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MZ 잦은 산불과 19년간 토지이용변화 분석 - 2001년~2019년간 연도별 변화 중심으로 -

        정성학(Chung, Bruce Songhak),정건휘(Chung, Geon Hwi),류지연(Ryum Ji Yeon),권경원(Kwon, Kyung Won),이복남(Lee, Bok Nam),박주원(Park, Joo Won) 한국측량학회 2021 한국측량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1 No.11

        길이 248km에 폭이 4km인 것으로 알려진 비무장지대(DMZ)에서 남북 양측 모두 정전협정을 위반하고 DMZ 안으로 좁혀 들어가 군사시설을 설치한 것과 과거 봄철 대형 산불(6곳)이 발생하여 자연이 훼손된 실태 등을 구글어스 영상에서 확인하였다. DMZ의 자연자원은 세계적인 생태계 보고(寶庫)로 발굴·보존하려는 관심이 국내외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반면, 봄철에 주로 발생하는 잦은 산불과 때로 대형 산불로 자연 식생 및 동식물 생태계가 위협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MODIS Land Cover 자료를 이용하여 지난 19년간 이 지역 토지이용변화를 남북 양측 DMZ 구간으로 나누어서 연도별로 자세히 살펴보았다. DMZ 토지이용 면적은 산림과 초지가 전체 90% 이상을 차지하고, 변화분석 결과는 관목림 등이 주로 산불피해를 입고 줄어들면서 잡풀의 초지로 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초지는 19년간 연간 0.6%씩 지속 증가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DMZ 봄철 잦은 산불이 남북 양측 군인에 의해 의도적으로 자행되는 사계청소에 의한 것이라면, 대형 산불로 번지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 및 관리가 필요하다. 한편, 육상 식생은 일부 훼손이 불가피해 보인 반면, 강하천 수생 생태계는 산불의 영향을 적게 받고 그나마 보존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