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의 교육사 교재에 나타난 광복 이후 교육사 서술의 제 문제

        신차균(ChaKyun Shin)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교육논총 Vol.30 No.-

        대학의 교육사 교재는 전문적인 역사연구서가 아니라 예비교사들로 하여금 한국의 교육현상에 대한 역사적 통찰력을 길러주기 위한 교과서이므로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서술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2000년 이후 출간된 ‘교육철학 및 교육사’ 교재들을 수집하여, 광복이후의 한국교육사에 대한 서술범위, 주요 서술내용, 그리고 서술방식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19종의 교재 중에서 7종은 광복이후의 교육사를 전혀 다루지 않았으며, 1990년대까지 언급하고 있는 교재는 단 4종뿐이었다. 따라서 광복이후의 교육사에 대한 서술은 양적인 면에서 매우 빈약하고 불충분했다. 서술방식에 있어서는 첫째, 대부분의 교재가 역사적 사건들을 구조화하지 못하고 평면적으로 나열하였으며, 둘째, 교육제도와 교육정책 중심으로 서술함으로써 교육이론이나 교육현장의 변화를 소홀하게 다루었고, 셋째, 주로 정부의 시각에서 서술함으로써 교사, 학생, 학부모 등 교육활동의 다양한 주체들의 입장이나 시각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 이러한 서술방식은 예비교사들에게 우리 교육현실을 바르게 이해하는 역사적 통찰력을 길러주기에는 미흡하다. The 'history of education' textbooks for university students are not for professional historians but for prospective teachers. The aim of the textbooks is to give prospective teachers some historical insights on Korean education. To achieve this aim, description styles of history are very important. This study reviewed 19 textbooks of 'history of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 which were published after 2000. The review focused on the descriptions of the textbooks on contemporary Korean history of education since 1945; the periodical ranges of description, major contents and styles of descriptions are analysed. Among 19 textbooks which were reviewed, 7 entirely omitted to describe that period, and only 4 included recent history of after 1990 period. The quantity of descriptions on contemporary Korean history of education since 1945 was very poor and insufficient. Most textbooks described educational events plainly, without structuring 'courses of events' or 'emplotment.' Main topics of description centered on educational systems and policies; educational theory and movements of the educational field were neglected. Most descriptions were made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authorities, not those of teachers', parents' and pupils'. So the qualities of descriptions on contemporary Korean history of education since 1945 were not sufficient to give prospective teachers some historical insights on Korean education.

      • 지행의 괴리

        신차균(ChaKyun Shin)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교육논총 Vol.31 No.-

        사람들은 흔히 지행의 괴리를 극복하는 것이 도덕교육의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지행의 괴리라는 것이 과연 존재하는가, 그것을 극복하는 것이 도덕교육의 참된 과제인가 하는 문제는 엄밀한 철학적 분석이 필요한 문제이다. 그것은 ‘도덕성의 본질’과 ‘도덕적 앎’을 무엇으로 보느냐는 관점과 관련된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지행의 괴리 문제에 관한 통속적 해석이 행위윤리학적 관점에 입각한 것이라는 점과, 그 관점에 입각한 도덕교육은 표면적 행동에 초점을 맞추게 됨으로써 결국 지행의 괴리를 극복한다는 본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는 점을 논증했다. 지행의 괴리라는 문제의식은 도덕성의 본질에 대한 피상적인 이해에서 비롯된 잘못된 문제의식이다. 존재윤리학적 관점에서 볼 때 지행의 괴리는 도덕성의 결핍 또는 도덕적 무지현상을 가리키는 것이며, 이 관점에 입각할 때 도덕교육은 단순히 행위규범을 내면화시키는 일이 아니라, 행위규범의 이면에 붙박혀 있는 도덕 이념을 실현함으로써 총체로서의 마음을 함양하는 일이다. 이렇게 보는 것이 도덕교육의 성격을 올바르게 파악하는 길이다. Does there really exist any gap between knowing and doing? This problem is a years-old topic of philosophical debates on moral education. If any gap really exists there, how to bridge the gap is the most serious problem in practicing moral education. The key to resolve this question depends on what is ‘morality’ and what does the ‘moral knowledge’ mean. There are two different interpretations on this matter. ‘A commonsense interpretation’ insists that there exist a gap between knowing and doing and bridging the gap is the most important task of moral education. This interpretation assumes that morality〔morality of action〕 exist in a external society, not in a internal mind, as a system of norms which can be stated as propositions. And also assumes that moral knowledge means knowing those propositions. So it insists that the main task of moral education is internalizing those norms into students’ minds. But ‘a moral mind-centered interpretation’ insists that there is no gap between knowing and doing, because doing is an expression of one's real being(or one's moral mind). This interpretation assumes that morality〔morality of being〕 exists in a internal mind, not in a external society. Though morality reveals itself as a moral action in a concrete situation, before it expresses itself, it is not identifiable as some concrete norms of action and cannot be stated some propositions. So moral knowledge means one’s moral mind as a whole, not knowing some identifiable propositions. According to this interpretation, the most important task of moral education is cultivating a moral mind as the inner source of morality in its true sense. This study attempted to re-examine the two interpretations and their implications on moral education. If we accept the ‘commonsense interpretation’, the focus of moral education will be put on external behavior of students’, not on their internal minds. It may result a failure in cultivating moral mind, and bridging the gap between knowing and doing cannot be achieved. So I insist that moral education should focus on cultivating moral mind as a whole, and that ethical thinking in its true sense is needed in practicing this notion of moral education.

      • 입학사정관제도와 학교교육의 정상화

        신차균(Chakyun Shin)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교육논총 Vol.29 No.-

        이 글은 최근에 강조되고 있는 대학 입학사정관제도의 본질과 그것이 함축하고 있는 교육철학적 의미를 검토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세 가지 문제가 검토되었다. 첫째, 입학사정관제도의 유래와 그 도입 배경은 무엇인가? 둘째, 입학사정관제도의 기본 가정과 그것이 함의하는 바는 무엇인가? 셋째, 입학사정관제도의 도입은 학교교육의 정상화에 기여할 것인가? 입학사정관제도는 선발의 공정성 보다는 대학의 자율성을 강조하는 미국 대학교육의 전통에서 생겨났다. 이 제도는 입학사정관에게 광범위한 재량권을 부여하면서, 품성과 지도성 같은 다양한 비학문적 선발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정부는 기존 대학입시의 폐해를 극복하고 대학의 자율성과 고교교육의 정상화를 동시에 추구하기 위하여 이 제도의 도입을 서두르고 있으나, 아직은 도입과정에 있는 미완성의 제도이다. 다양한 선발기준의 강조에는 우수한 인재의 개념, 인간의 다양한 능력과 그것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관점의 변화가 전제되어 있다. 그것은 대학입시에서 경쟁의 공정성, 객관성, 투명성보다는 대학의 전문성, 자율성, 사회적 책임성이 강조됨을 함의한다. 학교교육의 정상화는 입학사정관제도 도입여부보다는 그 운영방식에 달려 있다. 우수한 인재의 의미나 그 인재를 가려내는 선발기준이 학교교육과정과 무관하게 규정되거나 이해된다면, 새 제도는 학교교육에 대한 재앙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amine what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is, and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adopting the system into Korean educational setting. For this purpose, three questions are answered. First, what is the origin of the system, and what is the background of adopting the system to Korean educational setting? Second, what are the presupposi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ystem? Third, can adoption of the system improve high school education?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originated from the tradition of university education in USA which emphasizes autonomy of the universities rather than the fairness of selection. The system allows admission officers a free-hand to select students, and to apply non-academic criteria such as character, leadership, family background etc. The Korean government tries to adopt this system for multiple purposes; to relieve excessive competition in entrance examination, to improve the autonomy of universities, and to recover high school education. The trial is in the beginning yet. Emphasis on ‘the various selection criteria’ presupposes changes in the concepts of ‘excellence’, ‘human abilities’ and changes in the methods of measuring human abilities. It implies that the emphasis of university admission moves from fairness, objectivity, and transparency to professionalism, autonomy and responsibility of universities for society. The recover of high school education depends not on the adoption of a system, but on how it works. If we define the meaning of excellence and criteria of selection without reference to the high school curriculum, the new system turns out to be disastrous for high school education.

      • 수학ㆍ미술 통합 활동이 유아의 기하개념 이해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수연(SuYoun Kim),신차균(ChaKyun Shin)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논총 Vol.32 No.-

        본 연구는 수학ㆍ미술 통합 활동을 제공하여 유아의 기하개념 향상과 수학활동에 대한 태도가 증진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유아 수학교육과 미술교육의 효율적인 방법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시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 은평구에 위치한 S유치원 만 5세 2학급의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는 16차시의 수학ㆍ미술 통합 활동과 수학활동을 구성하여 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에게 실시하였다. 기하개념이해를 알아보기 위하여 김지영(2004)이 개발한 검사 도구를 연구자가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수학적 태도는 김경희(2006)가 번안ㆍ수정한 것을 연구자가 재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다변인공변량분석(M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ㆍ미술 통합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수학활동만 실시한 비교집단의 유아들보다 기하개념이해에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구체적으로는 기하개념의 하위요소인 2ㆍ3차원 기하학적 관계 이해, 좌표기하 이해, 대칭과 변형 이해, 공간적 시각화 및 공간적 추리 이해 4가지 모두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수학ㆍ미술 통합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수학활동만 실시한 비교집단의 유아들보다 수학적 태도에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는 유아들이 수학ㆍ미술 통합 활동에 참여하면서 수학에 대한 흥미, 대안탐색 의도, 유능감에 있어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수학ㆍ미술 통합 활동이 수학활동보다 유아의 기하개념이해와 수학적 태도 증진에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으로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a math-and-art-integration program will improve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some geometrical concepts and mathematical attitude. The subjects were 40 children of 5-years-ol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into an experimental(n=20) and a comparison(n=20)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engaged in a math-and-art-integration program, while the comparison group engaged in a math-activities-only program. The integration program included art activities (drawing, constructing, designing, collage, clay, decalcomanie,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and math activities. The other program included math manipulation and document activities using various math materials. Each program consists of 16 sessions for 8 weeks. Before and after each program, the Kim's Geometry Concept Understanding Test(2004) and the Kim's Mathematical Attitude Test(2006) were administered. The MANCOVA was conduct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ly,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better than the comparison group in understanding some geometrical concepts such as 2nd and 3rd dimensional relation, coordinates, spatial visualization, and spatial inference. Second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than the comparison group in mathematical attitude. They showed more interests and self-effectiveness in math activities, and explored more alternatives when solving math problems. These results imply that integration of math and art activities can be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preschoolers to teach math and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