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새만금유역의 농업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연구

        장정렬 ( Jeongryeol Jang ),엄한용 ( Hanyong Um ),박형민 ( Hyeongmin Park ),김재현 ( Jaehyeon Kim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새만금 유역은 넓은 농경지를 포함하고 있어 점오염원 처리기술 뿐 만 아니라 체계적인 농업비점오염 저감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개발된 저감기술의 실행은 최종적으로 농업인의 참여가 필연적이다. 하지만, 농업비점오염 관리를 위해 농업인의 참여나 이를 지원하는 행정기관이나 관계기관, 전문가의 참여를 위한 제도적 방안이 새만금유역에는 마련되지 못한 실정이다. 거버넌스(governance)는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 시민사회단체, 기업 등이 참여하는 협력적 매커니즘이다. 이해당사자들이 참여와 파트너십을 통해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거버넌스는 다양한 공공부문에서 활용되고 있다. 정부(government)는 공식적인 권위에 근거한 활동을 지칭하는 반면, 거버넌스는 공유된 목적에 의해 일어나는 활동을 의미한다. 거버넌스는 초기에는 통치로서 정의되어 졌지만, 현대에 들어와 그 의미가 ‘협치’란 개념으로 받아들여지면서‘통치’와 ‘자치’의 종합적 관계 속에 놓여있다고 볼 수 있다. 정부부문이 통치기능을 전유한 상태에 가까운 것을 ‘공적 거버넌스(public governance)’라 할 수 있고, 시민사회와 협조적인 통치관계를 형성한 상태를‘사회적 거버넌스(social governance)’라 할 수 있다. 새만금유역에서는 현시점에서 공적거버넌스의 강화가 필요하여 공공에 중심을 둔 거버넌스에 시민사회가 결합한 방식이 현실적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새만금유역에서 농업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해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여 논의 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새만금유역 특성에 적합한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새만금 유역은 행정구역 단위로 단절되어진 것이 아닌 유역 단위에서의 협력적인 거버넌스가 구축될 필요가 있다. 또한 수평적와 수직적 체계를 결한 다층적 거버넌스 체계의 필요성에 따라서, 수평적 참여마을단위의 소유역 거버넌스로 이루어지는 시·군단위의 중유역 거버넌스와 이를 아우러는 도 단위에서의 대유역 거버넌스의 수직적 거버넌스와 이를 지원하는 중간지원조직의 다층적 거버넌스 체계로 구축하였다. 대유역단위 거버넌스에서는 다양한 주체의 참여로 이루어지며 전체 거버넌스의 운영 및 기획을 위한 포럼 형태의 “새만금농업비점포럼”으로 하였다. 소유역 참여단위와 지방자치단체의 협력적인 파트너십 구축을 위해 지자체단위의 “협의회”를 구성하여 중유역단위에서의 거버넌스를 구축하도록 하였다. 소유역의 참여단위 거버넌스에서는 행정리 단위에서의 참여를 유도하고 농업비점오염의 저감 및 관리의 필요성 인식과 기술 보급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스스로 농업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활동을 추진할 수 있도록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적용한다. 이러한 새만금유역 농업비점오염관리를 거버넌스를 통합적인 명칭으로서 “새만금농수로네트워크”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저수지 내 유입부 침강지의 수질정화 효율

        장정렬 ( Jeong Ryeol Jang ),최선화 ( Sun Hwa Choi ),권순국 ( Soon Kuk Kwun ) 한국물환경학회 2004 한국물환경학회지 Vol.20 No.5

        A sedimentation basin (SB) at the inlet of an irrigation reservoir which was constructed using an auxiliary dam was monitored to evaluate its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Water sampling at three points, i.e., inflow stream,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reservoir, were taken 5 times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SB in 1999 and 2003, respectively. No significant water quality variations in inflow stream were observed during these periods. The COD, T-N, T-P and SS removal efficiencies were 38, 24, 35 and 49%,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ose removal efficiencie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rainy season and COD removal efficiency, especially, was higher than others studies. The scale of SB in this study was rational as aspects of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and hydraulic detention time. And it is recommended that SB, at inlet of an reservoir, should be constructed as completely separated structure from reservoir water body and having SAR Index from 0.7% to 1.0%.

      • 새만금유역 농촌마을에서 농업 비점오염관리 주민 교육 효과

        장정렬 ( Jeongryeol Jang ),홍상원 ( Sanwon Hong ),엄한용 ( Hanyoun Um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농업 비점오염원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통합수자원관리(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WRM)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주장이 강조되고 있다. 통합수자원관리는 물리적·기술적 접근만이 아니라 사회·경제·문화적 접근이 병행되어야 한다. 특히, 농경지에서 배출되는 비점오염원은 관리대상 면적이 넓어 비점오염 배출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사전예방적 차원에서 접근이 필요하다. 그러나 비점오염에 대한 농업인과 주민들의 인식 부족으로 관련 대책의 보급과 확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인, 주민, 마을지도자를 대상으로 자발적 비점오염 저감활동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새만금유역의 전형적인 농촌마을을 연구대상지구로 선정하여 농업 비점오염관리 역량강화 교육을 2년간 진행하였다. 2년 동안 진행한 결과, 교육 대상자들은 소극적 참여에서 적극적인 활동 참여로 발전하였으며 비점오염원에 대한 인식 및 생활 비점오염관리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전반적으로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 비점오염 보다는 생활 비점오염에 대한 인지 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생활 비점오염 보다 농업 비점오염에 대한 인식변화에는 장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농업비점에 대한 인식변화가 실천까지 이루어지는 가시적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장기간 프로그램이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농촌지역에서 주민 참여형 비점오염관리 역량강화에 적용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운영기간은 3차년으로서 1차년도 소통, 2차년도 변화, 3차년도 실천 단계로 구성하였다. 각 단계별로 마을리더 워크숍과 주민교육, 농업인 교육이 각각 진행되도록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중간지원조직 또는 지역사회단체에서 농업비점오염 역량강화 프로그램 운영 참고 할 수 있는 농업 비점오염관리 주민역량 강화 교육프로그램 운영 매뉴얼을 제작하였다. 본 매뉴얼은 앞으로 농촌지역에서 농업비점오염 관리를 위한 주민 역량강화에 도움이 될 것이며, 현장에서 운영 과정을 통한 보완과 개선이 필요하다.

      • 농업비점오염 관리를 위한 인적역량강화 교육 효과

        장정렬 ( Jeongryeol Jang ),엄한용 ( Hanyong Um ),정민철 ( Minchul Joung ),김보국 ( Boguk Kim )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새만금 유역은 넓은 농경지를 포함하고 있어 점오염원 처리기술 뿐 만 아니라 체계적인 농업비점오염 저감기술(BMP)의 개발이 요구된다. 개발된 저감기술의 실행은 최종적으로 농업인의 참여가 필연적이다. 하지만, 농업비점오염에 대한 일반인과 농업인의 인식도가 매우 낮아 관련 저감기술 개발과 보급, 농업인 참여의 필요성이 정책과 제도에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고자 새만금유역에서 농업인과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6개 농촌마을(122명), 그리고 귀농귀촌인과 친환경농업인(21명)을 대상으로 2014년에 각각 농업비점오염 관리에 대한 인적역량강화교육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마을환경의 가장 큰 원인을 생활쓰레기(42.7%), 생활하수(30.1%), 가축분뇨(6.7%)로 답하였고 비점오염원에 대한 인지도는 모른다가 73.0%로 여전히 높게 나타났다. 환경교육에 대해서는 교육참석자 중에서 63.8%, 교육불참자 중에서는 42.1%가 지속적으로 환경교육에 대한 관심을 나타내었다. 환경교육 참석자 중에서 89.9%가 교육미참석자에게 참석을 권유할 의사를 보였고, 교육 미참석자 중에서도 86.8%는 향후 교육참여 의사를 나타내었다. 교육참석자가 비참여자에게 교육참석 권유 이유로서는 새로운 정보 획득(45.6%), 환경보호의 관심과 실천의지가 높아짐(27.8%), 주민간 유대감과 친밀도 향상(26.6%)로 응답하였다. 한편, 친환경농업인과 귀농귀촌인에 대한 조사에서는 농업비점오염에 대한 인지도는 교육전 38.1%에서 교육 후 100%로 개선되었고, 교육 참여자의 84.5%는 교육 이수후에 농업비점을 오염원으로 인식하였다. 농업비점오염 관리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5.0기준으로 4.07점, 농업비점오염 관리가 수질개선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3.86점으로 응답하였다. 저감기법에 대해서 직접 실행 의사는 3.4점, 주위 권유 의사는 3.5점으로 나타났다. 저감기법의 실행이 어렵다로 응답한 이유는 복잡하다, 귀쟎다, 추가비용발생, 저감효과의문으로 응답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마을 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환경교육은 비점오염에 대한 인식도개선에 큰 효과가 있었고 이러한 교육을 통한 주민간 친밀감과 유대강화 등의 간접적인 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농업인과 귀농귀촌인을 대상으로 하는 농업비점오염 교육은 인식도 개선에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감기법의 직접 실행의가 낮은 점과 그 이유에 대한 응답결과는 향후 저감기법 개발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농촌유역 비점오염원처리를 위한 적정 인공습지 규모결정에 관한 연구

        장정렬 ( Jang Jeong Ryeol ),박종민 ( Park Jong Min ),권순국 ( Kwun Soon Kuk ),윤경섭 ( Yoon Kyeong Sup ) 한국농공학회 200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0 No.-

        Several studies on development of water quality treatment systems by wetlands are on going because of their benefits of low construction cost and high efficiency of waste water treatmen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review the necessary contents of survey and design factors for constructing constructed wetlands and to examine the required wetland area to treat non-point source pollution through case studies. The measurement of water quality and quantity in precipitation period is needed to analyse the inflow characteristics of the non-point pollution and to determine the amount of design flow. The design inflow for constructing constructed wetland was determined to the total runoff from 30mm of daily rainfall in the AMC(III) condition of the SCS method and is similar 70% of the annual mean runoff. The natural type wetland system with 0.1m of water depth and 5 hours of detention time was applied. From the results of the case studies, 70% of inflow could be treated and 1∼3% of wetland area of the total basin is needed.

      • 저수지 내 침강지의 유형별 수질정화 효율과 퇴적물 특성 변화

        장정렬 ( Jang Jeong-ryeol ),최선화 ( Choi Sun-hwa ),남귀숙 ( Nam Gui-sook ),권순국 ( Kwun Soon-kuk ) 한국농공학회 200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4 No.-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저수지 내에 체류지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침강지를 준설형, 차수막형, 보조댐형의 3가지 유형으로 조성하여 COD, T-N, T-P, SS에 대한 수질정화효율과 침강지 조성 전후의 퇴적물의 특성변화를 살펴보았다. 침강지의 정화효율은 수질항목 및 조사시기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조사항목 평균으로 각각 준설형 18%, 차수막형 11%, 보조댐형 42%순으로 보조댐형이 높게 나타났고 이러한 경향은 우기에는 더욱 높았다. 보조댐형 침강지는 조성 후 퇴적물의 토성변화가 있었고 특히, Silt 성분의 침강효과가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현재 1,221개소의 농업용 저수지에 대한 중장기 준설계획이 수립된 바, 준설 시에 유입부를 깊게 준설하고 보조댐을 쌓는 방안을 검토하여 당초 목적한 수자원확보 뿐 만 아니라 저수지 수질관리와 사후 준설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의 검토가 필요하다. 앞으로 침강지 내 퇴적물이 침강지 수질과 정화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합리적인 준설구기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ree types of sedimentation basin(SB), ie., dredging, shield skirt and auxiliary dam, were constructed at the inlets of two irrigation reservoirs and were monitored to evaluate their pollutant removal efficiencies for COD, T-N, T-P, and SS. Removal efficiencies were varied wide ranges from -87.3 to 92.2 % with times and the kind of pollutants. Regression of Concentration(ROC) method was introduced to evaluate the long-term average removal efficiencies. The overall ROC efficiencies of dredging, shield skirt and auxiliary dam were 18%, 11% and 42%, respectively, and those removal efficiencie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rainy season. The auxiliary dam type was more effective than others to trap efficiency. It is recommended that SB, at the inlet of an reservoir, would be constructed as completely separated structure from the water body of reservoir.

      • 저수지내 침전지가 수질개선에 미치는 영향

        장정렬 ( Jang Jeong Ryul ),박병흔 ( Park Byung Heun ),권순국 ( Kwun Soon Kuk ) 한국농공학회 199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1999 No.-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assessing the pollutant removal possibilities of sedimentation pool formed by deep dredging of a reservoir inlet. Water quality data were collected in the Masan reservoir, whose inlet has been dredged deep like sedimentation pool.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chemical oxygen demand(COD), toatal nitrogen(T-N) and total phosphorous(T-P) in the deep dredged area were 8.3~28.4mg/ ℓ (COD), 2.0~6.0mg/ ℓ (T-N), 0.17~1.34mg/ ℓ (T-P), which were 3.3% (COD), 30.6%(T-N) and 46.4%(T-P) higher than those of middle part of the reservoir.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sidered the deep dredged area in the inlet of reservoir might play a key role to improve reservoir water q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