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연과학편 : 아동의 연령 증가에 따른 신체 형태지수의 변화

        김충현(ChungHyunKim),김기학(KiHackKim) 한국체육학회 2007 한국체육학회지 Vol.4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연령 증가에 따른 신체 형태지수의 변화를 분석하여 상대적인 발육 경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써, 연구의 대상은 대구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6-11세까지의 아동을 대상으로 신체형태 7개 부분을 측정하여 형태지수로 산출하였다. 이 자료로 이원분산분석, 일원분산분석, t-test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좌고에 대한 하지장의 비는 약 80-90% 정도이고 연령 증가에 따라 지수값이 증가하며, 7세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더 큰 경향을 보였다. 복위에 대한 흉위의 비는 약 104-112% 정도이고, 8, 10, 11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더 큰 경향을 보였다. 하지장에 대한 하퇴위의 비는 43-47% 정도이고 연령 증가에 따라 비슷하며, 남아가 여아보다 더 큰 경향을 보였다. 상지장에 대한 상완위의 비는 32-36% 정도이고, 10, 11세에서 남아가 여아보다 더 큰 경향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mparison and analysis of remarkabl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according to the aging in order to understand the tendency of relative growth in the Korean students using the formula of somatic index.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from six to eleven years old children in Dae-gu. The physique of the children was inspected in the seven items and yielded the somatic index. The results which were analyzed from two-way ANOVA, one-way ANOVA and t-test using these data were following. The skelic index showed about 80-90% and increased according to aging. It had a significant tendency that the index of girls was bigger than that of boys in the seven years. The trunk girth index showed about 104-112%. It had a significant tendency that the index of girls was bigger than that of boys in the eight, ten and eleven years. The lower limb index showed about 43-47% and continued the similarly although the aging. It had a significant tendency that the index of boys was bigger than that of girls. The upper limb index showed about 32-36% and had a significant tendency that the index of boys was bigger than that of girls in the ten and eleven years.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여학생의 형태지수에 따른 운동능력의 비교

        김충현(ChungHyunKim),김기학(KiHackKim) 한국체육학회 2008 한국체육학회지 Vol.4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아동의 형태지수 수준에 따른 운동능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대구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고학년 여학생 240명을 신체형태 10개를 측정하여 6개의 형태지수를 산출하였다. 이것을 다시 3구간별로 나누어 운동능력을 측정하였다. 이 자료로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후 Scheffe’법으로 사후검정을 하였고, 상관관계를 구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하지장좌고 지수, 상완위상지장 지수 및 흉위좌고 지수는 수준에 따라 하위 수준이 운동능력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견폭둔폭 지수는 상위 수준이 운동능력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퇴위하지장 지수와 BMI는 수준별로 차이가 있었다. 형태지수와 운동능력과의 관련성은 견폭둔폭 지수와 BMI가 근력에서, 흉위좌고 지수는 협응성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otor abilities according to somatic index of elementary school girls. For this study, we selected 240 school girls from 5th grade to 6th grade in Daegu metropolitan city. We measured 10 items of physique and yielded 6 items of somatic index. The yielded somatic index was was divided into 3 levels b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one way-ANOVA, Scheffe post hoc tests,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skelic index, the upper limb index, and the stem index, motor abilities showed higher numerical value in the lower level. In the trunk width index, motor abilities showed higher numerical value in the high level. In the lower limb index and BMI, motor abilities showed different value in the level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matic index and the motor ability, In the trunk width index and BMI showed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in muscular strength significantly, and the stem index showed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in coordnation significantly.

      • KCI등재

        자연과학편 : 음악줄넘기의 운동 빈도에 따른 초등학생의 체력 및 체조성 분석

        하정한(JeongHanHa),김기학(KiHackKim),김충현(ChungHyunKim) 한국체육학회 2008 한국체육학회지 Vol.4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줄넘기의 운동 빈도에 따른 초등학교 아동의 체력 및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학년 남녀 아동을 주간 실시 빈도 1회 집단, 2회 집단, 3회 집단으로 나누어 체력과 체조성을 측정하여 비교 검토한 결과, 체력 면에서 민첩성은 남녀 모두 주 2회 이상 실시한 집단, 순발력은 남녀 모두 주 3회 이상 실시한 집단, 근지구력은 여자 주 3회 이상 실시한 집단, 전신지구력은 남자는 주 3회 이상, 여자는 주 2회 이상 집단에서 유의하게 좋은 경향이 나타났다. 체조성 면에서 체중과 체지방률 및 체질량지수는 남자는 주 3회 이상 실시한 집단, 근육량은 남녀 모두 주 3회 실시한 집단에서 유의한 향상의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hysical fitness and body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exercise frequency music rope-jumping. Children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ne time in a week, twice in a week, three times in a week). In the physical fitness aspect, twice groups in a week (both of boy and girl student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agility, three times groups in a week (both of boy and girl student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power, three times groups in a week (girl student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muscular endurance, three times groups in a week (boy students) and twice groups in a week (girl student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cardio-respiratory endurance. In the body composition aspect, three times groups (boy student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percent body fat (%fat) and body mass index (BMI), three times group s(boy and girl student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muscle m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