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생부종합전형 유사도 검증에 대한 인식 및 운영 현황 연구

        김수연 ( Kim Su-yhun ),김효희 ( Kim Hyo-hee ),최혜림 ( Choi Hye-rim ),김화신 ( Kim Hwa-shin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8 입학전형연구 Vol.6 No.-

        본 연구에서는 교사·학생·학부모의 교사추천서 및 자기소개서 유사도검색시스템에 대한 인지도와 유사도 검증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 공정성 확보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A대학 입학설명회에 참여한 교사·학생·학부모 571명을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수행하였고, 2016년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지원사업에 선정된 60개 대학의 사업신청서를 검토하여 각 대학의 유사도 검증 운영 현황을 살피고 이 중 5개 대학 담당자 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보다 학생·학부모의 유사도 검증에 대한 인식이 낮게 나타났다. 대학별로 대교협에서 제공하는 유사도검색시스템을 활용하지만 유사도 검증 절차 및 처리 방법 등을 자율적으로 운영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사도검색시스템 활용의 확대로 대학 간 결과공유가 필요하며, 대학별 자율적 운영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공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또한 유사도검색시스템 운영 일정 개선과 고교 유형 및 대상을 확대하여 지속적인 유사도검증에 대한 안내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to ensure fairness by examining the teachers'·students' and parents' level of awareness about the similarity search system and the current state of similarity measurement by universities. To achieve this goal, the investigation of awareness was conducted based on 571 teachers·students and parents, and the applications of universities were examined, so the operation status of similarity measurement of the universities was considered and among those, the interview with five universities officers was carried out.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students' and parents' awareness about the similarity measurement was lower than the teachers'. The similarity search system which is provided from the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was applied by universities, but the procedures and handling methods of similarity measurement were operating autonomously.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at the sharing results between the universities by the expansion of the applying the similarity search system, and suggests the need to provide guidelines about the self-regulating operation by universities. In addition, it suggests the need to improve of operating schedules of similarity search system and guide continuously about the similarity measurement by expanding type of high school and target.

      • 정성적 평가의 평가준거와 전공역량간의 관계 연구

        김수연 ( Su Yhun Kim ),조희권 ( Hee Kwon Cho ),이승아 ( Seung A Lee ),박지선 ( Ji Seon Bak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4 입학전형연구 Vol.3 No.-

        학년도 입시에 도입된 학생부종합전형은 입학사정관전형과 같이 정성적, 주관적 평가로 이루어진다. 입학사정관의 정성적 평가는 평가준거에 따라 이루어지며, 평가과정에서 지원자의 역량 평가는 전공의 특성과 관련된다. 평가준거와 전공특성간의 관계를 살피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평가자가 평가하는 합격자의 특성과 합격생이 인식하는 합격자 특성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 재학생의 전공별 필요역량은 전공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가?이다. A대학의 인문/자연/의약계열의 10개 전공을 선정하여 평가자의 평가데이타와 재학생의 설문데이타를 비교 분석하였다. A대학 입학사정관전형 서류평가에 합격한 학생 309명을 평가한 평가자 3인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현재 각 전공별재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전공 역량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평가자가 평가하는 특성과 합격자가 인식하는 특성 간에는 차이가 발견된다. 또한 입학사정관전형으로 합격한 합격자들이 그 외 전형으로 합격한 학생들 보다 평가준거에 해당하는 능력을 우수하게 인식한다. 각 전공별 재학생들이 인식하는 전공 필요역량에서는 전공별 특성을 발견할 수 있다. 선정된 11개의 역량 중에 국어국문학과는 ‘풍부한 독서활동 및 상식’이 정치외교학과는 ‘리더십’이 다른 전공과 차별 되어져 필요 역량으로 보여진다. 10개 전공영역 재학생이 인식하는 필요역량을 통해 전공역량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함의점 및 제한점,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언한다. In order to subjectively analyze the admission officer`s standards that vary according to the relevant majors, this research looks at two aspects. First subject is the difference between what the admission officer perceives as necessary qualities of a successful candidate against what the actual candidate believes. The second part studies whether the current student`s required competency varies according to the majors. The result of the research revealed the different ideas between the admission officers and the accepted candidates regarding the necessary qualities of a successful candidate. Also, candidates who were accepted under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were better aware of the required qualities than candidates accepted under different programs. This research also showed that the current student`s understanding of required competencies varies according to their majors. Of the 11 competencies which were the subject of this analysis, “Substantial reading activities and literary knowledge” and “Leadership” stood out as core competencies for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nd the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nd Diplomacy, relatively.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10 majors were based on what the current students recognized as required competencies. Finally, the implications, limits and further directions of this research are suggested.

      • 입학사정관제 평가로서의 학교생활기록부 "독서활동상황" 분석

        김수연 ( Su Yhun Kim ),남궁경현 ( Kyeong Hyeon Nam Gung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2 입학전형연구 Vol.1 No.-

        독서활동상황은 입학사정관 전형에서 평가요소로 활용되는 학교생활기록부의 내용 중 학생의 특성을 보여주는 영역으로 2010학년도부터 대학에 제공되고 있는 자료이다. 본 연구는 입학사정관 전형의 중요 활용자료인 ``독서활동상황`` 기록의 의미를 살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이론적 모형으로서 학교생활기록부 길라잡이의 ``독서활동상황`` 예시내용을 독서활동분석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둘째, 현재 실태 파악으로 8개지역 9개고교 479명의 2010, 2011, 2013학년도 ``독서활동상황``의 기록 유형을 분석하였다. 셋째, 모형의 실제 적용으로서, 학생의 실제자료를 독서활동 분석모형에 따라 분석하고 개별학생 자료 분석 시 해석의 어려움과 모호함을 제시하였다. 입학사정관제에서 실시되는 정성적 평가는 평가자의 전문성을 기본 전제로 한다. 평가자의 전문성은 평가자료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입학사정관전형 평가의 이해를 심화하고 고교에서의 ``독서활동상황`` 기록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Reading activities the school records of the information used as the evaluation factors in the admissions office area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from the 2010 school year at the University and in the situation. This study, the admissions office of the important practical material ``reading activities, situations, looking up the meaning of the record is its purpose. First, as a theoretical model tutorial school records of ``situation`` reading activities illustrate the content model to analyze reading activities were analyzed. Second,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us type of a record eight local high school 479 2010, 2011, 2013 school year of the ``situation`` reading activities were analyzed. Third, as a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model, the student`s reading activities, depending on the model analysis with actual data analysis, and individual student data analysis, interpretation of the difficulties and ambiguities presented. Qualitative evaluation carried out in the admission control is the basic premise of the expertise of the evaluator. The expertise of the evaluator can be achieved through a deep understanding of assessment data, Is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high school in the activity of ``reading record`` situation and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admissions office evaluation.

      • 대학입학전형과 전공만족도간의 관계연구

        김수연 ( Kim Su-yhun ),조희권 ( Cho Hee-kwon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6 입학전형연구 Vol.5 No.-

        대학에서의 전공을 선택할 때 성적에 맞춘 진학이 아니라, 학생의 적성과 흥미가 고려된 진학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고교에서의 다양한 진로교육 활성화와 교육과정의 변화는 이러한 움직임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입학전형의 변화로 인해 학생의 적성과 흥미가 고려된 진학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피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전형에 따라 현 전공에 대한 고교진로희망에 차이가 있는가? 전형에 따라 현 전공과 관련된 고교 동아리활동에 차이가 있는 가? 전형에 따라 현 전공의 전공만족도/몰입도는 차이가 있는가? K대학 281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학생부종합전형, 논술우수자전형, 정시수능위주전형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학생부종합전형 합격자들은 고교에서의 수업 만족도도 높게 나타났으며, 동일 전공으로 진학한 학생이 의미 있게 많았다. 또한, 고교시절 동아리 활동도 현재 전공과 관련되어 있다는 답변이 의미 있게 많게 나타난다. 이러한 과정을 걸쳐 대학에 입학한 학생들의 대학전공만족도와 몰입도 또한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자들에게서 높게 나타난다. When students choose their major in university, the need for admission to higher levels of student aptitude and interest has arisen, rather than adhering to student performance. The activation of various career education and the change of curriculum at high school are one of such move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a student`s aptitude and interest are being considered due to changes in university admission. Is there a difference in high school career hope for current majors depending on the selection? Is there a difference in high school club activities related to current majors depending on the selection?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major satisfaction and commitment of the current major depending on the selection? K university 281 students were surveyed and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eral selection of student record department, essay excellence selection, and regular exams. The students who passed the general selection at the student record department showed high satisfaction in class at high school, and there were a significant number of students who entered the same major. Also, there were a lot of responses that club activities during high school were related to current major.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commitment of university students entering the university through this process was also high in the comprehensive selection of student record department.

      • 학생부종합전형 도입에 따른 대학 전공선택과 고교 진로선택간의 관계

        김수연 ( Su Yhun Kim ),조희권 ( Hee Kwon Cho ),박지선 ( Ji Seon Bak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5 입학전형연구 Vol.4 No.-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입학전형의 학생부종합전형 도입을 통한 학생들의 전공선택 변화를 살피는데 있다.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인해 고등학교 학생들의 전공선택에 관한 의사결정에 변화를 학교 생활기록부 진로희망사항과 동아리 활동 내용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K대학교 A학생부종합전형 2014학년도 등록자 225명과 2015학년도 등록자 409명, 총 634명의의 학생부 기록의 ``진로희망사항``과 ``동아리활동``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진로희망사항과 동아리 활동은 대학의 전공 특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진로희망사항이 선택은 대학전공과 50%~80% 일치를 보였으며, 동아리활동은 40% 미만의 일치를 보인다. 동아리활동은 1. 전공관련 동아리가 많지만 다양한 영역의 동아리 활동이 나타나는 경우와 2. 전공 특성상 관련 영역의 동아리 활동이 어려운 경우 3. 전공 관련 동아리 활동이 늘어나거나 많은 경우가 나타난다. 연구결과 진로희망사항과 동아리활동이 전공의 특성에 따라 학년별로 달라진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changes in student major selections through the adoption of comprehensive screening system of student files by college admissions. Changes in the major selec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due to comprehensive screening system of student files were observed through analyses of career wish lists and club activities recorded in school transcripts. Observations were made of changes in ``career wish lists`` and ``club activities`` recorded in the transcripts of 634 students registered for A comprehensive screening system of student files of K University, with 225 registered for the year 2014 and 409 registered for the year 2015. Career wish lists and club activities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university major characteristics. Selections in career wish lists showed 50%~80% congruence with university majors and club activities showed less than 40% congruence. With club activities, 1. while there were many clubs related to majors, there were many club activities of various areas, 2. cases wher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make it difficult to conduct club activities in relevant fields, and 3. cases in which there were an increased or large number of major-related club activities. Research results show that career with lists and club activities change by academic year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student majors.

      • 대입 수요자의 대학입학전형 인식유형 연구

        김수연 ( Kim Su-yhun ),김이지 ( Kim Yee-jee ),이승아 ( Lee Seung-a ),김은혜 ( Kim Eun-hye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8 입학전형연구 Vol.7 No.-

        본 연구는 대입에 직면한 대입 수요자인 학생, 학부모, 교사의 대학입학전형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입 수요자의 관점에서 인식하는 대입 전형에 대한 인식 차이를 이해함으로써 대학입학전형 개선 요구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대입정책 방향성 모색에 기초 자료를 마련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대상은 A대학교 입학설명회 및 박람회에 참여한 학생·학부모·교사로, 학생 372명, 학부모 234명, 교사 432명가 응답하였다, 대상별 차이를 살피기 위해 전형별, 고교유형별, 계열별 기술통계 분석 및 ANOVA(변량분석),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 본인이나 자녀, 지도하는 학생이 전형유형에 따라 대학입시에서 합격가능성이 높으며, 유리하다고 인식하는 정도는 대입전형 준비 정도와 거의 같은 경향성을 보여주었다. 학생은 정시(수능)를, 교사는 수시(학생부종합)와 수시(학생부교과)를, 학부모는 수시(학생부종합), 정시(수능)를 준비하고 합격가능성이 높으며 유리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육의 미래를 위해 대학입학전형이 변화되어야 하는 바람직한 모습으로 대학입시를 위해 준비하고 있는 정도와 대학입시에서 합격가능성이 높은 전형의 확대에 동의했다. 그 이유로 학생과 학부모는 ‘공정한 전형 방법이므로’, 교사는 ‘고등학교 교육에 좋은 영향을 미쳐서’를 가장 크게 들었다. 대입수요자 간의 인식 차이를 고교유형별, 계열별로 나눠 살펴보았을 때, 대상의 특징과 당면한 여건에 의한 차이가 있었다. 고교유형에 따른 차이는 대체로 외고 국제고 자사고 대상자의 경우 정시(수능)를, 일반고는 수시(학생부종합)과 수시(학생부교과)를 더 준비·유리하다고 생각했다. 계열별로 인문계열은 자연/의학계열보다 수시(학생부종합)를, 자연 의학계열은 정시(수능)와 수시(논술)를 좀 더 준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과 교사에서는 계열별 차이가 있었지만 학부모에서는 계열별 차이를 볼 수 없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미래의 교육을 위한 방향성으로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향성을 찾는 접근보다는 다양한 가치관과 입장들이 공존 할 수 있는 방향성을 고려해보는 데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the college stakeholders such as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on university admission types. By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university admission types from the college stakeholders’ perspective, it deepens demands to improve university admission types and provide basic material to set the direction of college admission policy. The study conducted based on the responses of 372 students, 234 parents and 432 teachers who attended University A’s Introductory and Exhibition Events. As a resul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admission types that students were preparing, and the one that they believe an admission type has an advantage. While students thought, it has the advantage to prepare for National Scholastic Aptitude Test(NSAT), teachers thought, it is better to prepare for Comprehensive School Records Screening(CSRS) and Intimate University Admission Factor System(IUAFS), and parents believed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CSRS and NSAT. For the future of education, they all agreed that an individual must prepare and has an advantage towards the expansion of the changes of university admission types. Students and parents thought it should change to ‘fair admission types,’ and teachers believed that ‘it positively benefits high school educa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college stakeholders as the research looks at the high school and academic department types. In terms of high school types difference, most people in foreign language school, international school, and private high school seemed to think that it has an advantage to prepare for NSAT, while people work in general high school thinks it is beneficial to prepare for CSRS, and IUAF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ademic department types, humanities majors prefer CSRS in compared to natural science/medicine majors; while natural science/medicine majors prepare more towards NSAT, and Essay. Regarding academic department type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parents. Rather than finding possible solutions of to all of the questions that deal with navigation of future of education, it aims to consider different stance and values can coexi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