근 들어 지역사회가 상향식 경제 및 사회발전에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하며 그 과정에서 인적자원과 공공기관, 공공장소 등의 지역자산을 동원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접근은 자산기반지역 동체개발(Asset-based Community Development)로 불리며 1990 년대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발전해왔으나 최근 개발도상 가에서도 적용가능 하다는 주장이 확산되고 있다. 이 논문은 지역 공동체 내의 인적자원과 공공자원 등 지역자산을 활용한 지역공동체 발전모형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이 연구를 통해 자산기반 지역공동체 개발관점에서 지역에 속한 인력, 기관, 장소 등 다양한 자산의 활용여부를 진단하였다. 특히 인구사회학적 집단 별로 지역자산의 활용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여 향후 지역자산 동원을 극대화하기 위한 교훈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저자들은 현지에서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통계분석을 통해 띠까뿔 지역의 지역자산 활용 정도를 파악하고 집단 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띠까뿔 지역에서 지역자산은 충분히 활용되고 있지 않지만 은행, 협동조합 등의 기관의 활용도는 집단에 따라서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띠까뿔 지역의 지역자산 활용도 극대화 방안과 지속 가능한 미래의 지역발전모델을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in Nepal have grappled with problems of poverty, unemployment, lack of health care, inadequate food supplies and substandar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response to these intense problems, national development agendas have tended to experiment with various top-down plans in cooperation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ikapur, the most well-planned city in western Nepal, has become the site of several development projects following such top-down approach. Recently, however, local and regional communities have been asked to play a frontline role in mobilizing human resource, public institutions, and space assets to help establish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initiatives from the bottom-up. This "Asset-based community development" approach emphasizes that development depends on finding and mobilizing hidden and under-utilized capabilities and assets already on the ground to discover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paper argues that this approach is applicable to the developing countries due to their significantly larger proportion of underdeveloped places and institutions. In this sense, the authors analyze the degree of utilization of local asse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asset utilization based on empirical data collected in the Tikapur region of Nepal. The findings reveal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utilization of community assets such as bank and cooperative, and income group. Based on the findings from a questionnaire survey, this paper offers recommendations for greater sustainable community development in Nepal.

      • KCI등재

        원주시 사회적 경제의 집단화 전략

        이보경 ( Bo Kyeong Lee ),한상일 ( Sang Il Han ),정소윤 ( So Yoon Chung ) 한국협동조합학회 2014 韓國協同組合硏究 Vol.32 No.3

        이 논문은 집단화 전략의 관점에서 사회적 기업과 협동조합을 중심으로 구성되는 원주시 사회적경제의 협력관계를 설명한 사례연구이다. 공동체생태학의 개념을 설명한 Astley & Fombrun (1983)은 집단화 전략을 “조직의 집단 속에서의 공동의 자원동원 및 공동의 행동방식”(Astley and Fombrun, 1983, 578) 이라고 설명한다. 이들은 집단화 전략이 조직이 속한 공동체의 발전단계별로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면서 발전에 기여한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원주시 사회적 경제의 다양한 협력적 전략은 다양한 사회적 혁신을 가능하게 했으며 조직의 수익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따라서 저자들은 사회적 경제의 발전과정에서 지역사회 안팎의 문제를 극복하고 다음 발전 단계로 나아가는데 각기 다른 집단화전략이 사용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은 다음의 순서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째, 집단화 전략과 도시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개념화를 시도했으며, 둘째, 원주시 사회적경제의 발전을 개관하였다. 셋째, 원주시 사회적경제 발전의 단계별로 주요 행위자들이 다양한 자원과 역량을 공유했던 집단화 전략의 변화를 사례연구 했고, 마지막으로 이해관계자들이 공통의 비전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협력적 전략이 사용되었는지 검토하였다. This paper reports on a case study of the collaborative actions that have been implemented by the Wonju social economy involving social enterprises, cooperatives, nonprofit organizations, and local government through a collective strategy framework. Astley and Fombrun (1983) posit that collective strategy refers to “the joint mobilization of resources and formulations of actions within collectivities of organizations” (Astley and Fombrun, 1983, 578). Wonju’s collective strategies involving various community organizations have brought about significant social innovation and, in turn, promoted organizational profitability and community sustainability. Adopting Astley and Fombrun’s (1983) perspective, the authors attempt to demonstrate that different collective strategies are employed to address emerging community problems and advance into the next stages of the developmental process. This paper considers the topic in four sections: a conceptualization of collective strategy and sustainability in an urban area; an overview of Wonju’s social economy; a case study of how different resources and competencies from various key players were combined and shared in Wonju’s social economy; and, finally, conclusions that highlight how collective strategies can be used to develop a common and unified vision among stakehol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