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5~6세기 삼국의 접경에 대한 역사지리적 접근

        박현숙(Park Hyun-Sook) 한국고대사학회 201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8

        본고는 역사지리적 맥락에서 삼국의 접경 문제를 살펴보았다. 5세기 초~중기 고구려ㆍ백제와 관련해서는 한강 유역이 중요시 되었다. 5세기 초 고구려는 충주를 중심으로 남한강 유역과 북한강 유역의 루트를 확보하고 있었다. 5세기 중엽 이후 삼국의 접경 문제와 관련해서 가장 주목되는 것은 한강 유역의 영유 문제이다. 그런데 『삼국사기』지리지는 서로 다른 시기의 상황을 시점으로 하면서도 이를 평면적으로 나누고 있어서, 삼국의 영역을 둘러싼 다양한 변화상을 담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삼국사기』지리지에 보이는 한반도 중부지역에 설치된 고구려의 군현 관련 자료를 통해 고구려가 이 지역을 일찍이 지배한 것으로 파악하는 것은 재고의 여지가 있다. 475년 고구려의 한성 강습 후 한강 유역은 고구려의 영역이었다기 보다는 백제의 완충지대 또는 접경지대였다고 파악된다. 한편, 5세기 중~말기 고구려와 신라의 접경과 관련해서는 신라가 471에 축성한 삼년산성(충북 보은)이 주목된다. 신라는 보은 지역의 확보를 통해 고구려의 충주지역에 대한 견제와 함께 백제 지역으로의 진출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480년 이전 고구려와 신라의 충돌지역은 동해안 일대였으나, 480년 이후에는 중부 내륙지역으로 집중되고 있다. 고구려와 신라의 국경선은 고구려군이 소백산맥 북쪽으로 퇴각하게 되는 6세기초에 안정되게 된다. 신라는 법흥왕 11년(524)에 沙伐州(상주)를 설치함으로써 이를 발판으로 이후 죽령과 조령을 넘어 충주 지역을 차지하게 된다. 한편, 백제와 고구려의 접경이었던 한강 유역은 백제 성왕 초기인 529년 즈음 고구려에게 넘어가게 되고, 551년에 백제ㆍ신라ㆍ가야 연합군이 고구려를 공략하여 다시 한강 상ㆍ하류를 차지하게 된다. 이러한 양상을 통해 6세기 중반 신라는 서쪽으로는 한강 하류 지역, 동북쪽으로는 안변에서 북한강에 이르는 지역을 장악하게 되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problem of the borders of the three kingdoms in a historical geographic context. In the early and middle of the fifth century, the Han River basin and the Chung ju area were of significant importance, territorial or otherwise, to Goguryeo and Bekjae. And, in the early fifth century, Goguryeo, expanding from Chung ju, secured the routes of both the northern and southern parts of the Han River. Since the middle of the fifth century, what is most noteworthy as regards the question of the borders is the possession of the Han River. Yet the Geography Book from SamgukSagi, while covering a rather wide span of time, depicts the territorial division as if it were fixed. As a result, the book does not show the continuous territorial changes among the three states to any satisfactory degree. Therefore, we need to reconsider the current view that Goguryeo governed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whose main ground is the Geography, in which the state is described as establishing counties and prefectures in the area. On Goguryeo’s further expansion to the south of the Han River, we need to ponder over the true nature of the three mountain fortresses that have been, by several historians, considered to belong to Goguryeo: the Namsunggoal fortress in Cheongwon, the Wolpyeongdong fortress in Daejeon, and the Daemo fortress in Jincheon. After Goguryeo took the Han River by storm in 475, it seems that the area became either some sort of a buffer zone or a borderland between her and Bekjae rather than being completely annexed to Goguryeo. As regards the borders of Goguryeo and Silla in the mid and late fifth century, the Sam yeon mountain fortress (Boeun, Chung buk) built in 471 by Silla attracts our attention. Silla, by conquering the Boeun area, was able to keep Goguryeo’ southward expansion in Chung ju in check and secure access routes to Bekjae. Prior to 480, Goguryeo and Silla used to confront each other near the eastern coast. And, yet, after 480, the battleground moved to inner areas. The borders between them began to stabilize in the early sixth century when the Goguryeo army withdrew to the north of the SobaekMountains. What symbolizes Silla’s northward expansion is King Beopheung’ order (524) to establish a province called Sang ju (沙伐州). From the newly established province, Silla, via Juklyung and Jolyung, reached the Chung ju area and finally took over it. On the other hand, the Han River, which had been a borderland between Bekjae and Goguryeo, was handed over to Goguryeo in about 521 when Seong of Baekje began his reign. However, in 551, the allied forces of Bekjae, Silla, and Gaya attacked Goguryeo and took back the upper and lower regions of the Han River. In the middle of the sixth century, the three kingdoms fought against each other for the possession of the Han River. In this war, Silla was able to secure the lower region of the river in the west and the area from Anbyon to the North Han River in the northeast.

      • KCI등재

        高句麗와 玄菟郡의 관계와 幘溝漊 설치 배경 검토

        이종록(Lee Jong Rok) 한국고대학회 2018 先史와 古代 Vol.- No.55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에서 고구려 초기의 국가형성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현도군과의 대립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으며, 이를 전제로 하여 『漢書』 地理志 및 『三國志』 東夷傳에 기록된 현도군 관련사료를 통해 현도군과 고구려사회의 관계 및 그 변천을 추적해 왔다. 그러나 고구려와 현도군의관계는 시종 대립과 항쟁으로 한정되지 않고 타협으로 유지되고 있던 측면 또한 존재하였으며, 양자의 관계를 보다 명확히 밝히기 위해서는 이러한 측면에 대해서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고에서는 먼저 현도군은 이전에 설치된 滄海郡이 부활하는 형태였다고 보았다. 또 창해군은 중국 문물을 토착 세력에게 제공하는 조건으로 설치되었으며, 압록강 중상류의 고구려인들은창해군이 설치된 예군남려의 28만구의 집단 중 하나였던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관계가 이후 현도군에서도 이어져, 文物의 제공의 조건으로 현도군의 유지가 가능했을 것으로 보았다. 이후 기원전 75년 이전 夷貊의 침략으로 인해 현도군은 그 치소를 신빈 방면으로 이전해야 했으나, 이와 같은 문물 제공은 유지되었던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신빈 방면에 이전된 제2현도군의 구조는 그 속현 수가 불과 3개인데 반해 인구가 지나치게 많은 특성과 더불어, 여타 기록에서 찾을 수 없는 형태로 高句驪라는 이름이 명시되어 있는 등 그 존재 양식에서 이질적인 특징이나타난다. 이는 제1현도군을 축출할 수 있었던 정도의 정치적 결집력을 완성시킨 고구려에 대해기존의 군현지배체제를 유지하려고 했던 한나라의 정책이 상충된 결과로 이해된다. 그리고 이 무렵에 설치된 幘溝漊는 고구려가 현도군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야 했던 현도군과, 단일 교섭 창구를 통해 중국 문물을 수용하려 하였던 고구려가 합의한 결과로 해석하였다. 결론적으로 고구려와 현도군의 관계는 군의 소속이라는 명목상의 관계와 이를 대가로 중국의 문물을 回賜하는 형태였다고 추정된다. 그리고 이 관계는 창해군 개척때부터 추진되어 온 한나라의 이 지역에 대한 군현 편제 시도와, 토착 세력의 반발로 인해 이 시도가 무산되어가는 과정을 통해 변화를 겪으며, 이후 大武神王代에 소멸된 것으로 여겨진다. Many studies had emphasized on the significance of the Koguryŏ’s conflict against Xuantu Commandery(玄菟郡) in regard to the kingdom’s process of state formation. Under this hypothesis, the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Koguryŏ and Xuantu Commandery through historical sources such as “Treatise on Geography(地理志)” in the Book of Han (『漢 書』) or “Biographies of Dongyi” in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Yet, their relationship was not consistently hostile, since there was an aspect that they collaborated for their benefits in a certain extent.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long-lasted relationship and its ramification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is aspect that allowed the establishment of Xuantu Commandery. This paper first examined Canghai Commandery(滄海郡), which was established in 128 BC and Xuantu Commandery’s former self. This commandery was installed with the submission of the local residents to the Han dynasty’s and this submission was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dynasty provides the Chinese cultural products. Although the commandery was abolished after a few years, it is likely that Xuantu Commandery was established through the same process. In 75 BC, Xuantu Commandery relocated its capital to the area around Xinbin, Liaoning province, and the commandery’s directed interference to Koguryŏ was severed. Still, the provision of cultural products from the commandery continued, as it was the key element to maintain Koguryŏ’s submission and nominal subordination to the commandery. Ch’akkuru was constructed in this process, when the small groups of Koguryŏ refused to separately visits the commandery, but Xuantu Commandery tried to maintain provision of the cultural products.

      • KCI등재

        고구려(高句麗)와 현도군(玄?郡)의 관계와 책구루(?溝?) 설치 배경 검토

        이종록 ( Lee Jong-rok ) 한국고대학회 2018 先史와 古代 Vol.- No.55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에서 고구려 초기의 국가형성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현도군과의 대립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으며, 이를 전제로 하여 『漢書』 地理志 및 『三國志』 東夷傳에 기록된 현도군 관련 사료를 통해 현도군과 고구려사회의 관계 및 그 변천을 추적해 왔다. 그러나 고구려와 현도군의 관계는 시종 대립과 항쟁으로 한정되지 않고 타협으로 유지되고 있던 측면 또한 존재하였으며, 양자의 관계를 보다 명확히 밝히기 위해서는 이러한 측면에 대해서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 다. 본고에서는 먼저 현도군은 이전에 설치된 滄海郡이 부활하는 형태였다고 보았다. 또 창해군 은 중국 문물을 토착 세력에게 제공하는 조건으로 설치되었으며, 압록강 중상류의 고구려인들은 창해군이 설치된 예군남려의 28만구의 집단 중 하나였던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관계가 이후 현도군에서도 이어져, 文物의 제공의 조건으로 현도군의 유지가 가능했을 것으로 보았다. 이후 기원전 75년 이전 夷貊의 침략으로 인해 현도군은 그 치소를 신빈 방면으로 이전해야 했으나, 이와 같은 문물 제공은 유지되었던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신빈 방면에 이전된 제2현도 군의 구조는 그 속현 수가 불과 3개인데 반해 인구가 지나치게 많은 특성과 더불어, 여타 기록에서 찾을 수 없는 형태로 高句驪라는 이름이 명시되어 있는 등 그 존재 양식에서 이질적인 특징이 나타난다. 이는 제1현도군을 축출할 수 있었던 정도의 정치적 결집력을 완성시킨 고구려에 대해 기존의 군현지배체제를 유지하려고 했던 한나라의 정책이 상충된 결과로 이해된다. 그리고 이 무렵에 설치된 ?溝?는 고구려가 현도군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야 했던 현도군과, 단일 교섭 창구를 통해 중국 문물을 수용하려 하였던 고구려가 합의한 결과로 해석하였다. 결론적으로 고구려 와 현도군의 관계는 군의 소속이라는 명목상의 관계와 이를 대가로 중국의 문물을 回賜하는 형태였다고 추정된다. 그리고 이 관계는 창해군 개척때부터 추진되어 온 한나라의 이 지역에 대한 군 현 편제 시도와, 토착 세력의 반발로 인해 이 시도가 무산되어가는 과정을 통해 변화를 겪으며, 이후 大武神王代에 소멸된 것으로 여겨진다. Many studies had emphasized on the significance of the Koguryo's conflict against Xuantu Commandery(玄?郡) in regard to the kingdom's process of state formation. Under this hypothesis, the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Koguryo and Xuantu Commandery through historical sources such as "Treatise on Geography(地理志)" in the Book of Han (『漢書』) or "Biographies of Dongyi" in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Yet, their relationship was not consistently hostile, since there was an aspect that they collaborated for their benefits in a certain extent.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long-lasted relationship and its ramification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is aspect that allowed the establishment of Xuantu Commandery. This paper first examined Canghai Commandery(滄海郡), which was established in 128 BC and Xuantu Commandery's former self. This commandery was installed with the submission of the local residents to the Han dynasty's and this submission was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dynasty provides the Chinese cultural products. Although the commandery was abolished after a few years, it is likely that Xuantu Commandery was established through the same process. In 75 BC, Xuantu Commandery relocated its capital to the area around Xinbin, Liaoning province, and the commandery's directed interference to Koguryo was severed. Still, the provision of cultural products from the commandery continued, as it was the key element to maintain Koguryo's submission and nominal subordination to the commandery. Ch'akkuru was constructed in this process, when the small groups of Koguryo refused to separately visits the commandery, but Xuantu Commandery tried to maintain provision of the cultural products.

      • KCI우수등재

        전설과 역사 사이: 山西省의 堯舜禹

        심재훈 역사학회 2019 역사학보 Vol.0 No.241

        Shanxi province has long been recognized as the homeland of Yao, Shun and Yu, legendary sage kings in Early China. This study examines the reasons and the process why and how the legendary figures became history in Shanxi province. By investigating oracle bone inscriptions of the late Shang, bamboo slips of Chu and the Zuozhuan , I find that a quasi-historic narrative in the Zuozhuan contributed to the beginn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hanxi and the legendary figures. Whereas the “Geographical Records” of the Hanshu quoted the narrative only in part, scholars in the Later Han period began to note the connection entirely. It was not until the Northern Wei, Sui and Tang dynasties when the temples and tombs of Yao, Shun and Yu became prominent in southwestern Shanxi and the Taiyuan area. More than ten such places in Shanxi are enlisted in the Yuanhe junxian zhi and Taiping huanyu ji , the representative of historical geographical texts in the Tang and Northern Song periods, respective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expansion was accompanied with new tombs of Yao, Shun and Yu and, especially, new stories regarding them. This study shows a good case of “inventing history,” in which misrecognitions on the ancient quasi-historical lores caused expansive reproduction of the history regarding Yao, Shun and Yu in traditional China. 山西省은 중국 고대의 성왕인 堯舜禹의 본향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 연구는 전설상의 존재인 堯舜禹가 어떻게 山西省과 연관을 지니며 역사화 되었는지 검토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商 후기 갑골문과 戰國시대 楚簡 및 『左傳』에 나타나는 堯舜禹과 山西省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左傳』에 나타난 한 유사역사적 故事가 그 시발점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漢書』 「地理志」에서 班固는 그 이야기의 일부만을 수용했으나, 後漢代 이후의 학자들은 山西省과 堯舜禹의 연관성을 전면적으로 주목되기 시작했다. 魏晉南北朝시대와 隋唐시대를 거치며 山西省 서남부와 太原 일대는 堯舜禹 관련 사적이 부각되며 祠廟나 陵墓까지 조성되었다. 唐代 편찬된 『元和郡縣志』와 北宋代의 『太平寰宇記』에 그 확산 양상이 잘 반영되어 있는데, 이미 山西省의 10여 곳 이상이 堯舜禹의 사적지로 확정되었다. 이러한 확산에 堯舜禹의 陵墓와 역시 새롭게 창출된 관련 故事가 함께 했음은 물론이다. 본 연구는 고대의 어느 시점에 창출된 유사역사적 이야기가 전통시대 역사가들에게 역사적 사실로 오인되어 광범위하게 확대재생산 되어가는 ‘역사 만들기’의 한 전형을 보여준다.

      • 이나바 이와기치(稻葉岩吉)의 「진장성 동단 및 왕험성 고(秦長城東端及王險城 考)」1) 번역 및 비판

        이덕일 바른역사학술원 2018 역사와융합 Vol.- No.2

        조선총독부는 한국 강점 후 한국사를 반도사의 틀로 가두는 역사 왜곡에 나섰다. 한국사에서 대륙사와 해양사를 삭제해서 반도사로 축소한 후 그 북부에는중국의 식민지인 한사군이 있었고, 남부에는 일본의 식민지인 임나일본부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한사군=한반도설’의 핵심은 ‘낙랑군=평양설’이었는데, 일본인학자들은 이를 위해서 여러 논문을 쓰고 고고 유적·유물을 조작했다. ‘낙랑군= 평양설’을 주장한 주요 논문의 하나가 이나바 이와기치(稻葉岩吉)의 「진장성 동단 및 왕험성 고(秦長城東端及王險城 考:1910년)」이다. 이나바는 이 논문에서 낙랑군 수성현이 황해도 수안군이라고 주장했는데, 이 논리는 한국 국사학계의 태두로 불렸던 이병도의 『한국고대사 연구(1976)』에 그대로 채용되었다. 또한 동북아역사재단은 국고 47억원을 들여서 『동북아역사지도』를 제작하면서 낙랑군 수성현을 황해도 수안군으로 표기했다. 2015년 대한민국 국회에서 동북아역사재단에 그 근거를 물었을 때 이병도의 『한국고대사연구』의 148쪽을 근거로 제시했다. 이나바 이와기치는 위 논문에서 낙랑군 수성현은 황해도 수안군이고, 진(秦) 나라 만리장성의 동쪽 끝이 황해도 수안군에서 시작한다고 주장했다. 이나바는이런 사실이 『한서 지리지(漢書 地理志)』에 나오니 ‘의심할 것이 없다’고 주장했는데, 『한서 지리지』에는 황해도 수안군은커녕 한반도에 대한 기술 자체가 없다. 모두 이나바 이와기치가 한사군을 한반도에 있던 것으로 왜곡하기 위해서 만든창작인데, 일체의 사료적 근거가 없는 가짜 역사가 지금까지도 한국 고대사학계에 그대로 수용되고 있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