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편집 여부 분석 절차에 대한 연구

        박남인(Nam In Park),심규선(Kyu-Sun Shim),전옥엽(Oc-Yeub Jeon) 한국디지털포렌식학회 2019 디지털 포렌식 연구 Vol.13 No.4

        최근 스마트폰을 비롯한 스마트 기기의 대중화 등의 영향으로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 오디오 녹음이 빈번하고 쉽게 이루어짐에 따라, 이러한 형태의 디지털 파일이 증거물로써 활용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파일이 디지털 증거물로써 법적 효력을 갖추기 위해서, 디지털 증거물에 대한 원본 확인이 필수적이다. 특히,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특성상 원본파일로부터 대량 복제 및 디지털 편집 프로그램 등을 통해 정교한 위변조가 가능하며, 실제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조작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실제 사례들을 분석한 후, 디지털 오디오 파일에 대한 오디오 신호 및 파일 포맷 분석을 통한 편집 여부 분석 절차에 대해 제안하였다. 실제 사례들을 분석한 결과, 편집이 이루어진 파일에 대해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조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조작흔적을 통해 원본이 아님을 제한적으로 증명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일부 특정 조건에서는 제안한 편집 여부 분석 절차로도 위변조 여부가 검출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확인하였다. Recently, due to the popularization of smart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the like, photography and video recording audio recordings are frequently and efficiently performed. Thus the use of digital files of those types is increasing. For these digital files to be legally valid as digital evidence, the proof of origin for digital evidence was essential. Mainl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audio file, it is possible to make a sophisticated forgery and falsification through the mass copying and digital editing program from the original record. In this way, it has been increasing more and more cases of manipulating digital audio file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procedure of analyzing the file format of digital audio files and the audio signal after the analysis of various actual cases. As a result, it has confirmed that the digital audio files can be not original through traces generated during the manipulation of the digital audio file in case of the manipulated data. Moreover, it ha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authentication analysis procedure may not clarify whether or not the digital audio file has been a forgery in some specific condition.

      • KCI등재

        법음성학에서의 오디오 신호의 위변조 구간 자동 검출 방법 연구

        양일호(Yang, IL-Ho),김경화(Kim, Kyung-Wha),김명재(Kim, Myung-Jae),백록선(Baek, Rock-Seon),허희수(Heo, Hee-Soo),유하진(Yu, Ha-Jin) 한국음성학회 2014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6 No.2

        We propose a novel scheme for digital audio authentication of given audio files which are edited by inserting small audio segments from different environmental sourc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tect inserted sections from given audio files. We expect that the proposed method will assist human investigators by notifying suspected audio section which considered to be recorded or transmitted on different environments. GMM-UBM and GSV-SVM are applied for modeling the dominant environment of a given audio file. Four kinds of likelihood ratio based scores and SVM score are used to measure the likelihood for a dominant environment model. We also use an ensemble score which is a combination of the aforementioned five kinds of scores. In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proposed method shows the lowest average equal error rate when we use the ensemble score. Even when dominant environments were unknown, the proposed method gives a similar accuracy.

      • KCI등재

        스마트폰 녹음 데이터베이스의 법과학적 활용에 대한 연구

        김경화(Kyung-Wha Kim) 한국디지털포렌식학회 2021 디지털 포렌식 연구 Vol.15 No.1

        스마트폰을 이용한 녹음이 대중화되면서 최근 법과학의 오디오 포렌식 분야에서는 스마트폰 녹음 파일이 주요 증거로 제출되면서 파일의 편집 여부가 쟁점이 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폰은 제조사, 기종 및 운영 체제에 따라 녹음 방법과 녹음 설정이 다양하고, 이에 따라 스마트폰 녹음 파일의 파일 정보 등 메타데이터도 상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 12대의 음성녹음 앱을 이용하여 각각 원본 녹음 파일과 편집 파일을 작성한 후, 기종별, 운영 체제별 녹음 방법과 편집 기능을 조사하고, 원본 파일과 편집 파일의 파일 특징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제조사가 동일하더라도 기종과 안드로이드 버전 등에 따라 녹음 모드와 녹음 음질 등의 녹음 방법과 편집 기능이 다르고, 편집 파일의 파일정보와 파일 구조가 원본 파일과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다양한 제조사 및 기종의 스마트폰 녹음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필요성과 녹음 파일 편집 여부 분석 등 오디오 포렌식 분야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With the popularization of smartphone recording, smartphone recording files are recently submitted as major evidence in the field of audio forensics, and the case of forgery or authentication of recording has become an issue.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settings may be different for each smartphone manufacturer, model, and operating system, and accordingly, metadata such as file information of a smartphone recording file may be different. In this study, we collected original recordings and edited recordings using 12 Samsung Galaxy smartphones, and the recording method, editing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of edited recordings were analyzed by model and operating syste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recording method and editing function such as recording mode and recording quality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model and operating system (Android version) of the same manufacturer, and the file information and file structure of edited recording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original recordings. Based on this, the necessity of building a recording database of various smartphones and an analysis of forgery or authentication of recording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