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민지 시기 부산의 일본 기업인 사카타 분키치[坂田文吉]의 사회활동과 전기부영운동

        김예주(Kim Yejoo)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0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about Joseon of Sakata Bunkici, a Japanese businessman who moved from Japan to Busan in 1905 and settled in Busan. Also, with examining the nature of the electrical municipalization movement that he led, examine the hierarchical distinction of the interior of the Japanese in colonial Joseon. Sakata Bunkici, a representative Japanese businessman in Busan, was born in May 1876 in Fukuoka. He traveled to Busan in 1905 to follow his father Sakata Yoichi, who operated a Sakata shop for grain products in Busan. Sakata Bunkici, who was in charge of the store following his father, worked for the Busan Grain Market, Gyeongnam Grain Improving Union, Busan Fisheries Company and etc. to pursue the profit of the store operation and the interests of the localities he had settled. Among the social and political activities of Sakata Bunkici, who emphasizes the interests of the region, the Electrical Municipalization Movement is the activity which shows show well about his recognition of Joseon. He aimed at regional standard based Joseon Gas and Electric Corpo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G&E). However,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company with the influx of Japanese capital, G & E has become a profit-oriented management company. Because of this, Sakata Bunkici hoped that operating just the streetcar by the city office and benefits the region. Also, as a chairman of the Association for the Realization of a Plan for Electrical Municipalization, he led the people s movement and actively involved in the negotiation process of the purchasing cost of the G&E. Negotiations on the price of buying G&E, through the intervention of Sudo Gyeongnam Governor, the governor s adjustment bill, which paid a purchase price of 6,420,000 yen and a bonus of 300,000 yen, was accepted. Sakata Bunkici tried to accept the June 19th Adjustment Plan but it faced opposition from the citizens. However, he had already found that there was a lot of confrontation over the price of the purchase, so that it was impossible to make further adjustments. It can be said that these activities of Sakata Bunkici in Joseon, were for the interests of Busan and himself. He also cooperated with the Koreans in the process of the electrical municipalization movement for the benefit of Busan. However, when it comes to acceptance of the June 19 Adjustment Plan , he was confronted with the citizens. In other words, the Sakata Bunkici is a colonial man who places great importance on the interests of the region, and can be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of the colonial power that considers only the interests of the Japanese in Busan. 본 연구는 1905년 일본에서 부산으로 건너와 정착한 일본인 기업인 사카타 분키치의 조선 인식과 그가 주도한 전기부영운동의 성격을 파악함으로써 재조일본인 내부의 계층적 구별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부산의 대표적인 일본 기업인 사카타 분키치는 1876년 5월 후쿠오카현에서 태어났다. 그는 부산에서 곡물상 사카타상점을 운영하고 있던 아버지 사카타 요이치의 뒤를 잇기 위해 1905년 부산으로 도항하였다. 상점을 일임 받은 사카타 분키치는 이를 바탕으로 부산곡물시장, 경남미곡개량조합, 부산수산주식회사 등에서 요직을 맡아 상점 운영상의 이익과 자신이 정주하고 있는 지역의 이익을 추구하였다. 지역의 이익을 중시한 사카타 분키치의 사회·정치활동 중 그의 조선인식이 잘 드러나는 활동은 전기부영운동이다. 그는 지역 본위의 조선와사전기주식회사(이하 와전)를 지향하였다. 그러나 회사의 설립과정에서 일본 자본이 유입되면서 와전은 ‘사익(社益 )’중심의 경영을 하게 되었다. 이에 사카타 분키치는 전차만이라도 부(府)에서 운영하여 지역에 이익이 되었으면 하였다. 전기부영기성동맹회 회장으로서 부민운동을 주도하며 와전 매수 가격 협상 과정에 적극적으로 관여하였다. 와전 매수 가격 협상이 난항 끝에 매수가격 642만 엔에 위로금 30만 엔을 지급하는 도지사 조정안으로 타결되었다. 사카타 분키치는 ‘6월 19일 조정안’을 수용하고자 하였으나, 부민들의 반발에 부딪혔다. 그러나 그는 이미 매수 가격을 놓고 많은 대립이 있었기 때문에 더 이상의 조정은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사카타 분키치의 조선에서의 활동은 자신이 정주하고 있는 부산의 이익 및 개인의 이익을 위한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는 부산의 이익을 위해서 전기부영운동 과정에서 조선인과 협력하기도 하지만 ‘6월 19일 조정안’ 수용 문제에 있어서는 부민과 대립한다. 즉 사카타 분키치는 지역의 이익을 중시한 식민지민이면서, 부산 내 일본인들의 이익만을 생각한 식민 권력의 대리자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