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백잎의 생육지역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 비교

        안기완(Kiwan An),박세영(Se Young Park),이자연(Ja-Yeon Lee),문제학(Jae-Hak Moon),김은일(Eunil Kim) 한국차학회 2017 한국차학회지 Vol.23 No.2

        The content of phenolics in Camellia japonica leaves (CJL) collected in different regions (Wando and Jangheung Counties) was compared. CJL MeOH extracts after acidic hydrolysis were analyzed by ODS-HPLC (254 nm) and the contents of five phenolics (gallic acid, 3,4-dihydroxybenzoic acid, 4-hydroxybenzoic acid, quercetin, and kaempferol) were calculated using an external standard method. The content of quercetin was higher in the Wando samples (167.49 ± 26.67 mg/100 g dry wt.) than in the Jangheung samples (98.48 ± 10.38 mg/100 g dry wt.). The contents of kaempferol and 4-hydroxybenzoic acid showed a higher tendency in the Wando samples than in the Jangheung samples. On the other hand, gallic acid and 3,4-dihydroxybenzoic acid were detected at similar levels. Therefore, CJL grown in coastal areas may more beneficial constituents than those grown in inland area.

      • KCI등재

        숲속의 전남 만들기 정책에 대한 인식분석

        김민희 ( Minhee Kim ),안기완 ( Kiwan An ),윤병선 ( Byungsun Youn ) 한국산림경제학회 2016 산림경제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지방산림정책이라 할 수 있는 「숲속의 전남」 만들기 정책에 대한 전라남도 도민의 인식의 정도를 규명하여 브랜드 시책으로 추진하려고 하는 전라남도 산림정책 방향제시에 기초적인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도민의 숲 이용 빈도는 월 1-2회 (41.2%)로 나타났고, 특히 숲을 이용할 때는 휴식과 힐링, 접근성을 고려하고 있었으며 대표적 인 숲(산)은 장성 축령산과 장흥 우드랜드 숲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책의 인지경로는 관공서방문, 언론매체를 통해서 인지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책의 추진주체는 지방자치단체와 민간단체 그리고 주민이 모두 협력하여야 된다는 의견이 64.8%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숲속의 전남」 만들기 정책의 인지정도에 따라 추진주체와 성공요소에 대한 의견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 그룹의 경우, 정책의 성공요인으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은 예산확보(41%)를 지적하였다. 성공적인 정책을 실행을 위해 현행 수준보다도 더 강화 되고 체계적으로 주민들이 정책을 인지토록 하는 행정적 수단의 강구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level of Jeollanam-do residents`s awareness on `The 10-years Jeonnam Forest Project` as a local forest policy and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 on the direction of forest policy trying to move forward in brand policy. As a result, First, The frequency of forest use was showed up as the one or twice a month(41.2%). Especially, they considered the rest, healing and accessibility when using the forest, and the representative forest was Chungnyung Mt. and Jangheoung woodland in Jeollanam-do. Second, the recognition route was the visiting a public office or through a media source. Third, the result showed that everyone including the Local governments, civil society and local residents should work together to success the forest policy. Fourthly, It was significant differences of opinion about the main agent of promoting and success factor depending on the awareness level of `The 10-years Jeonnam Forest Project`. The cognition group pointed out the security of budget( 41 %) as a success factors of policy. This study proposed the necessity of administration means which residents can be perceived stronger than the current level and systematically for a successful policy implementation.

      • KCI등재

        일본의 농ㆍ산촌지역 활성화 정책에 대한 분석

        강경구 ( Kyoungkoo Kang ),양천은 ( Cheoneun Yang ),안기완 ( Kiwan An ) 한국산림경제학회 2017 산림경제연구 Vol.24 No.1

        일본의 산촌은 전체 국토면적의 47.2%, 임야면적의 61.0%, 경지면적의 21.4%, 전체 인구의 3.06%, 전체 지자체의 42.7%를 차지한다. 산촌지역은 주민이 임업을 영위하는 장소이며 산림의 다면적 기능의 발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고사화와 고령화가 진행되어 산림관리에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본 연구는 일본 농산촌지역의 소득 및 정주환경에 관련된 정책변화를 고찰하고, 관련법과 농산촌지역의 동향 분석, 각종 산촌정책의 우수사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산촌활성화 정책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촌진흥법을 05년 3월까지 10년 더 연장하였고 산촌에 대한 기본이념에 대한 규정을 설치하는 법적 정비를 추구하였다. 둘째, 1960년대 중반에서 1990년대 초까지 농ㆍ산촌지역의 발전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였으나 효과가 미미하여 2000년 후반부터는 지역의 자원을 활용한 내발적 발번론 정책을 추진한다, 최근, 6찻나업화법에 의한 산촌지역 활성화와 재생을 도모하고 지역 농ㆍ임산물의 이용 촉진을 통해 부가가치를 도모하는 산촌활성화 정책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Japanese mountain villages account for 47.2% of the total land area, 61.0% of the forest area, 21.4% of the arable land area, 3.06% of the population, and 42.7% of the local governments. In this way, the mountain village area is a place where the inhabitants carry out forestry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multi-faceted function of the forest. But there are many problems in forest management due to depopulation and ag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olicy implications about the revitalization of mountain villages in Korea. S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sider the policy changes related to the income and settlement environment in the rural areas of Japan and to analyze the trends in related laws, best practices of various mountain village policies. First, mountain village promotion law was extended for 10 years until March 2025, and legal arrangements were made to establish provisions for the basic ideology of mountain villages. Second, from the mid-1960s to the early 1990s, the policy for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and mountain areas was promoted, but since the effect was minimal. So they are being pursued the policy of endogenous development based on local resources from the latter half of 2000. We think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policy of activating the revitalization and rehabilitation of mountain villages by the Sixth industrialization method and promoting the added value through encouragement of use the agricultural and forest products.

      • KCI등재후보

        백운산권역의 산지이용 및 가치성에 대한 지역이해관계 그룹의 인식

        이가영 ( Gayoung Lee ),최수임 ( Sooim Choi ),김민희 ( Minhee Kim ),안기완 ( Kiwan An ) 한국산림경제학회 2020 산림경제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백운산권역에 위치하고 있는 서울대 남부학술림의 소유 및 관리에 대한 지역민의 갈등을 봉합하고 지역민과 함께하는 국유림 상생경영방안을 해결할 수 있는 기초적인 요인을 도출하고자 수행하였다. 이에 이해관계 그룹은 서울대 그룹, 지역주민 그룹, 백운산 고로쇠영농조합 조합원 그룹, 지자체 그룹으로 구분하였고 설문 및 인터뷰 조사를 수행하여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서울대 그룹을 제외한 이해관계 그룹은 산림이용 및 가치성에 대해 대학 학술림이라는 고유기능인 교육 및 연구기능보다 환경보호기능, 휴양서비스기능의 실현을 보다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산림이용 및 가치성의 18인자에 대한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Ⅱ사분면의 우선시정 요인으로 도출된 속성은 서울대 그룹의 경우, 탐방객의 산림휴양 및 힐링 기능, 산지재해(산사태, 토사유출 등) 예방에 대한 기능, 산림교육전문가 양성 기능, 생태교육 제공에 대한 기능, 산림문화 및 체험으로 총 5개 속성으로 나타났고, 지역주민 그룹은 산림문화 및 체험 기능의 1개 속성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로쇠 영농조합그룹의 경우는 임산물(고로쇠수액, 수실, 산채, 약초 등) 생산에 의한 소득창출, 산림사업에 의한 일자리 창출, 산림교육전문가 양성 기능의 3개 속성으로 나타났고, 지자체 그룹의 경우는 생태교육 제공에 대한 기능의 1개 속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백운산권역 산지에 대한 산림기능구분을 재분석하여 가장 적절한 관리, 활용, 보전이 될 수 있도록 산림기능을 재해석하고, 백운산권역의 이해관계 그룹간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백운산권역 거버넌스 구축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raw basic factors that could resolve the national forest win-win management plan for national forests with local people while sealing the conflict between the ownership and management of the Southern Academic Fores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located in the Mt. Baegun area. Interest groups were divided into Seoul National University Group, Local Residents Group, Mt. Baegun Acer mono Union Member Group, and Local Government Group, and collected and analyzed data by conducting surveys and interviews.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the interest groups excluding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Group put more importance on the realization of environmental protection functions and recreation service functions than the educational and research functions, which are unique functions of university academic forest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18 factors in forest use and value showed that the attributes derived from the priority factors in Section II were the five characteristics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Group: forest recreation and healing, forest accident prevention functions, forest education expert training functions, forest culture and experience, Local residents’ groups were found to be one attribute of forest culture and experience functions. furthermore, in the case of Acer mono Union Member Group, there were three attributes of the ability to generate income from forestry product production, create jobs by forest business, and train forest education experts, while in the case of the local government group, there was one attribute of the function for providing ecological education. In this study, the forest function classification was reinterpreted to enable the most appropriate management, utilization, and conservation by reanalyzing the forest function of the Mt. Baegun area,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Mt. Baegun area governance as a way to resolve conflicts among the interested groups in the Mt. Baegun area.

      • KCI등재

        「숲속의 전남」 만들기 정책에 대한 지방산림정책적 의의

        윤병선 ( Byungsun Yoon ),김혜린 ( Hyerin Kim ),양천은 ( Cheoneun Yang ),허예나 ( Yena Heo ),김민희 ( Minhee Kim ),안기완 ( Kiwan An ) 한국산림경제학회 2016 산림경제연구 Vol.23 No.2

        전라남도는 산림자원 가치를 극대화하고 산림ㆍ임업으로부터 소득과 공원 같은 아름다운 전남을 지향하고자 「숲속의 전남」 만들기 10개년 계획(2015-2024)을 발표하였다. 본 연구는 지방산림정책의 대표적인 사례인 「숲속의 전남」 만들기에 대한 성격을 규명하고 지방산림정책적 의의와 한계점 분석을 통해 지역산림정책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 첫째 2015년 「숲속의 전남」 만들기 계획에 의거, 경관ㆍ소득숲 3,215ha, 학교ㆍ마을 숲 등 52개소, 가로수 116km, 주민참여 숲 39개소에 사업비 462억원을 투자하였다. 둘째, 전남 나무심기 지원에 관한 조례 제정, 「숲속의 전남」 도 협의회 및 시ㆍ군 협의회의 구축, 민간차원의 (사) 「숲속의 전남」 발족, 협력(도민, 임업인, NGO, NPO), 재정(기업 사회적 `참여, 재능기부, 출연금) 등의 거버넌스가 구축은 지방산림정책을 실현하는 수단으로 그 의의가 크다. 성공적인 「숲속의 전남」 만들기 사업을 실행하기 위한 (사) 「숲속의 전남」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제안하였다. Jeollanam-do announced the `10-years Jeonnam Forest Project(2015-2024)` to maximize multiple forest values, get income from forests and seek beautiful Jeonnam as park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make activation plan of local forest policy through clarifying the character of `Jeonnam Forest Project` and analyzing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local forest policy. As a result, 46.2 billion was invested in scenery-income forest(3,215ha), school · village forest(52 places), street trees(116km) and community participation forests(39 places) based on “Jeonnam Forest Project” in 2015. Second, establishing the governance which were enactment of local ordinance about tree plant in Jeonnam, building a province conference and cities and counties conference of `Jeonnam Forest Project`, starting a `Jeonnam Forest Project` as nongovernmental, cooperation(inhabitant of the Jeonnam, forester, NGO, NPO), budget(social participation, talent donation, contribution), etc was significance as a means to realizing the local forest policy. This study proposed the role of `(Corp.) Jeonnam Forest Project` to run the successful project of `Jeonnam Forest Pro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