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연과학편 : 팔걸이 착용이 편마비 환자의 보행 지지기 동안 하지 근육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정태(JungTaeKim),박성현(SungHyunPark) 한국체육학회 2007 한국체육학회지 Vol.4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편마비 환자의 보행 지지기 동안 팔걸이 미착용과 굴곡형 팔걸이 착용 그리고 신전형 팔걸이착용의 세 가지 조건으로 구분하여 하지 근육의 활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보행 지지기 동안 하지 근육의 평균 적분 근전도 값을 비교 분석한 결과, 부하반응기 동안 대퇴이두근의 평균 적분 근전도 값이 신전형 팔걸이 착용시 팔걸이 미착용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전경골근의 평균 적분 근전도 값은 신전형 팔걸이 착용시 다른 조건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중간 지지기 동안 전경골근의 평균 적분 근전도 값이 신전형 팔걸이 착용시 다른 조건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말기 지지기 동안 비복근 내외측두의 평균 적분 근전도 값은 신전형 팔걸이 착용시 다른 조건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보행 지지기 동안 신전형 팔걸이 착용시 팔걸이 미착용과 굴곡형 팔걸이 착용에 비하여 하지 근육의 협력수축을 촉진하여 근활성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was designed to understand the ankle joint muscle activity during hemiplegia patient's walking stance phase. For this purpose, were sampled and broken down into three groups such as "walking without arm sling" group, "walking with flexion-type sling" group, and "walking with extension-type sling" group. As for the loading response, “walking with extension-type sling" group showed lower average IEMG of biceps femoris than "walking without arm sling" and "walking with extension-type sling" group showed higher average IEMG of tibialis anterior than "walking without arm sling" group and "walking with flexion-type sling" group. As for mid stance, "walking with extension-type sling" group showed higher average IEMG of tibialis anterior than the other. As for the terminal stance, "walking with extension-type sling" group showed higher average IEMG of gastrocnemius medial and lateral head than "walking without arm sling" group and "walking with flexion-type" group. In conclusion, "walking with extension-type sling" group showed higher muscle activity and co-contraction than "walking without arm slig" group and "walking with extension-type sling" group.

      • KCI등재후보

        운동역학 : 체질량 지수별 성인 여성의 보행 형태 분석

        박성현(SungHyunPark),김정태(JungTaeKim) 한국체육학회 2002 한국체육학회지 Vol.41 No.2

        This study was designed to understand women's gait pattern based on the body mass index by analyzing and figuring out specific changes, which includes analyzing temporal and spatial parameters, and the variable of angle of lower joint which are shown in walking movement.For this purpose, 50 grown-up women(at the age of 20-59), who live in Jhinju and Masan, were sampled and broken down into three groups such as underweight group(BMI<20, n=18), normal group(20≤BMI<25, n=19), and overweight group(BMI≥25, n=13) based on judgement of the body mass index for the experiment. At the time GAITRite system and three-dimensional image analyzing system were used.Mean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body mass index using measured data, and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find out general differences and obtained the results as follows;1. As for the rate of stance phase and swing phase, when the weight was on the both, underweight group showed lower rate of stance phase than normal group and overweight group.2. As for the rate of single support and double suppor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ase of left single support. And both at the rate of double support, right single support, underwight group showed differences between normal group and overweight group.3. Related to the step time, and gait velocity, underweight group showed the fastest at the speed of 0.51 ±0.04sec., 126.21±12.54cm/sec.. Relate to the number of steps per minute, underweight group showed the top at the value of 119.66±9.56steps/min. as a whole.4. As for step length and stride length, underweight group showed the top at the value of 63.49±4.61cm, 127.11±8.42cm.5. As for the toe in or out which is generated in movement, there were no differences on the light, while there were differences on the left. As for the step width, normal group showed the top at the value of 8.75±2.11cm.

      • KCI우수등재

        운동 역학 : High Hurdle 의 구간속도와 지면반력 분석

        윤양진(YangJinYoon),김정태(JungTaeKim),이중숙(JoongSookLee) 한국체육학회 1998 한국체육학회지 Vol.37 No.4

        본 연구는 하이허들링시 허들간의 운동학적인 요인인 구간속도와 운동역학적인 요인인 지면반력을 분격하여 경기력 향상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운동학적·운동역학적 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다리에 장애가 없었던 허들선수중 우수선수(실업선수) 2명과 비우수선수(대학선수) 2명을 선정했으며 선정된 피험자에게는 사전에 본 실험에 대한 취지와 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얻었다. 운동학적 요인은 구간속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출발에서부터 골인지점까지의 허들의 각 구간별 구간속도를 측정·분석하였으며, 운동역학적 요인은 총 6대의 압력판을 제1, 5, 10허들의 발구름(take-off)과 착지(landing) 지점에 설치하여 지면반력을 측정·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1. 110m 허들의 경기 기록에 있어서 세계 기록(12.91sec)과 우리나라 기록(13.95sec)과는 1.04sec로 상당한 기록차를 나타내고 있는데, 경기력 향상을 위해서는 선수의 선발·훈련·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대책이 요구된다.2. 선수들의 대부분이 제3∼4허들구간에서 최고속도(7.41±0.30m/sec)를 제9∼10허들구간에서 최저속도(6.78±0.25m/sec)를 나타냈는데, 이러한 기록차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후반 레이스에 대한 체력과 스피드의 보강 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3. 출발에서부터 제1허들까지(13.92m)의 통과기록을 100M 선수의 출발에서부터 스타트 대쉬 구간까지의 기록과 비교해보면 상당한 차이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기록 향상이 우선 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4. 수직지면반력의 분석결과 허들 선수들에게서 나타나는 지면반력곡선은 대부분 후족착지형에 속하였으며 지지시간은 짧을수록 경기력은 향상될 것으로 나타났다.5. 전후지면반력에서 제1정점의 수치는 접지시 진행방향에 대해 제동작용을 하므로 최소화시키고 제2정점은 이지시에 추진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요인이므로 이지시 지면반력의 N(BW) 수치를 크게 할수록 바람직한 것으로 분석되었다.6. 허들 선수들에게 바람직한 지면반력의 곡선형태는 중족착지형이며 족관절의 족저굴 동작은 지지기의 50% 지점 이후부터 진행방향으로 추진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이 시점에서 강력한 족저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interval velocity and GRF on high hurdling. The direction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goal point were measured with a system of interval velocity. The analysis was utilized to analyze the 110m hurdle motion by using each 2 force platform on the 1st, the 5th, and the 10th hurdles from take off to landing after measuring the change of GRF. Also, for this research, 2 elite athletes and 2 college athletes participated as subjects.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major observations of this analysis:1. The best record diviation of the world(12.91sec) and Korea(13.95sec) appeared 1.04sec in 110mH. To improve the performance depend on the utility of selection·traning·management of athletes.2. The result of analyzing of average interval velocity in 110mH, the mast of athletes appeared maximum speed from the 3rd to the 4th hurdles(7.41±0.30m/sec), minimum speed from the 9th to the 10th hurdles(6.78±0.25m/sec). To overcome the record diviation, we have found to need of traning of physical fitness and speed in the final race of 110mH.3. The result of analyzing of pass time in 110mH, the lap times in hurdle to the 1st hudle(13.92m) and the lap times in 100m from the start and to the start dash appeared significant difference. We have found the record of start dash of 100m were significant factor.4. The analysis of the ground reaction force showed that the curve of the vertical GRF was shaped like Rearfoot striker pattern. The shorter the supporting time, the better the performance ability was.5. The more N(BW) at the second peak force, the more desirable the movement was because the anteroposterior GRF minimized the breaking force at the first force in touch-down, but maximized the propulsive force at the second force in take-off.6. The most suitable GRF curve pattern for hurdlecs was that of the midfoot striking. Plantar flexion of ankle joint was considered desirable as it increased propulsion to the moving direction at the latter half of supporting phase.

      • KCI등재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12주간 5단계 운동재활프로그램이 슬관절 기능지수, 근활성도, 주동근/길항근 비율에 미치는 영향

        이광준(GwangJunLee),김병로(ByungRoKim),김정태(JungTaeKim),임인수(InSooLim) 한국체육학회 2013 한국체육학회지 Vol.52 No.2

        본 연구는 전방십자인대(ACL) 재건술 환자를 대상으로 12주간 5단계의 점진적 운동재활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슬관절 기능지수, 근활성도, 주동근/길항근(A/A) 비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상자들은 스포츠 손상이나 사고에 의한 ACL 단독 파열로 재건술을 받은 환자 20명을 재활운동집단 10명과 일반 물리치료집단 10명으로 구성하였다. 5단계 재활운동프로그램 효과의 평가는 슬관절 기능지수, EMG을 이용한 MVIC(maximum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수준, ANT/AGO 비율을 사전, 사후 6, 12주에 검사하였다. 그 결과, 슬관절 기능지수는 물리치료에 비해 재활운동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ANT/AGO 비율은 근력의 향상에도 불구하고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 이는 슬괵근에 비해 대퇴사두근 위주의 운동프로그램 편성이 원인으로 추측된다. EMG 검사에서 외측광근, 내측광근, 대퇴이두근, 반건양근의 MVIC는 물리치료에 비해 재활운동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따라서 ACL 재건술 후 재활치료는 물리치료에 비해 운동재활프로그램이 슬관절 기능지수와 부위별 근활성도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제안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12-week rehabilitation training after ACL(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on knee joint function index, muscle activation, and ANT/AGO(agonist/antagonist) ratio. As subjects, 20 people who underwent ACL reconstruction in the G Hospital due to isolated rupture of ACL by accidents or sports injury were divided into 10 people of rehabilitation training group and 10 people of control group(physical therapy group).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 was conducted for the rehabilitation training group for 12 weeks, 90 minutes per day three times a week and only physical therapy was carried out for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changes in knee joint function index was analyzed and it turned out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2) In the change in knee joint EMG, MVIC of lateral great muscle, vastus medialis, bicephalus femoris, semitendinous muscle was analyzed and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3) The change of ANT/AGO ratio was analyzed and it turned o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shown between the groups. In conclusion, applying the systematic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to patients who underwent ACL reconstruction turned out to be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muscle activation and knee joint function index and muscular streng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