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선 초의 당악정재 수용과 변용

        곽림림 ( Guo Linlin ) 전북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2023 예술과 문화 Vol.3 No.0

        ‘당악’ 은 넓은 의미로 한국에 수용된 중국음악 전반을 가리키며, 당악정재는 당연히 중국에서 ‘수용’ 되었다. 그러나 고려시대 중국에서 수용된 당악정재는 조선 궁중으로 계승되며 변화하였으며, 이는 단순히 시간적 흐름에 따른 평면적 변화를 넘어 한국의 사정과 한국인의 미의식이 적극적으로 반영되었다. 한편, 조선 초에 새롭게 창작된 당악정재에는 고려 시대 당악정재의 모습이 남아 있으며, 당악정재가 향악정재에 영향을 끼치기도 하였다. 『고려사』에 기록된 향악정재와의 비교를 통해 살펴볼 때, 고려시대 당악정재는 ‘노래를 주체로 한다’, ‘느린곡과 빠른곡이 엇갈린다’, ‘시작과 끝이 같다’의 세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악학궤범』의 당악정재 중 고려에서 계승한 <헌선도> <수연장> <오양선> <포구락> <연화대> 5편의 정재 역시고려 시대 당악정재의 특징을 유지하고 있으며, 더욱 규범화되고 세밀화된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와 함께 <곡파>를 살펴 본 결과, 곡파는 ‘대곡’과 대립하여 존재하는 독립된 구조의 유형이다. 마지막으로 5편의 당악정재와 조선 초기 새롭게 창제된 9편의 당악정재를 비교한 결과, 새롭게 만들어진 당악 정재는 고려시대 당악정재의 형식과 구성을 계승했으나 노래부르는 악곡의 수가 급감하면서 하나의 정재에 하나의 악곡을 노래하는 특징을 보이고, 느린곡과 빠른곡이 서로 교대하는 특징이 사라지고, 노래가 아닌 춤이 주체로 바뀌었다. 즉, ‘당악의 한국 음악화’라 일컬어지는 현상이 조선 중·후기부터 비로소 일어난 것이 아니라 이미 조선 초기부터 일어나기 시작했음을 알 수 있다. ‘Dangak’ refers, in a broad sense, to the whole Chinese music accepted by Korea, and Dangak Jeongjae was, of course, 'accepted' by China. However, Dangak Jeongjae accepted by China at the period of Goryeo has been inherited and changed by Joseon court, which was simply beyond the planar change according to the time flow and reflected actively by Korean situation and Korean's aesthetic sense. On the other hand, in Dangak Jeongjae newly created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e aspect of Dangak Jeongjae at the period of Goryeo remained, which affected even the Hyangak Jeongjae. Observing through the comparation with the Hyangak Jeongjae recorded in Goryeosa (The History of Goryeo), Dangak Jeongjae in Goryeo period has three characteristics such as ‘it is subjected by a song’, ‘slow song and fast song go crisscross’, and ‘it has the same start and end’. According to Dangak Jeongjae in Akhakgwebeom, 5 editions of Jeongjae such as Heonseondo, Suyeonjang, Oyangseon, Pogurak, and Yeonhwadaemu, inherited from Goryeo, also keeps the characteristics of Dangak Jeongjae of Goryeo period, and shows the more normalized and detailed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f we observe Gokpa, it has a type of independent structure that exists against ‘Daegok’. Finally, as a result of comparing 5 editions of Dangak Jeongjae and 9 editions of Dangak Jeongjae newly created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e newly created Dangak Jeongjae inherited the type and composition of Dangak Jeongjae of Goryeo period, but with the rapid reduction of the number of songs; one Jeongjae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singing one so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rchanging slow and fast songs disappeared, and the dance has been changed as its subject. Namely, the phenomenon called ‘our musicalization of Dangak’ has not been appeared from the middle and latter period of Joseon but appeared from the early Joseon period.

      • 중국 ‘고보학(古譜學)’ 연구변천과 성과

        곽림림 ( Guo¸ Linlin ) 전북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2023 예술과 문화 Vol.4 No.0

        중국의 악보는 음악적 메시지를 기록하고 전달하는 도구로서 중국의 오랜 음악 역사 속에서 소중한 유산이다. 중국에서 ‘고악보(古樂譜)’는 율려자보(律呂字譜), 문자보(文字譜), 감자보(減字譜), 속자보(俗字譜), 연악반자보(燕樂半字譜) 등 탄생 연대가 오래된 고대 기보법을 말하는데 고악보 자원이 풍부하고 오랜 전통 문화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데 이에 고보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는 학문 발전의 과제이자 책임이다. ‘고보학’은 기본적으로 고고학(考古學), 문학, 예술학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이 종합적으로 고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음악이라는 단순한 학문적 차원을 넘어 인류학(人類學), 민족학(民族學), 문화예술사학(文化藝術史學) 등의 학문적 가치도 크게 있으므로 중국 고보학의 발전 과정과 성과 정리에 대한 연구는 다음 단계의 발전 방향을 명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글은 중국 ‘고보학’을 발전 단계, 연구 주제, 학문적 성과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 Chinese ancient music has rich historical resources and profound cultural attributes, so to study it is not only the task and responsibility of discipline's development, but also the transformation of its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in modern times. There has been a tradition of studying ancient music in China since ancient times. However, there is still room for further integrated research in the academic exploration of paleogenealogy from the perspective of discipline. Therefore, after analyzing relevant literature through Citespace, this paper roughly divides the research process of paleogenealogy in China into three stages: embryonic stage, development stage and deepening stage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emphasis of Chinese scholars. According to the re-analysis of each stage based on the literature, it can be seen that in the embryonic stage of the study of paleogenealogy, there appeared such scholars as Xia Chengtao, Tang Lan, Zhao Rulan, Wang Chongmin, Ren Erbei, Yang Yinliu, Yin Falu and Qian Renkang, which laid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is discipline. During the period of development, Ye Dong, Chen Yingshi, Zhuang Yongping, Wang Anchao and other scholars emerged one after another, continuously promoting the depth of research on paleogenealogy and completing a certain degree of academic accumulation. In the deepening period, Chinese scholars carried out research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on the basis of previous achievements, and the use of comparative research method and the broadening of international vision ushered in new vitality for paleogenealogy. Nowadays, the research of China's ancient castle science is in line with the world, and the successful holding of various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s has made China's ancient genealogy enter a larger stage and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