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동제복식의 유형과 변화양상 -호남지역 동제의 제관복을 중심으로-

        정명철 ( Myeong Cheol Jeong ) 남도민속학회 2008 남도민속연구 Vol.17 No.-

        본고는 동제가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는 마을에서 제관이 제의에 참례할 때 착용하는 동제복식의 유형과 변화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제관들의 겉옷을 중심으로 도포형, 두루마기형, 일상복형, 복합형으로 분류하였다. 제관복식 착용사례를 유형별로 살펴보면 일상복형이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 47개마을 중 일상복형이 18개 마을로 38%였으며, 도포형이 14개 마을로 30%, 두루마기형이 7개 마을로 15%, 복합형이 8개 마을로 17%였다. 이러한 현상은 대체로 유교식 제의 형태가 축소되거나 약화되면서 일상복을 착용하는 마을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동제복식의 변화양상은 조선 중기 이후의 문헌자료와 현재 종가에서 보관하고 있거나 제사에 착용하는 제례복식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조선 중기 이후에는 심의와 도포가 동제복식으로 이용되다가 갑신의복개혁령 이후 도포와 두루마기가 동제복식으로 일반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동제의 구성요소가 축소되거나 약화되는 경향과 무관하지 않으며, 근래에 들어와 간편한 일상복을 착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도포나 두루마기가 일상생활에서 거의 사라지게 되면서 동제에서도 따로 복식을 갖추지 않고 평상복을 착용하게 되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I examined a pattern and a change aspect of clothing in village sacrificial rites which an officiating priest weared the a ceremonial dress for attending a ceremony where a village was handed down village sacrificial rites in now. For the first time, I classified outer garments of priest by Topo-type, Tooloomagi-type, an everyday cloth-type, a complex-type. The everyday cloth-type was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on the wearing examples of an officiating priest clothing pattern to examine. The everyday cloth-type takes 18 villages in 47 villages of object of investigation, rates 38%. Topo-type gets 14 villages, rates 30%, The Tooloomagi-type takes 7 villages, rates 15%, The complex-type gets 8 villages, rates 17%. We understanded that the village was on the increase to wear a every day-cloth through such a phenomenon, as Confucian sacrificial rituals form was on the decrease. I examined a change aspect clothing in village sacrificial rites through sacrificial rituals-clothing that was appeared at documents material since the middle of the Choson dynasty and was in Jong-ja’s safekeeping, and was weared in a memorial service. Since the middle of the Choson dynasty, Simeui and Topo had changed to Topo and Tooloomagj that was generalized as a village sacrificial rituals clothing after the clothing-reformation decree of Kabsin This change was be connected with a reduction and weakening of a village sacrificial rituals-component. And then, lately, we cloud confirm example of a everyday cloth to increase. And we cloud verify as Topo and Tooloomaji nearly have been disappeared in everyday life, they didn``t get a complete suite of a ceremonial dress but to wear a everyday cloth.

      • KCI등재

        지역 설화를 활용한 공간스토리텔링 연구 -영광 불갑산 상사화테마파크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정명철 ( Myeong Cheol Jeong ),김미희 ( Mi Heui Kim ),이은미 ( Eun Mi Lee ) 남도민속학회 2012 남도민속연구 Vol.25 No.-

        영광 불갑산은 한국 최대의 상사화 군락지다. 해마다 9월 중순이 되면 무려 165만㎡의 붉은 융단이 불갑산을 수놓는다. 그곳에 이룰 수 없는 사랑의 이야기가 더해진다. 한 뿌리에서 나왔으면서도 꽃과 잎이 서로 만나지 못해 더욱 애절해지는 이야기다. 상사화 테마파크의 기본원리는 방문자의 기억과 공간 체험의 상호작용에 있다. 불갑산을 찾아온 방문자가 온통 붉은 빛으로 물든 상사화의 물결을 보면서 어느 젊은 스님의 애절한 사랑이야기를 기억하고, 한발 한발 발걸음을 옮기면서 자신의 이야기를 만들어나갈 수 있게 공간을 배치하고 구축해야 하는 것이다. 이야기에도 서사적 구조가 있듯이, 탐방로에도 일정한 서사적 구조가 있어야 한다. 공간스토리텔링의 이야기 구조는 테마에 사용되는 설화, 동화, 우화 등을 시간적, 논리적, 인과적 질서에 따라 재배열하고 재구성함으로써 얻어지는 이야기들이 소재가 된다. 공간의 기획자들은 그 사건들을 플롯으로 만들어 공간을 배치한다. 이때 공간배치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가 동선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는 상사화 군락지로서 불갑산에 내재된 공간성에 대한 이해와 함께 스토리텔링이 발생하는 영역을 테마파크라는 플랫폼에 맞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공간에도 메시지를 전달하는 화자가 있어야 하고, 사건이 발생하고 시간이 재현되어야 한다. 또한 장소이동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동을 극대화시키는 동선 전략이 필요하다. 스토리를 일정한 순서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방문자로 하여금 몰입과 카타르시스를 체험하게 하는 것이 공간스토리텔링이기 때문이다. 지역 설화를 활용한 공간스토리텔링은 결국 지역의 고유한 이야기 발굴, 이야기 체험, 이야기 공유의 과정을 거쳐 완성되며, 이야기와 체험공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방문자에게 감동과 즐거움을 안겨줄 수 있다. 지역의 설화와 장소자산을 결합한 공간스토리텔링은 지역민에게 사회적 연대감과 자부심을 형성하게 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Bulgapsan located in Yeonggwang-gun is the greatest collective habitat of Sangsahwa(Scientific name: Lycoris squamigera). At mid-September every year,Bulgapsan turns to red as if 1,650,000㎡ red carpet covers the mountain. Because Sangsahwa implies hopeless love story due to it’s appearance that flowers and leaves cannot meet despite these are derived from same root, the blooming of Sangsahwa inspires visitors with mournful love story. Based on this background, the principle of Sangsahwa theme park focuses on the interaction between memories of visitor and spatial experience in the park. Namely,by applying the nature of storytelling such as mutuality of “telling” and onsite performance, theme park encourage visitors to remind the sad love story of young monk from red stream of Sangsahwa. As folktales have narrative structures, an exploration route have narrative structures likewise. The structure of spatial storytelling is made up of stories which is rearranged and resigned in accordance with order of timing, logical, causal of folktales, fairytales,fables etc. using theme. A space planner arrange space a plot. At this ‘point composition of exploration rout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of theme park,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patial organization for storytelling. Particularly, an important element of the construction would be fitting the combination of geographical feature of bulgapsan and spatial frame of storytelling into the boundary of theme park. Therefore, design of visitor traffic flows in the park should consider the location of storyteller, sequence of event,continuity and causality of story, and usage of space for efficient delivery of story. Particularly, arrangement of spatial storytelling should lead visitors to be falling in the experiential flow on the way of walking in theme park. Spatial storytelling based on local folktales could be achieved through exploring of unique local story, sharing the story among people, and creating proper interaction between context of story and spatial experience. This effort of spatial storytelling would provide visitors with excitement and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spatial storytelling based on the combination of folktales and place could encourage the pride and attachment of resident toward their hometown as well as it contribute to their economic vitalizations.

      • KCI등재후보

        농촌마을 민속지식 발굴과 활용의 실제

        정명철(Jeong, Myeong-cheol),유수영(You, Su-young)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5 民俗硏究 Vol.0 No.31

        이 글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시험연구사업을 기록한 ‘연구노트’를 토대로 작성한 것으로, 연구 대상 마을 선정에서부터 조사 방법, 조사 내용, 연구 결과 도출, 현장 적용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가능한 범위에서 상세하게 보여주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국가연구기관에서 수행하고 있는 ‘농촌마을 민속지식의 발굴과 활용’ 관련 연구 과제를 공유하고 함께 논의하는 계기로 삼고자 하였다. 논의를 집중하기 위해 충남 금산군 평촌마을 사례만을 추출하여 정리하였으며, 간간이 연구자가 고민했던 내용을 덧붙여 추후 논의의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평촌마을은 2011년부터 2012년까지 수행한 ‘지역 마케팅을 위한 역사문화자원 스토리텔링 연구’ 과제와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수행한 ‘농촌마을 세시풍속 실태조사 및 활용 콘텐츠 개발’ 과제의 대상 마을이다. 5년 동안 관계를 지속하면서 연구자와 연구대상자 상호간에 ‘친밀감(rapport)’을 형성하고 있으며, 민속지식 발굴에서부터 스토리텔링과 문화콘텐츠 결과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자료를 확인할 수 있는 마을이다. 연구수행 과정에서 민속의 ‘왜곡’과 ‘재창조’, ‘진짜민속’과 ‘가짜민속’, ‘원형’ 보전 등과 관련된 문제들을 맞닥뜨린 마을이라 연구자에게 성찰의 계기가 되기도 했다. 이 글이 연구자에게 채찍질로 되돌아오기를 바란다. The research has been written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note, a part of research projects of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It tried to show in detail a research process ranging from a selection of a study site, research method, survey constructs, results to field applications. It lets the researcher reexamine and supplement the project,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folk knowledge in a rural village” done by 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In order to narrow the research down, it only examined the Pyeongchon village in Chungnam province among some cases surveyed. The challenges the researcher faced and the debates for further studies were added at the end of the research. The Pyeongchon village is the target area where two projects were conducted for five years from 2011 to 2015. One project is about the storytelling of the historical culture resources and the other is about current status and contents development of annual cyclical rituals in rural villages. As the research had lasted for the five years, the researcher could create a close rapport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intimate relationship allowed to draw a plenty of data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folk knowledge, storytelling and cultural contents. It also led the researcher to reflect endless issues such as the ‘distortion vs. re-creation’, ‘authentic folk vs. inauthentic folk’, and ‘preservation of prototype’ which have raised in rural villages. The research is also expected to be a cornerstone to go one step forward as a researcher.

      • 향토상품 디자인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정명철(Myeong-Cheol Jeong),김미희(Mi-Heui Kim),진혜련(Hye-Ryun Jin) 한국농어촌관광학회 2013 농어촌관광연구 Vol.20 No.2

        On this study we have researched subject to local products which is Agricultural Products and Processed Agricultural Products, Local Specialty Products, Tourism Village and Facilities, Regional Festival etc. on the current situation of development of design. Through this processing the problem of using ‘naming’ directly relevant to a product is exposed, the problem of direct description of image of a product and the problem of complexity of design, florid coloring are also coming out in a fact of graphic. With this study we have realized that there would truly need developing of luxury emotional design and establishing of differentiated brand identity to stimulate consumer’s purchasing needs. There also raised the problem of factor of packing design which is selecting packing materials fit on products’ characteristic, standardization, small quantity and simple packing, presenting correct information, using eco-packing materials etc. to impro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