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울리츠카야의 소설 『소네치카』와 고전의 대화 – 변형과 재창조

        양영란(Yang Younglan) 한국노어노문학회 2018 노어노문학 Vol.30 No.2

        본 논문에서는 고전의 모티프를 작품 속에 도입하여 고전과 현대문학의 상호대화를 이끌어내고 있는 작가의 독창적 창작 기법을 세 가지 관점에서 고찰하고 있다. 작가는 작품 속에서 끊임없이 고전과 대화하며 텍스트를 풍요롭게 만들어나간다. 장르적 차원에서 전통적 가족 소설 장르는 재사고 되고, 변형된다. 새 시대에, 새로운 삶의 상황들 속에서 고전적 가족 형상은 독자들 앞에 새로운 모습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혈연관계의 수직적 가족이 아닌, 주인공의 의지와 사랑으로 이루어진 수평적 가족이 형성된다. 시학적 차원에서, 작가에 의해 치밀하게 고안된 작품의 제목이자 주인공의 이름 ‘소네치카’의 의미는 고전문학작품에서 등장하는 여러 ‘소네치카’의 형상들에 투영되면서 보다 개성적이고 독창적인 형상을 획득하게 된다. 신화적 차원에서, 작가는 자신의 ‘소네치카’에게 솔로비요프의 지혜의 소피아, 러시아성자전의 의인, 위대한 어머니로서의 레아의 신화적 형상을 부여한다. 소네치카는 새로운 가족의 ‘제작자(Демиург)’, 치유와 포용의 ‘생명나무’, 빛나는 지혜의 근원 ‘소피아’의 모습으로 독자를 만나게 되는 것이다. 변화되는 시대 속에서 울리츠카야는 하나의 진리만을 추구하지 않는다. 그녀의 작품 속에서 형이상학적인 거대 담론들은 독자들의 마음을 울리는 작은 이야기들로 변화되어 독자들과 소통한다. 작가는 고전의 언어를 사용하여 새로운 의미를 펼쳐나가고, 미로를 따라 들어가듯 독자는 고전과의 대화를 시작한다. 21세기 현대문학에 고전적 예술적 코드를 능동적으로 반영하여 새로운 의미를 창조해 내는 창작기법은 울리츠카야의 중요한 작가적 전략이 되고 있다. This study introduces the motifs of classics into the work, and examines the original creative techniques of the author that leads the mutual dialogue between Classics and Contemporary Literature from three points of view. First, from a genre point of view, traditional family fiction genres are reconsidered and transformed. The vertical classical family image of blood relations formed by the involuntariness appears after being changed into a horizontal family image which is formed by the will and love of the main character. Second, on the poetic point of view, the title of the work and the name of the main character ‘Sonechka’ are projected on various forms of ‘Sonechka’ appearing in classical literary works, thereby acquiring a more individual and original image. On the mythical point of view, the author gives ‘Sonechka’ V. Solovyov"s Sophia of wisdom and the mythical form of the righteous person of the Russian saints. In a period of change, Ulitskaia does not pursue only one truth. In the author "s text, multi-layered artistic associations permeates. As if following the labyrinth, readers communicate with classics, and meet the main character Sonechka, the realization of wisdom as well as a great mother, and the one who has the form of a creator with flexibility at the same time. The creative technique that actively reflects the classical arts code in the 21st century contemporary literature and creates new meaning is becoming an important artistic strategy of Ulitskaia.

      • KCI등재

        L. 페트루쉡스카야의 〈검은 외투〉에 나타난 ‘공감’과 ‘위로’

        양영란(Yang Younglan) 한국노어노문학회 2020 노어노문학 Vol.32 No.4

        본 논문에서는 페트루쉡스카야의 작품 〈검은 외투(Черное Пальто)〉를 문학 치유적 관점에서 읽어본다. 이야기 〈검은 외투〉에서 작가는 다양한 민속 문학장르의 공식을 차용하고 있음과 동시에 현대의 심각한 사회 문제인 자살에 대해 이야기함으로써 독자에게 공감과 반응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첫째, 이야기 〈검은 외투〉 속에 나타나는 민속 문학 모티프들이 어떻게 현대적 형상으로 반영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둘째, 민속적 신화적 모티프들을 작품 속에 반영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독자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작가의 메시지가 무엇인지를 고찰하며, 셋째, ‘자살’이라는 심각한 사회 문제를 작가가 작품 속에서 어떻게 풀어나가고 있는지 문학 치유적 관점에서 읽어보는 것이다. 〈검은 외투〉에서 자살을 결심한 두 명의 여성은 죽음의 경계에서 서로를 만나게 되고, ‘성냥’, ‘열쇠’, ‘종잇조각’의 마법의 세 가지 물건들을 가지게 되면서 자신이 누구인지,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들이 누구인지, 자신의 삶의 이유가 무엇인지 깨달아나간다. 페트루쉡스카야는 러시아 민속 문학 장르 가운데 무서운 이야기(страшилки)와 발라드(баллада) 시학을 작품 속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작가는 민속 문학 속에 나타난 민속적 신화적 의미의 독창적 재해석을 통해 작품의 등장 인물에 대한 연민과 그들의 상처에 대한 공감, 그들의 행복한 삶의 결말을 소망하는 작가의 메시지를 분명하게 전달하고 있다. 작품 속에서 독자는 〈검은 외투〉의 여주인공이 자살하려고 할 수밖에 없었던 힘든 현실의 고통 - 가까운 사람들과의 관계의 붕괴, 무관심과 몰이해, 비공감, 고독과 소외 - 을 공감하게 된다. 작가는 등장 인물들의 상처의 트라우마를 신화적이고 기적의 마법의 물건들을 이용하여 환상적 차원에서 치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상대방을 향한 공감과 위로, 자신을 향한 ‘자기 공감’을 통해 주체적으로 상처를 치유해 나가는 능동적 치유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비극적 현실을 묘사하면서도 연민, 위로, 공감이 바탕이 되어있는 페트루쉡스카야의 작품은 문학치료 텍스트로 충분히 활용 가능하며, 향후 문학 치유적 관점에서의 심층적인 작품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sets out to analyze The Black Coat by L. Petrushevskaya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ture healing.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o examine how folklore motifs are reflected in modern forms in The Black Coat; to look into the author’s message that she delivered to her readers ultimately by reflecting folklore and myth meanings in her work; to explain how the author addressed the serious social issue of “suicide” in her work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ture therapy. In The Black Coat, two women independently decide to kill themselves and come across each other at the boundary of death. They happen to get their hands on three magical objects – some matches, a scrap of paper and a key – which give them insight into who they are, whom they love, and what the reasons for their lives are. Petrushevskaya makes active use of “horror stories” and ballad poetics of Russian folklore genres in her work. She clearly conveys her message of compassion for the characters, empathy with their wounds, and hope for their happy endings in life by reinterpreting the folk and myth meanings of folklore. In The Black Coat, readers get to empathize with the real sufferings of the heroines who are driven toward suicide – collapsing relationships with people close to them, disinterest and lack of understanding or empathy by others, isolation, and alienation. The writer not only treats the characters’ traumas from their wounds with mythical, miraculous, and magical objects at the fantasy level, but also proposes and active method of healing to cure their wounds independently through empathy and consolation for others and self-compassion. Petrushevskaya works, which are based on compassion, consolation, and empathy while depicting a tragic reality, can serve fully as literature therapy texts and will need in-depth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ture hea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