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변용 모델이 미술지도에 주는 시사점 탐색

        김황기(Kim Hwang G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18 美術敎育論叢 Vol.3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변용이론의 변화와 발전을 탐구하고 미술 교육자와 학생들을 각각의 문화로 환원해 봄으로서 미술지도에 대한 통찰을 얻는 것이었다. 연구를 통하여 다섯 가지 시사점을 확인하였다. 첫째, 배우는 이(의 문화)를 이해해야 한다는 것을 알려준다. 둘째, 미술이 소수문화임을 인식하게 한다. 셋째, 사람들은 자신의 문화에서 통용되는 방식으로 배운다는것을 알려준다. 넷째, 모든 배움은 역치의 극복을 요구한다는 것을 알려준다. 다섯째, 여러 방식을 넘나들 수 있게 하는 것이 학습임을 알려준다. 미술 교육자들은 새로운 문화의 습득이 정체성의 변화와 함께 많은 시간을 필요로한다는 것을 인식함으로써 학생들이 미술적 가치나 방식을 배울 수 있도록 세밀하게 고려하는 문화적 선교사가 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theory of acculturation and to find implication for art teaching from the theory. Five implications suggested through this study were below. First, art teachers should understand the culture of students. Second, art culture is minority culture compared with students’. Third, people learn something their own ways. Forth, every learning asks to overcome the liminal. Fifth, diversity is required by learning itself. The five implications give art teachers two lessons. One is about a educational principle that achievable object should be set up. The other is about a teaching method that easy steps for small successes. Acculturation requires not only change of identity but also long period of time. Therefore, art teachers should consider students carefully like the missionary.

      • KCI등재

        점토 작업과 젠탱글 작업이 남녀 학생의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김황기(Kim, Hwang G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20 美術敎育論叢 Vol.3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difference of the flow level of students between pre and after program, and a difference of the flow level of student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the result of the study are below. First, is there a difference of the flow level of students between pre and after program? Yes, there is a difference of the flow level of students between pre and after program. That is, there is a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flow level of students between pre and after program. Second, is there a difference of the flow level of student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No, there is no difference of the flow level of student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That is, there is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flow level of student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점토활동과 젠탱글활동이라는 미술과제가 몰입을 촉진하는지 확인하는 것이었다. 더불어 미술과제에 따라 남녀 학생들의 몰입의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려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점토활동과 젠탱글이라는 미술과제는 학생들의 몰입을 촉진시키는가? 점토활동과 젠탱글이라는 미술과제 모두 학생들의 몰입을 촉진하였다. 점토 미술활동에 참여한 유아의 주의집중력이 자유 미술활동에 참여한 유아의 주의집중력보다 높게 나타난 연구(신성은, 2018)와 젠탱글 활동을 적용한 연구(권민경, 2017) 에서도 본 연구와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2) 점토활동과 젠탱글이라는 미술과제에 따라 남녀 학생들의 몰입의 차이는 발생하는가?점토활동과 젠탱글이라는 미술과제에 따라 남녀 학생들의 몰입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남성이 몰입도가 높다거나(황정애, 2004), 남성의 경우 통제가 내부에서, 즉, 자신의 선택에 의한 과제일 때 몰입의 정도가 더 높다는 연구 결과(Reitz & Jewell, 1979)와는 일치하지 않는다. 그러나 미술 내용이나 과제와 직접 관련된 연구는 존재하지 않아 직접적인 비교가 어려워 아쉬움이 남는다.

      • KCI등재

        존재 체험의 터전으로서의 미술

        김황기(Kim Hwang G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07 美術敎育論叢 Vol.21 No.3

        존재란 소유하거나 소유하려고 탐하지 않고 기쁨에 차서 자신의 능력을 생산적으로 사용하고 세계와 하나가 되는, 그런 실존양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존재 지향적 교육은 미술을 통해서 가능한데 그 이유는 미술이 인간 존재의 근원에 대한 물음의 내적 과정이고, 존재론적 한계상황과 이를 극복하려는 성찰적 과정이 미술적 과정이고 이것은 자신의 경험일반에 자리하지 않기에 초월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존재 지향적 미술교육은 다양한 앎의 방식을 제공하고, 통합을 추구하고, 열정을 경험하고, 자신을 발견하고, 내재적이라는 면에서 교육적 의의도 가진다. 그런 점에서 미술교육이 지식의 습득 정도 보다는 미술활동을 통한 의미체험이나 인간의 성장과 완성에 목적을 두어야 한다. 이러한 열림은 우리 아이들로 하여금 전환적 계기를 맞이하고 자신의 존재와 마주하게 하는 것이다. Becoming true artist is discovering the meaning to himself/herself and writing unique little narratives about it. According to Fromm(1976). ""by being referred to the mode of existence in which one neither has anything nor craves to have something, but is joyous, employs one"s faculties productively, is oned to the world"" (18-19). In the mode of being, knowledge is nothing but the penetrating activity of thought. In this mode, one experiences oneself as the subject of one"s activity. However. in the mode of having, what is restricted is free, spontaneous experience of the children"s and the adolescents" will, their thirst for knowledge and truth, their wish for affection. The growing person is focused to give up most of his or her autonomous, genuine desires and interest. and his or her will, and to adopt a will and desires and feelings that are not autonomous but superimposed by the social patterns of thought and feeling. If the pressure and the boredom are removed and material is presented in an alive way, remarkable activity and initiatives are mobilized. Therefore, busyness, example. art activity separated from students"s spiritual ground is not the knowledge and not to having meaning.

      • KCI등재

        몰입 이론으로 본 듀이의 미적 경험

        김황기(Kim Hwang G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07 美術敎育論叢 Vol.21 No.1

          본 연구는 듀이의 미적 경험을 몰입 이론을 통하여 탐색하는 것이었다. 몰입과 듀이의 미적 경험이 가지는 속성들이 일대 일로 정확하게 대응되는 것은 아니나, 두 경험은 상당한 유사성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주관적 상태의 질적인 측면에서 같은 속성을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보다 큰 틀에서 정리해 보면, 두 경험 모두 첫째, 세계를 즉각적, 직접적으로 보는 방식과 관련된다. 둘째, 사건이나 경험이란 단어로 개념화 할 수 있다. 셋째, 유기체의 세계에 대한 변화나 적응의 동기로서 작동한다. 넷째, 의미와 가치를 용해하고 융합하는 용광로로서 작동하나 지식과 관련된 내용은 아니다. 다섯째, 기존의 지식 전달적, 이원론적 전통과는 패러다임이 다르다. 미술활동을 통하여 빈번하게 발생하는 미적 경험, 즉 몰입 경험은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고, 이는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런 이유로 미술적 활동은 현재의 우리 학생들에게 꼭 필요한 교육적 활동이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at Dewey called ‘aesthetic experience’ through Csikszentmihalyi"s theory called ‘flow’.<BR>  I raised correspondents between what Dewey referred to as ‘aesthetic experience’ that has several characteristics, such as, ‘consummation’, ‘inner impulse’, ‘emotion involved’, ‘wholeness’, ‘unity’ and what Csikszentmihalyi"s called ‘flow’ that has several characteristics, such as, ‘merging of action and awareness’, ‘limitation of stimulus’, ‘loss of ego’, ‘control of actions’, ‘clear goal and feedback’, ‘autotelic nature’. Although the characteristics of two do not correspond one by one, they contain the same elements. Especially, the quality of the subjective states is the same in both contexts.<BR>  I can re-state affinities carried by ‘aesthetic experience’ and ‘flow’ with broader sense.<BR>  First, both are viewed as a kind of immediate, primacy reality of the world encountered. Second, both can be conceptualized in terms of ‘events’ or ‘histories’. Third, both function to impel or motivate change and adaptation by the living organism. Fourth, both serve as the crucible of meaning and value but are not a knowledge affair. And finally, both defy traditional transcendent and subject-object metaphysics.<BR>  Therefore we can reach this conclusion. Aesthetic experience is synonymous with flow. Although each focuses on its side that is, philosophy or psychology. Then art teachers can encourage students experience ‘flow’ through the ‘aesthetic experiences’ because it has educational benefits for students as well

      • KCI등재

        미래교육의 원리 미술교육에서 찾다

        김황기(Kim, Hwang G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21 美術敎育論叢 Vol.3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가들의 자기 초월적 행위와 그들이 이미 활용하고 있다고 믿어지는 교육원리를 밝혀보고, 그것이 미래를 위한 교육원리로서 가치를 가지가 있으며 차용하여 활용할 만한지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이었다. 탐구의 결과 교육의 목표, 지식관, 교육과정, 학습 방법에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미래교육의 목표는 학생들의 재능을 발견하고 계발하는 것이어야 한다. 둘째, 미래교육의 지식관은 지금보다 더 넓고 깊게 설정된 학습의 개념에 근거해야 한다. 셋째, 미래교육의 교육과정은 과정중심이며 개인화에 초점이 두어져야 한다. 넷째, 미래교육의 학습방법은 스스로 가르치기여야 한다. 미술가를 통해서 발견되는 원리는 삶의 의지를 재확인하고 환희를 경험하는 내부에서 발생하는 내재적 ‘교육원리’를 가지고 있었다. 이처럼 미술가들이 삶에 적용하는 존재원리와 미술교육에서 활용해온 학습방법들은 미래교육의 교육원리와 방법으로도 차용가능하고, 이때, 우리의 학생들도 미술가들처럼 배움이 고역이 아니라 즐거움인 것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anscendent conduct and the educational principles that artists have used and to find com- plications for future education from them. As a result, four com- plications in educational goal, knowledge view, curriculum, teaching method have been derived. First, educational goal for future education should be focused on discovering and developing students’ ability. Second, knowledge view for future education should be set up according to wide, deep concept of learning. Third, curriculum for future education should be process centered and personalized. Finally, teaching method for future education should be self directed learning. The principles derived from artists have got intrinsic educational principles that reconfirm their will of life and experience their delight. The principles of existence and teaching method that come from artists can be borrowed for future education. If it happens, learning of students can be joyful rather than hard as it is to artists.

      • KCI등재

        실천적 성찰체험으로서 미술창작의 가치

        김황기(Kim, Hwang G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21 美術敎育論叢 Vol.35 No.4

        미술창작에서의 성찰이 미술교육의 핵심적 영역인 미술창작의 교육으로서의 근거, 학문으로서의 구조화 가능성 및 교육적 가치를 살펴보았다. 탐구의 결과첫째, 성찰은 미술창작 활동에 필수적이 과정이다. 미술창작이 자신을 찾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미술창작은 알아차림의 과정이라는 점에서, 미술창작은 문제상황과의 적극적인 소통의 과정이라는 점에서 그렇다. 둘째, 성찰로서의 미술창작은 미술교육을 위한 하나의 이론으로서 가능성을 가진다. ‘비선형 교육’ 원리를 가지고 있는 ‘제약 이론’(Newell, 1986)이 미술창작에서의 성찰을 이론화하는 하나의 모형으로서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성찰로서의 미술창작은 교육과정화가 가능하다. 불확실성, 상황의존성, 문제상황에서의 성찰을 추구하기 때문에 Rowland(1994)가 제안한 창의적 교육과정 설계 관점은 성찰의 교육과정화에 대한 강력한 가능성은 물론 근거를 제공한다. 넷째, 미술창작에서의 성찰은 미술교육에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한다. 성찰이 하나의 지식이 될 수 있고, 성찰은 가르칠 수 있으며, 성찰은 학습자를 배우는 자이게 만들고, 성찰이 문제를 해결하고 발견하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그렇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flection in action’ used in art making as a method of acquiring practical knowledge. For this purpose, first investigated the meaning of ‘reflection in action’ insisted by Schön, secon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Schön’s concept of ‘reflection in action’ into art making questing for the possibility of theory in art education, third, studied ‘reflection in action’ into art making for the possibility of curriculum in art education, fourth, quest for the implications from ‘reflection in action’ for art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below. First, art making is a process as a reflection in action. that is, the private emotions and sense such as feelings, and nuance that artists have during the process of reflection in action used in art making can be practical knowledge. Second, the reflection in action used in art making can be organized as a theory for art education. The constraints-led approach developed from constraints theory (Newell, 1986) can be a model, because this approach follows non-linear approach, and have an assumption every students growth are different like art education. Third, the reflection in action used in art making can be organized as a curriculum for art education, The creative design can be a model, because this model suggested by Rowland(1994) have characteristics of reflection in action, and it embraces unpredictability, situation-specific and indeterminism. Fourth, the reflection in action used in art making have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reflection in action used in art making can be a knowledge, can be taught, makes person learner, is a process of solving and finding problems.

      • KCI등재

        그릿과 몰입 : 미술적 속성은 어느 것을 지향하는가?

        김황기(Kim, Hwang G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20 美術敎育論叢 Vol.3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릿과 몰입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살펴보고 미술적 속성과 어울리는 개념은 어느 것인지 살펴보는 것에 있었다. 연구의 결과 크게 두 가지 이유 때문에 몰입이 미술적 속성과 보다 일치하는 개념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첫째, 몰입의 특징이 미술적 지향과 유사하다. 몰입과 미술은 과정지향적이고, 열정에 기반하고, 창의성의 추구한다는 점에서 가족 유사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둘째, 몰입과 미술은 같은 속성을 공유한다. 몰입이 불확실성에 의해서 활성화되고 미술이 불확실성 속에 존재한다는 것, 몰입이 놀이의 본성을 자극하는 활동일 때 활성화되고 미술이 놀이의 속성을 지지고 있는 활동이라는 점, 몰입이 반복적인 행위에 의해서 촉진되고 미술이 반복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는 점 등이 그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GRIT and Flow, and then to find out which one is match with artistic nature. Because of two reasons, the result of study indicates that flow is match with artistic nature. First, characteristics of flow is similar with the pursuit of art. Because flow and art are process centered, passion based, and creativity oriented, they have family resemblance. Second, Flow and art have nature in common. Flow can be vitalized by uncertainty, and art exist in uncertainty; Flow can be vitalized by activity that stimulus nature of play, and art has the nature of play; Flow can be vitalized by repetitive action, and art has repetitive elements.

      • KCI등재후보

        유체현상으로 본 미술가

        김황기(Hwang-Gee Kim) 한국미술교육학회 2004 美術敎育論叢 Vol.18 No.2

        ‘유체현상’-유년기나 청소년기의 유용한 종(Species)적 특질들이 성인들의 발달단계에서도 유지되는 것-은 미술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미술가들은 행동적으로 훨씬 성체진화 즉, 어른들의 일반적 특성과 반대적인 면을 보여준다. 그들은 많은 면에서 어린이와 닮아 있다. 몬타그(1983)가 말한 어린이들의 유체 현상적 특질들: 애정의 욕구, 감수성, 활동욕구, 호기심, 경이감, 유희성, 상상, 창조성, 열린 마음, 유연성, 실험정신, 기쁨의 충일, 웃음과 눈물 등은 미술적 특질과 관련되어 있다. 인간의 유년기의 형태와 행동은 무한한 힘을 가진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인간의 사고나 행동에 유연성을 부여하며 적응하도록 도와주기 때문이다. 미학과 미술교육은 인간의 유체현상의 특징을 계발하는데 아주 적절하다. 미술적 사고는 구조가 우연적이고, 발산적이고, 보편적이고, 유연하고 실제적이라는 면에서 유체 현상적이기 때문이다. 어린이의 유체 현상적 행동 특성, 즉 젊어지기는 어린시절에 제일 먼저 습득해야할 습관이다. 반면에 늙은이에 대한 우리의 개념은 우리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교육에 의해서 너무 일찍 조건지어진 나쁜 습관이다. 어린이의 유체 현상적 행동특성을 유지하도록 또 계발하도록 고무하기에 적합한 교과는 미술이다. This paper is based on the research of Ashley Montagu. According to Montagu, neoteny has been an important force for physical and behavioral evolution of humans. Neoteny, which is the retention of youthful traits into the adult form of a species, can be used by humans for themselves. The art is the one that can escalate behavioral evolution of humans through aesthetic state, which closely resembles the behavioral state of the human infant who is nonspecialized, nondirectional, curious, open- minded, imaginative, and creative. Six aesthetic states were discussed bring them into behavioral traits that is more significant than physical ones in neoteny for education. They are a privileged view into the mysteries of life, emotion-oriented, seeing beyond appearing, stupor, an ability to break the skins, relaxed mental set.

      • KCI등재

        일곱 번의 만남

        김황기(Kim Hwang G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16 美術敎育論叢 Vol.30 No.4

        이 현상학적 연구의 목적은 미술작품을 본다는 것, 감상한다는 것에 대하여 기술하는 것이었다. 감상 과정에서 일어나는 경험을 참여자가 진술한 언어로부터 추출함으로써 감상이라는 하나의 현상을 연구하려는 의도였다.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좀 더 구체적으로 그들의 변화에서 공통점이 존재하는지, 구조적인 패턴이 발견되는지에 대하여 관심을 기울였다. 참여자들의 진술들로 부터 참여자 개개인들이 감상에 대한 특정한 방식으로 유일한 경험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과, 감상의 일정한 발달단계를 통하여 성장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감상 발전단계는 나비의 ‘한살이’를 닮았다. 그래서 그 단계를 첫째, 알로 세상에 던져지기, 둘째, 알에서 유충으로 변태하기, 셋째, 번데기로 침잠하기, 마지막으로, 나비되어 날기로 명명하였다. 스스로 발견하는 이 감상방법은 참여자 개개인의 유일한 이론이 되었고, 그러한 방식으로 인하여 참여자들은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민감성을 예민하게 가질 수 있었다. In studying this paper I have aimed for certain effects: Novice appreciators (students) may feel fear of this approach. However this approach leads them to become more reflective but also provides them with experiences drawn from real appreciation that make action in reflection meaningful and possible in the first place. Through this project, students developed their growth with four phases like the four butterfly life cycle. They are Born as egg , Hatched as larva , Become a pupa in chrysalis, and Flying as a butterfly . However, every student in the project did not become butterfly and to fly. But I hope students have experience of appreciation not theoretically but practically, by considering not only the head but also the heart, or better, the whole picture. I wanted to offer a theory of the unique that knows how to address the particular case, the practical moments of appreciation in which emotion, morality, and reason cannot be disentangled. In this study, my main function as a teacher was to destroy the bindings attached to the concept of appreciation. I was to have students recover their natural instinct to see, to invent to listen to their intuition. I had become the unteacher. Students were teachers of themselves: the real teacher was appreciation itself.

      • KCI등재

        미술적 창의성에 대한 탐구

        김황기(Kim, Hwang G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10 美術敎育論叢 Vol.24 No.3

        관조자, 제 3자의 입장에서가 아니라 미술적 창조가 발생하고 창조적 작업에 관여한 실제 느낌과 미술가들의 진술에 근거해서 미술적 창의성, 미술적 창의성의 요소, 미술적 창의성의 특징 등을 탐구하였다. 우선, 미술가와 대상과의 만남이 이루어져 합일된 상태가 미술적 창의성이 발현된 상태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만남이 이루어졌다는 증거로 몰입을 들었다. 몰입의 상태, 즉 강렬성과 정열은 미술가와 대상의 독창적이고 새로운 만남을 자연스럽게 드러내기 때문이다. 미술적 창의성의 요소로 두 가지를 거론하였는데, 하나는 헌신이고 다른 하나는 전(全)사고다. 미술적 창의성의 특성은 ‘우연적 발견’, ‘지식발견’, ‘샘솟는 환희’, ‘종합적 발견’, ‘뜨거운 감성’에 보다 의지한다는데 있다고 주장하였다. 창의성의 일반 정의들이 결과물의 질이나 능력에 초점을 두고 있는 반면 예술가 그룹의 미술적 창의성에 대한 정의는 창의적인 결과를 만들어내는 내적 성향, 즉 의식의 고양상태를 강조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efinition of artistic creativity through experiential feelings, anecdotal statements and studies on creativity of artists. First, artistic creativity is the powerful and alive encounter between the artist and his or her world. The encounter make the two become one. The sign of encounter is the flow. Therefore without flow the creativity can't manifest itself. Second, I raised dedication and multi-dimensional thinking as the elements of artistic creativity. Creative people use personal and intuitive tools for thinking to achieve their insights, resorting only in an explicitly secondary step to translating their personal knowledge into a formal language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other people(Root-Bernstein, 2001, 2002, 2003; Root-Bernstein & Root-Bernstein, 1999). Finally, I insisted that artistic creativity more rely on the serendipity, the discovery of knowledge, the ecstasy, the holistic discovery, and the emotion than the intentional discovery, the existing knowledge, the perseverance, the partial discovery, and the reason. The former is the characteristics of artistic creativity. While the definition of creativity focus on the capability of person and the quality of the product, artistic creativity stress on person's inner disposition, that is enhanced consciousness. This study is about the definition of artistic creativity focused on person's inner dispos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