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기 계몽주의 시대의 이성과 감성: 라모의 음악비극 ≪이폴리트와 아리시≫의 프롤로그에 나오는 디안과 라무르를 중심으로

        유선옥 ( Sunok Ryu ) 한국서양음악이론학회(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20 음악이론포럼 Vol.27 No.2

        본 논문은 초기 계몽주의 이론가이자 작곡가였던 라모가 자신의 첫 음악비극 ≪이폴리트와 아리시≫의 프롤로그에서 이성과 감성으로 치환할 수 있는 디안과 라무르를 어떻게 음악적으로 처리하였는지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라모는 질서를 세우는 디안을 장조성(D, G, A)으로, 그리고 낭송적이고 화성적으로 작곡한 반면, 질서를 깨트리는 라무르를 단조성(b, f#)으로, 그리고 장식적이고 모방적으로 작곡하였다. 이러한 음악적 대비를 통해, 라모가 디안과 라무르를 음악적으로 대립시켰을 뿐 아니라, 더 나아가 라모의 이론을 통해 장조성의 디안을 단조성의 라무르보다 더 우월하게 여겼음을 추측하여 볼 수 있다. 그러나 라모는 디안(D)과 라무르(b)를 조성적으로 가깝게 설정함으로써, 두 신을 극렬하게 대비시키기보다는 조화롭게 바라보았다. 그리고 이는 계몽주의 시대의 이성과 감성을 바라본 시각이기도 했다. This paper discusses how Rameau, as a composer and one of the early Enlightenment theorists, deals with the music of Diane and L’Amour in the P rologue of his first tragédie en musique, Hippolyte et Aricie. The music of Diane, who represents reason and establishes order, is written in major keys (D, G, and A) and characterized by recitational phrases and homophonic writing. On the contrary, the music of L’Amour, who represents sense and destroys order, is written in minor keys (b and f#) and characterized by frequent use of embellishments and polyphonic writing. By composing the music of Diane and L’Amour in two contrasting musical styles, Rameau musically emphasiz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haracters. In his theoretical writings, Rameau describes the major tonalities as natural and positive and minor tonalities as unnatural and negative, therefore, it is clear that Rameau regarded Diane to be superior to L’Amour. However, Rameau composed the music of Diane (D Major) and L’Amour (b minor) in closely related keys so that they are described as two deities existing in harmony rather than sharply contrasting them as two clashing characters. Rameau’s way of describing Diane and L’Amour as contrasting but harmoniously co-existing characters reflects how reason and sense were perceived in the early Enlightenment period.

      • 16세기 말과 17세기 초 실내 성악 음악에서 나타난 가사와 음악 간의 관계

        유선옥(SunOK Ryu) 낭만음악사 2009 낭만음악 Vol.22 No.1

        이 논문은 가사와 음악 간의 연관성이 다른 시대보다 더욱 긴밀하였던 16세기 말과 17세기 초의 실내 성악 음악에서 가사와 음악 간의 관계가 어떻게 나타났는지 고찰하여 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16세기 말부터 작곡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친 타소(Torquato Tasso, 1544-1595)의 『해방된 예루살렘』(Gerusalemme Liberata)에서 발췌한 에르미니아(Erminia)의 ‘목가적’인 애가, 《종종, 여름의 한창 열기 속에서》(Sovente, allor che su gli estivi ardori, Ⅶ. 19-20)를 동일하게 선택하여, 각기 다른 형태의 음악으로 만든 16세기 말과 17세기 초의 대표적인 작곡가 세 사람, 베르트(Giaches de Wert, 1535-96), 딘디아(Sigismondo d’India, 1592-1629), 치프라(Antonio Cifra, 1584-1629)의 작품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보았다. 그 결과 베르트와 딘디아, 치프라는 서로 상이한 음악적 양식과 명칭으로, 즉 베르트는 16세기 말 마드리갈의 일반적 성부 구성인 무반주 5성부 마드리갈로, 딘디아와 치프라는 17세기 초 인기 있는 양식이었던 콘티누오 반주가 있는 독창과 콘티누오 반주가 있는 4성부로 각각 다르게 작곡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가사의 구조와 의미를 음악에 반영하였으며 가사의 의미, 특히 가사의 배후에 숨어 있는 함의와 가사에서 전해지는 감정을 보다 중요시 여겼다. 이처럼 이 세 명의 작곡가들은 이 시대의 실내 성악 음악에서 핵심쟁점이었던 가사와 음악 간의 관계에 대해 유사한 입장을 가지고 있음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16세기 말과 17세기 초의 실내 성악 음악이 1600년경을 기점으로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음악사의 르네상스와 바로크라는 시대구분을 반영하며 그 구분에 상응하는 주목할 만한 변화를 보이는 것은 아니며, 더욱이 최근에는 1600년경을 역사를 구분하는 시점으로 크게 중요시 여기고 있지 않음을 고찰하여 볼 수 있었다. This thesis tells relationships between the text and music of the chamber vocal music in the late sixteenth and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which is the period that these two factors are most close in their connections. To inquire into these relations, this paper chooses a lament of pastoral feature, Sovente, allor che su gli estivi ardori(Ⅶ. 19-20), abstracted from Torquato Tasso(1544-1595)’s Gerusalemme Liberata which had affected a great influence to the composers from late sixteenth century. In this point of view, this dissertation analyzed the relations of the text and the music through focusing on the works of Giaches de Wert(1535-96), Sigismondo d’India(1592-1629), and Antonio Cifra(1584-1629) who composed different styles of music with above-mentioned text. In result, Wert, d’India, and Cifra compose their works by using respectively madrigal for unaccompanied five-voice madrigal, solo voice with continuo, and four-voice with continuo. Even though they write their music through distinctive musical styles and titles, they reflect the structure and the meaning of text into their works. Furthermore they regard the implicature of text and the feeling from the text as a cardinal element. This fact tells us that these three composers have very similar standpoint to the connections of text and music that is the essential point at issue of that age. Through this research, we can notice that the chamber vocal music in the late sixteenth and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does not reflect the periodization of the Renaissance and the Baroque which are universally accepted as a division into periods in musical history. In addition, the chamber vocal music does not show remarkable changes which are correspondent to the periodization. Moreover, we can identify that the latest academic world does not consider around the year of 1600 as a point of time for distinguish the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