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교도관의 감수성훈련 집단상담 참여경험에 관한 연구

        이향숙(Lee Hyang Suk),신애자(Shin Ae Ja)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8 복지상담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연구 방법 중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감수성훈련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감수성훈련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도관의 참여경험과 참여경험에 대한 구조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교도관 5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Colaizzi(1978)가 제시한 7단계 절차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67의 주제와 15개의 주제묶음, 그리고 5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도관의 감수성훈련 집단 상담에서의 경험은 ‘교도관의 감수성훈련 적응과정’, ‘교도관의 스트레스’, ‘개인내적 심리 변화’, ‘대인관계에서의 변화’, ‘교도관으로서의 태도와 역할 변화’로 파악 되었다. 둘째, 집단상담 참여경험의 구조와 관련하여, ‘교도관의 스트레스’는 ‘교도관의 감수성훈련 적응과정’에 영향을 미치고, ‘교도관의 감수성훈련 적응과정’은 ‘개인내적 심리변화’와 ‘대인관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개인내적 심리변화’와 ‘대인관계의 변화’는 ‘교도관으로서의 태도와 역할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이들은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각 범주에 포함되어 있던 주제묶음들이 서로 상호작용적으로 연결되어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상에서 본 연구는 감수성훈련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도관의 참여경험과 참여경험에 대한 구조를 알아봄으로써, 그들의 교정목표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주고, 교도관들의 정서안정을 도모하는 다양한 사업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e of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experience of jailer participating in sensitivity training group counseling program by us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this study, five jailer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for in-depth interview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seven step procedure presented by Colaizzi (1978). The results of the analysis, 87 themes, 16 theme clusters and 6 categories were deriv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experience of sensitivity training group counseling of jailer are as follows: ‘life as a jailer’, ‘adaptation process of ‘sensitivity training of jailer’, ‘change of perspective’, ‘change of mind and body’, ‘change of attitude and role as a jailer’,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Second, the structure of participation experience of sensitivity group counseling of jailers was revealed that ‘life as a jailer’ affects ‘the process of adapting the sensitivity training of the jailer’, ‘the process of adapting the sensitivity training of the jailer’ and ‘change of mind and body’. ‘Change of perspective and change of mind and body’ have an effect on ‘attitude and role change as a jailer’ and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Also, ‘change of perspective’ and ‘change of mind and body’ interacted with each other, and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and ‘attitude and role change as a jailer’ were found to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the theme clusters included in each category are interactively connected and influencing each other. This study is expected that it will be helpful for developing counseling program to achieve their goal of correction and will be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counseling program for emotional stability by finding out the structure of participant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experience of jailers who participated in sensitivity training group counseling program.

      • KCI등재

        “What Is This World?”

        Inju Chung(정인주)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07 셰익스피어 비평 Vol.43 No.1

        본 연구는 셰익스피어가 존 플래처와 공동으로 집필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두 귀족 친척』을 그 원작인 제프리 초서의 『기사이야기」와 비교함으로써 두 극작가가 그보다 300년 전에 쓰인 초서의 철학적 로망스에서 무엇을 읽었으며 이를 어떻게 드라마로 각색하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두 극작가의 작품은 단순히 원작을 무대에 맞추어 각색하는 수준을 넘어서서 이미 잘 알려져 있었던 작품의 줄거리를 가지고 당시의 관객과 사회에 맞추어 재창조하는 단계에 이르고 있다. 원작과 비교하여 『두 귀족 친척』이 보여주는 변화는 젠더와 계급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14세기와 17세기 영국의 사회적 변화와 관심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이 본 논문의 요지이다. 두 작품 모두에서 여성 인물들은 각별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지만, 초서의 작품에서와는 달리 셰익스피어/플래처의 에밀리아는 자신의 소신을 표현하고 실천하는데 적극적이며, 이 때문에 그녀는 작품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두 극작가는 또한 원작에 없는 간수의 딸과 시골 사람들을 등장시킴으로써 초서의 귀족적 로망스를 서민의 희극으로 바꾸어 놓았다. 더구나 『기사이야기』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맡았던 신들의 존재를 삭제하여 작품을 인간적인 이야기로 탈바꿈시켰다. 초서의 『기사이야기』 직후에 방앗간 주인은 천박하고 희화적인 이야기를 통해서 기사의 귀족적 로망스가 제시하는 질문, 즉 “이 세상은 무엇인가”에 답한다. 방앗간 주인의 이야기가 궁극적으로 기사의 이야기에 대한 패로디라면, 『두 귀족 친척』은 초서의 작품에 대한 또 다른 의미의 패로디이다. 두 극작가는 다양한 의미를 보여주는 사실적인 인물들을 무대에 세워 이 세상이 무엇인지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두 귀족 친척』은 남성과 귀족 중심의 중세 이야기를 여성과 서민 중심의 자코비언 시대의 무대로 재현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