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주남산 佛敎遺蹟의 시대별 형성과정과 特徵

        김구석 경주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신라 불교유적의 보고인 남산은 7세기 초를 시작으로 신라를 지나 고려가 도래하기 전까지 많은 수의 사찰과 불교미술이 조성되었다. 그동안 남산의 불교유적은 개별 유적에 대한 연구와 접근이 오랫동안 이루어져 왔지만 남산이라는 큰 틀에서 전체 유적을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는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오랜 시간 동안 경주 남산이라는 특정한 산을 중심으로 많은 수의 불교유적이 집중되고 누적될 수밖에 없는 이유에 대해 거시적인 안목으로 접근해 보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이러한 접근 방법을 통해 남산을 보다 폭넓게 이해하고 경주, 더 나아가 신라의 불교문화에서 남산이 차지하는 위치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밝혀진 남산 불교유적의 의의와 특징은 두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남산의 유적들은 북쪽 기슭에서부터 7세기 전반~중반 경에 주로 조성되기 시작하였으며, 서남산에는 좀 더 연대가 올라가는 경우도 있으나 그 외에는 모두 8~9세기에 조성되었다. 따라서 남산은 왕경과 가까운 북쪽에서 시작하여 점차 남쪽으로 유적이 조성되는 경향을 보인다. 특히, 서남산에는 신라 건국에 관련된 유적들이 남아있어서 신라사 전개와 깊이 연관된다고 생각된다. 결국 7세기 전반 경에 처음 불적이 조성되기 시작하여 통일 이후 세련되고 사실적인 불적들이 크게 융성하다가 9세기에는 새로운 시대양식을 창안하여 10세기 이후에는 유지, 보수되면서 고려를 지나 조선후기까지 면면히 이어오고 있다. 남산 불교유적의 특징은 삼국시대부터 고려, 조선시대까지 다른 지역에 비해 오랜 기간 동안 조상활동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다양한 시대동안 축적된 불교유적의 형식과 도상이 다채롭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특히 칠불암, 탑곡 사방불의 경우 통일신라시대 사방불 신앙이 반영된 조영물이며, 용장사지 삼륜대좌불상과 같은 경우 신라 다른 지역에서 나타나지 않은 독특한 불상대좌를 이루고 있다. 마애불 역시 탑곡 사방불에서는 신라의 가장 명확한 마애탑이 2기 조성되었고, 삼릉계 선각 육존불의 경우 회화적인 표현 방법과 함께 한국 불교미술에서 독창적인 도상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9세기 석탑에서 등장하고 있는 다양한 기단형식의 출현 역시 경주남산 불교미술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생각된다. Namsan, a treasure house of the Shilla Buddhist relics, promoted the development of a lot of Buddhist temples and Buddhist art from the early seventh century of the Shilla Kingdom before the emergence of the Goryeo Dynasty. As far as the Buddhist relics of Namsan are concerned, individual remains have long been researched and considered, but the attempt to understand overall relics from the great framework of Namsan has been hardly made. Thu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tudy is to investigate about why a number of Buddhist relics could not but be concentrated and gathered in a particular mountain, Namsan of Gyeongju, from macro-perspectives and approaches. And based on such approaches and methods, this study will understand about Namsan in a broader sense, and consider about the status that Namsan has in the Shilla Buddhist Culture. The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Buddhist relics of Namsan that this research study reviewed can be explained in the following two contexts. Namsan relics had begun to be introduced from the bottom of the north during the early and mid-the seventh century. In the case of the west of Namsan, the history of the relics was traced back to the earlier times. All remains except for the relies of the west of Namsan became the mainstream in the eighth and ninth centuries. Taking it into allowance, it seems that Namsan relics were developed gradually from the north close around Wanggyeong to the south. It is considered that in particular, Namsan of the west has something close to do with the development of the Shilla history, judging that it possesses a lot of relics related to the national foundation of the Shilla Kingdom. Finally, Namsan Buddhist relics began to be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the early seventh century, and after the united Shilla, sophisticated and realistic Buddhist relics flourished. In the ninth century, such relics were patterned after new styles of the age, and the tenth century after they were maintained and managed, Buddhist relies were succeeded to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going from the Goryeo Dynasty. One of the stark characteristics of Namsan Buddhist relies is that sculpture work of Buddhist statue had steadily been perform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re, from the age of the ancient three Kingdoms until the age of the Goryeo and Joseon Dynasty, compared with in any other regions. Another characteristic of such relics is that the images and icons of Buddhist relics accumulated for several periods are exhibited in various ways. Especially, Chilbulam (Seven Buddha Rocks), Sabangbul (Four-Directional Buddha Icons) in Namsan, Tapgok, were featured as the sculpture which reflected the belief of Sabangbul (Four-Directional Buddha Icons) of the era of unified Shilla. Samryundaejwa-bulsang (a Seated Stone Statue of Buddha) in the temple site, Yongjang, is referred as the specific architectural style that cannot be found in any other region of Shilla. In the case of Maaebul (Rock-Caved Buddha), there was developed No. 2 Maaetap (Rock-Caved Pagoda) as one of Sabangbul (Four-Directional Buddha Icons), Tapgok, well-known as the most specific masonry. Samreunggye Seongak Yukjeonbul (Yukjeonbul Carved in Samreung Valley) shows the figurative expression method and unique icon image that cannot be found in any area of the Korean Buddhist Art. Various base forms of stone pagoda in the ninth century are considered the major characteristic of Buddhist Art of Namsan of Gyeongj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