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남희,권려원,Jo, Nam-Hee,Kwon, Ryeo-Won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7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일 지역에 위치한 3개 대학의 재학생 191명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자가보고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One way ANOVA), 피어슨의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요인은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만족도로 나타났으며 영향요인에 따른 설명력은 42.3%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만족도 향상이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를 높여주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향후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시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만족도 증진을 위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1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one area, and the data collection use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subjects were self-esteem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the explanatory power according to the influence factors was 42.3%.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improving college students' self-esteem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can help them improve their life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elf-esteem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when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in the future.

      • KCI등재

        간호전문직관과 교수효율성이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상민(Sang Min Kwon),이정화(Jeong Hwa Lee),권려원(Ryeo Won Kwon),이지현(Ji Hyun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8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관, 교수효율성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D도시에 소재하고 있는 일개 대학 간호학과 4학년 252명을 대상으로 2019년 5월 3일부터 5월 1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징 분석,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분석, Scheffe test 사후검정, 상관관계 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호전문직관 평균 평점은 3.81점, 교수효율성은 3.27점, 임상수행능력은 3.60점으로 나타났다.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간호전문직관과 교수효율성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성별, 간호전문직관, 교수효율성은 유위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영향요인이 높은 것은 간호전문직관이었다. 영향요인의 설명력은 19.6%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전문직관과 교수효율성이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규명함으로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임상실습교육을 위해서는 간호전문직관과 교수효율성을 고려한 임상실습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ching efficienc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clinical practice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252) in D province completed this study questionnaire.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3rd to 11th May in 201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WIN 21.0. The results reveal that nursing students had a medium level of clinical practice competence.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ex, nursing professionalism, teaching efficiency, and clinical practice competence. Nursing professionalism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19.6%.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at nursing professionalism and teaching efficiency were influenced the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nursing professionalism and teaching efficiency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clinical practice education programs to increase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 KCI등재후보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회복 탄력성 및 셀프리더십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이진숙(Jin-Sook Lee),권려원(Ryeo-Won Kwon),이연규(Yeon-Kyu Lee),홍경주(Gyeong-Ju Hong)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0 사회융합연구 Vol.4 No.4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이 인식하는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의 4년제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2-4학년 간호대학생 227명을 대상으로 2020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주관적 행복감, 자기효능감, 회복 탄력성, 셀프리더십 도구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과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이 인식하는 주관적 행복감은 7점 척도에 5.24±1.00점이었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 행복감은 주관적 건강상태(F=15.07, p<.001), 학과 지원동기(F=3.00, p=.012), 성격(F=15.02, p<.001), 친구 관계(t=6.56, p<.001), 가족 구성원과의 관계(t=4.38, p<.001)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간호대학생의 회복 탄력성(t=4.68, p<.001), 친구관계(t=4.52, p<.001), 자기효능감(t=2.95, p=.004), 주관적 건강상태(t=2.72, p=.007), 학과 지원동기(t=-2.29, p=.023)는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모형의 44.7%(F=31.427, p<.001)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이 인식하는 주관적 행복감 증진을 위한 방안 및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descriptive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influencing on subjective happiness of nursing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227 nursing students in grades 2 to 4 in G city from May 1, 2020 to June 30, 2020.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that contained items on subjective happiness, Self-Efficacy, Resilience, Self-Leadership scale.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WIN 23.0 program. The subjective happiness of the subjects averaged 5.24±1.00 on the 7-point scale, and the subjective happines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jective health status (F=15.07, p<.001), motivation for Entering college (F=3.00, p=.012), personality (F=15.02, p<.001), friendship (t=6.56, p<. 001), relationship with family members (t=4.38, p<.001).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the subjects subjective happiness were Resilience (t=4.68, p<.001), friendship (t=4.52, p<.001), self-efficacy (t=2.95, p=.004), subjective health status (t=2.72, p=. 007), motivation for Entering college (t=-2.29, p=.023),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44.7% (F=31.427, p<.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a foundation to development of plans and an efficient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the happiness of nursing students.

      • KCI등재

        지역사회 거주 허약 노인의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상민(Sang Min Kwon),권려원(Ryeo Won Kwon),이혜란(Hye Ran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2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허약 노인을 대상으로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정도를 알아보고,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D지역 재가 방문 서비스를 받는 대상자 중 65세이상의 허약 노인 164명이었으며, 2020년 1월부터 2월 2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WIN 23.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징 분석,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분석, Scheffe test 사후검정, 상관관계 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울은 10.67점, 주관적 건강상태는 6.71점, 건강증진행위는 2.59점으로 나타났고, 건강증진 하위영역별 점수는 영양이 2.83점으로 가장 높았고, 스트레스 관리가 2.06점으로 가장 낮았다.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우울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주관적 건강상태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연령, 교육수준, 우울로 나타났고 이 변인들은 건강증진행위를 73.6% 설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우울이 허약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규명함으로써 허약 노인이 장애 노인으로 진행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우울 중재가 포함된 다양한 프로그램 통한 허약 노인의 건강증진행위를 지속시키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frail elderly. The subjects were 164 frail elders aged over 65 registered with the home visiting services of two welfare centers in D city. Data was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January 2 to February 21, 2020. Data was analyzed using the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WIN 23.0 program. The mean depression score was 10.67, perceived health status was 6.71, health promotion behavior score was 2.59.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depress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and perceived health status was positively correlated .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were age, education level, and depression. These variables accounted for 73.6%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it is important to continue health promotion for the frail elderly through various programs including interventions for depression to prevent the elderly from progressing to dis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