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투고 논문 : 『바가바드기따』(Bhagavadgita)의 보편성 -까르마요가(karma-yoga)를 중심으로-

        이거룡 ( Geo Lyong Lee ) 인도철학회 2010 印度哲學 Vol.0 No.29

        이 논문의 목적은 『바가바드기따』가 인도에서 뿐만 아니라 서양과 우리나라에서도 널리 읽히는 근거를 규명하는 것이다. 우선 『기따』가 인도 안에서 계급과 지역을 초월하여 널리 읽힐 수 있는 근거는 무엇보다도 『기따』의 주신(主神)인 끄리슈나(Krsna)가 지닌 보편성에서 찾을 수 있다. 끄리슈나는 아리야(Arya)적인 요소와 토착적인 요소를 동시에 지니며 또한 인도의 유신론전통과 초신론(超神論, super-theism)전통을 동시에 지닌다. 이런 까닭에 끄리슈나는 인도의 모든 사람들에게 거부감이 없는 신일 수 있었으며, 『기따』의 가르침 또한 인도의 모든 대중들에게 의미 있는 메시지로 다가갈 수 있었다. 『기따』의 뿌루숏따마 개념이 궁극적 실재의 인격적 측면과 중성적 형이상학적 실재로서의 측면을 구유(具有)한다는 점에서 보면, 『기따』의 궁극적 실재는 인도뿐만 아니라 동서양의 모든 종교전통이 추구해온 궁극적 실재 개념의 접점으로 평가될 수도 있다. 『기따』가 인도를 넘어 범인류적인 구제의 도를 전하는 고전일 수 있는 근거는 『기따』의 주요 가르침인 까르마요가(행위의 길)에 있다. 까르마요가는 행위 속에서 행위의 초월 또는 행위로 업을 없애는 ‘행위의 기술’이다. 살아있는 한, 행위는 모든 사람이 겪는 보편적인 현상이며, 까르마요가는 지식이나 신에 대한 헌신이 아니라 행위를 통하여 삶의 궁극적 목적에 도달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범인류적인 보편성을 지닌다. 해탈에 이르는 길이라는 점에서 까르마요가는 까르마의 법칙과 상충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으나, 까르마요가는 오히려 까르마의 법칙을 그 전제로 수용하면서 까르마의 초월을 가르친다는 점에서 보다 광범위한 보편성을 지닐 수 있다. The Bhagavadgita (hereafter referred to as the Gita) is perhaps the most famous, and definitely the most widely-read, religious text of ancient India, which is contained in the Bhisma-parva of the Mahabharata, the greatest Sanskrit epic. The Git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exts that define the essence of Hinduism, and all over the world Hindus chant from The Gita during most of their religious ceremonies. Mahatma Gandhi calls it "the universal mother whose door is wide open to anyone who knocks," and further says that "a true votary of the Gita does not know what disappointment is. He ever dwells in with perennial joy and peace that passeth understanding." The Gita deals with metaphysics, religion and ethics, and has been rightly called the `Gospel of Humanity.`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basis of popularity of the Gita in India as well as throughout the world, centering on karma-yoga, one of the most significant messages of the Gita. First of all, we can find out the basis of universal popularity of the Gita lies in the characteristics of Krsna, the most venerated and popular of the incarnations of Lord Visnu. Because Krsna was originally a primitive non-Aryan god and became an avatara of Visnu, he could be acceptable to both Aryans and non-Aryans. Also, as Purusottama, Krsna in the Gita has dual characteristics of Isvara and Brahman, and therefore He is regarded as the meeting pointof personal theism and impersonal monism which are the two mainstream of Indian philosophy. Karmayoga makes the Gita the `Gospel of Humanity.` As the Gita said, "None can ever remain really actionless even for a moment." It is not possible for us to abstain from action. The universe itself depends on actions. Work keeps up the cycle of the universe and it is the duty of every individual to help it. Karmayoga is the way of renunciation in action. The Gita points out that the binding quality of an action does not lie in its mere performance but in the motive or desire that prompts it. Karmayoga is not negation of action, but performance of actions in a detached spirit. Again, karmayoga in the Gita is not opposed to jnanayoga. In fact, the former is possible only when the latter is attained. The Gita represents a unique synthesis of action and knowledge. I also pointed out that because The Gita instructed niskamakarma (desireless action) or karmayoga on the basis of the law of karma it could get the universal populari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아유르베다에서 스로따스(Srotas)의 구조와 기능에 관한 연구

        이거룡(Lee, Geo-Lyong) 한국인도학회 2021 印度硏究 Vol.2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아유르베다(Āyurveda)에서 스로따스(srotas)체계의 구조와 기능을 규명하는 것이다. 현대 서양의학과 비교할 때, 아유르베다의 가장 큰 특징은 인간과 자연에 대한 전일적(全一的, holistic) 접근방식과 유기론적 인체이해라고 할 수 있다. 아유르베다는 인체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서로 연관되어 있다고 볼 뿐만 아니라, ‘세계와 인간의 동일(loka-puruṣa-sāmya)’을 그 으뜸 원리로 삼는다. 중국전통의학의 경락(經絡)체계와 마찬가지로, 스로따스체계는 인체의 모든 구성요소들이 상호유기적인 관련을 가능하게 하는 순환체계일 뿐만 아니라, 또한 그것은 심신통합체로서의 인간이 자연과 상호소통하는 통로이다. 아유르베다에서 스로따스는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 그것은 인체 내의 한 곳에서 다른 한 곳으로 어떤 물질이 드나들고 순환하는 해부학적인 의미의 도관일 뿐만 아니라, 그 안에서 생체전변(pariṇāma)이 일어나는 장소이기도 하다. 아유르베다의 주요 고전들에서는 스로따스의 수(數)와 이름이 구체적으로 언급되지만, 그것은 단지 진단 및 치료와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대표적인 스로따스들을 나타낼 뿐이며, 인체에는 무수히 많은 스로따스들이 있다. 미세한 차원의 아누(aṇu)스로따스는 인체를 구성하는 최소단위(세포)로 이해되기도 한다. 전통적으로 아유르베다에서는 5가지 감각기관 등의 외적인(bahirmukha) 스로따스들보다는 도샤(doṣa)-다뚜(dhātu)-말라(mala)의 이동과 순환이 이루어지는 내적인(antarmukha) 스로따스가 주된 관심의 대상이었으며, 특히 다뚜(신체조직)의 이동과 순환이 이루어지는 스로따스들이 중요시되었다. 이 점에서 스로따스는 하타요가(haṭha-yoga)의 나디(nāḍī, 기도(氣道))와는 다른 순환체계로 이해된다. 아유르베다에서는 마음(manas)이나 심리적 요소(saṃjñā)들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마노바하스로따스(manovahasrotas)가 인정된다. 이것은 도샤-다뚜와 마찬가지로 마음도 쁘라끄리띠(prakṛti, 근본물질)의 산물로 보기 때문이다. 스로따스체계는 해부학적-구조적인 측면과 생리학적-기능적인 측면을 동시에 지닌다는 점에서 중국전통의학의 경락체계나 서양 현대생리학의 순환계, 즉 혈관계나 림프계와 다르다.

      • KCI등재
      • KCI등재

        아유르베다에서 아그니(Agni)의 의미에 대한 고찰

        이거룡(Lee, Geo-Lyong)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6 남아시아연구 Vol.22 No.2

        아유르베다(Āyurveda)는 고대로부터 이어져 내려온 인도의 전통의학이며, 그 주요 목적은 질병을 치료하고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다. 아유르베다는 단순히 육체적인 무병장수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육체와 영혼의 완전한 건강(mokṣa)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근현대를 통하여 형성되어온 건강관의 결론을 포함하고 있다. 아유르베다 인체론은 뉴턴물리학에 토대를 둔 기계론적 인간관과 다르다. 그것은 인체를 단지 시간과 공간에 단순 정위된 물질로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연속적인 "흐름" 또는 "과정"(process)으로 파악한다. 이와 같은 인체 이해는 세계의 구성요소로서 물질적 입자를 끊임없이 변화하는 파동으로 구성된 과정으로 이해하는 양자역학의 입장과 서로 통한다. 아유르베다에 따르면, 인체의 각 구성요소가 끊임없는 과정으로 동적인 항상성을 유지하게 하는 것은 아그니(agni, 소화의 불)이다. 이런 점에서 아그니는 아유르베다 의학체계의 핵심개념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그니는 건강(svāthya)의 핵심이다. 아그니는 모든 생명체의 뿌리(mūla)이며 가장 중요한 지탱 요소이다. 아유르베다 의학의 핵심분야인 내과의학(kāya-cikitsā)이 아그니의 유지와 동일시된다는 것은 아유르베다에서 아그니의 중요성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본 논문의 목적은 아유르베다에서 아그니의 의미를 규명하는 것이다. 요가, 미용, 한의학, 심리치료 등과 관련하여 이미 국내에서도 아유르베다의 여러 요법들과 기전이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럼에도 아직 아유르베다의 아그니 개념에 대한 상세하고 체계적인 고찰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아유르베다 의학체계에서 아그니개념이 형성되는 과정을 역사적인 관점에서 살펴본 후에, 아유르베다에서 아그니의 의미를 규명하고자 한다. 제2장에서는 베다(Veda)문헌과 육파철학(六派哲學, saḍdarśana)에서 아그니 개념이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여기서는 주로 『리그베다』(Ṛg-veda)의 아그니신이 지니는 상징적, 물리적 의미, 상키야(Sāṃkhya)와 바이세쉬까(Vaiṣeśika)에서 아그니개념의 형성과정과 그 의미를 고찰한다. 제3장에서는 아유르베다의 주요 경전인 『짜라까상히따』(Caraka-saṃhitā), 『수슈루따상히따』(Suśuruta-saṃhitā), 『아슈땅가흐리다얌』(Aṣṭāṅga Hṛdayam)에 나타난 아그니 개념을 다룬다. 제4장에서는 아유르베다에서 아그니와 관련된 주요 개념들을 고찰함으로써 아유르베다 의학체계에서 아그니개념이 지니는 다양한 차원의 의미를 규명한다. 여기서는 특히 삣따(pitta), 아마(ama), 붓디(buddhi), 소마(soma) 등과 아그니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Āyurveda is a traditional medical science originating from the ancient times in India and is aimed to treat diseases and keep healthy. Āyurveda seeks not only physical health and longevity, but also complete health of body and soul (mokṣa). In this sense, Āyurveda embraces health-views accumulated from the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Āyurvedic understanding of human body is different from mechanistic views of human body based on Newtonian physics. It does not define human body as a material just oriented by time and space, rather as a continuing flow and process. This kind of understanding on human body adopts the same stance as quantum physics to understand material particles as a process made up of constantly changing waves as elements of the world. According to Āyurveda, it is agni that leads each element of human body to preserve dynamic constancy as a changing process. In this regard, it is within bounds to say that agni is a core concept of medical science system of Āyurveda. Agni is an essence of health (svāthya). Agni is a root(mūla) and the most significant supporting factor of all living things. The internal medicine (kāya-cikitsā), a core element of Āyurveda is identical to preserving agni, which directly shows the importance of agni in Āyurved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fine the meaning of agni in Āyurveda. Many kinds of therapy and mechanism of Āyurveda are already being employed in various ways in domestic markets related to yoga, beauty, oriental medicine, psychical cure, etc. Despite this fact, the concept of agni in Āyurveda has not been studied in a detailed and systematic fashion. In this study, first of all, the process of agni"s being developed in the medical system of Āyurveda is reviewed from the historic viewpoint and then the meaning of agni in Āyurveda is defined. In the second chapter, the process of agni"s being developed is examined in Veda and saḍdarśana. Here, the paper looks at the symbolic and physical meaning of the Agni in Ṛg-veda and the process of agni"s being developed and its meaning in Sāṃkhya and Vaiṣeśika. In the third chapter, the paper deals with the concept of agni in Caraka-saṃhitā, Suśuruta-saṃhitā and Aṣṭāṅga Hṛdayam, the major scriptures of Āyurveda. In the fourth chapter, the study defines various meanings of agni concept in the medical system of Āyurveda by examining major concepts, such as pitta, ama, buddhi, soma, etc., related to agni in Āyurveda.

      • KCI등재
      • KCI등재

        인도신화의 양성구유(兩性具有) 이상의 관점에서 본 남성의 여성화 또는 여성의 남성화 문제

        이거룡(Lee, Geo-Lyong)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3 남아시아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힌두교신화의 아르다나리슈와라(Ardhan?r??vara)를 중심으로 양성구유(兩性具有) 이상의 관점에서 우리사회에 진행 중인 남성의 여성화 또는 여성의 남성화 문제를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기원후 1세기 중엽 이래로 아르다나리슈와라는 힌두교 도상(圖像)에서 가장 널리 성행한 모티프 중의 하나였다. 아르다나리슈와라 신상의 왼쪽 반은 여성(P?rvat?), 오른쪽 반은 남성(?iva)으로 표현되며,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수직으로 엄격하게 여성과 남성으로 나누어진다. 아르다나리슈와라는 남성원리와 여성원리의 불가분성과 한 몸 안에 남성성과 여성성이 균등하게 공존하는 양성구유의 이상을 나타낸다. 아르다나리슈와라의 양성구유 이상의 관점에서 볼 때, 우리사회에 진행 중인 남성의 여성화 또는 여성의 남성화는 긍정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성 정체성의 왜곡이라는 부정적인 측면도 지닌다. 우선 그것은 기존의 성(性) 이분법적 사고의 틀을 깨고 한 몸 안에 양성구유의 가능성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인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즉 우리사회의 양성화(兩性化) 경향은 남자의 여성성 또는 여자의 남성성도 장점이 될 수 있다는 새로운 차원의 의식을 수용하고 있는 문화현상으로 평가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진행 중인 남성의 여성화 또는 여성의 남성화는 단지 긍정적인 측면만 지니는 것은 아니다. 첫째, 그것은 지나치게 외적이고 외모 지향적인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문제점을 지닌다. 이에 비하여 아르다나리슈와라에 표현된 양성구유 이상은 외적인 측면보다 내면에 초점이 있다. 즉 한 몸 안에 남성성과 여성성의 조화로운 공존과 이를 통한 완전한 자아실현이다. 아르다나리슈와라의 이상은 여성적 외양이 오버랩되는 남자 또는 남성적 외양이 오버랩되는 여자가 아니라, 한 몸 안에 여성에너지와 남성에너지의 합일을 의미한다. 둘째, 현재 진행중인 남성의 여성화 또는 여성의 남성화는 양성 중 하나 또는 양성 모두의 약화를 통하여 나타나는 양성화이다. 이에 비하여 아르다나리슈와라의 양성구유는 강력하고 현저한 남성성과 여성성이 한 몸 안에 공존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겉으로 나타나는 우리사회의 양성화 경향은 여성의 남성화보다 남성의 여성화가 더욱 광범위하고 현저하게 진행되고 있다. 아르다나리슈와라의 이상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양성화는 양쪽 방향에서 균형적으로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