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시체제기 시바우라(芝浦)海軍施設補給部의 조선인 군속 동원

        심재욱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8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97

        전시체제기에 일본이 자행한 조선인 강제동원에 대한 연구에서, 동원의 주체였던 일본 정부 및 기업이 작성한 ‘명부자료’를 분석ㆍ연구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통해 구체적인 동원 실태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일본 해군으로 강제동원된 조선인 약 7만9천 명의 기록으로 이루어진 「舊日本海軍 朝鮮人 軍屬 關聯 資料(2009)」(이하 「해군군속자료(2009)」에 대한 분석을 통해 확보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바우라해군시설보급부(이하 시바우라보급부)의 실태를 파악하였다. 국제조약의 제약이 사라진 1937년부터 일본은 미국과의 주된 전투지역으로 상정한, 이른바 ‘남양군도’라 부른 서부 태평양 지역에 대한 군사시설의 구축을 강화하였다. 해군 주도로 진행되던 공사는, 보다 신속한 시설 확충을 위해 1940년 12월, 이를 전담하는 부서로써 해당 지역을 관할하는 제4함대 산하에 第4特設海軍施設部(이하 제4시설부)를 설립했다. 시바우라보급부는 제4시설부의 인력과 자재를 공급하는 후방 지원업무를 담당하던 부서가 1943년 4월 확대ㆍ개편된 것이었다. 시바우라보급부는 최초 설립 목적과는 달리, 제4시설부 외에도 第8特設海軍建設部와 다수의 特設海軍設營隊 등의 여러 부대ㆍ부서의 인력과 자재의 공급을 담당하였다. 즉 전체 서부 태평양 지역의 공사에 필요한 인력의 공급을 담당한 부서였던 것이다. 따라서 이 지역으로의 조선인 군속 투입에는 시바우라보급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고 파악된다. 「해군군속자료(2009)」에서 ‘소속’이 시바우라보급부로 확인되는 인원은 약 9천5백 명에 이른다. 이는 해당 자료에서 확인되는 약 44종 197개의 부대ㆍ부서 중, 단일 부대로써는 가장 많은 수이다. 제4시설부에 투입된 약 4천 3백 명을 합친, 총 1만 3천 8백 여 명의 동원 실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들은 태평양전쟁 이전부터 일본이 이미 점유하고 있던 ‘南洋群島’ 지역은 물론이고, 길버트ㆍ비스마르크ㆍ솔로몬 제도 및 웨이크 등 새로이 침략ㆍ점령한 지역에까지 투입되었다. 한편 1944년 중반 이후부터는 주로 도쿄와 같은 일본 지역에만 투입되었다. 둘째, 이들의 투입시기는 1941년 2월부터 확인되며, 1942년 약 6천 명, 1943년과 1944년 각각 약 2천 8백 명씩이 서부 태평양 지역으로 투입되었다. 언제부터 조선인 군속들이 해당 지역으로 투입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으나, 진주만 기습 이전부터 투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이들의 출신 지역은 13개 도, 241개 府ㆍ郡에 분포하고 있다. 전국 각지에서 동원되었지만, 전남에서 가장 많은 수가 동원되었고, 전북, 경북, 경기, 강원 등지에서도 다수의 인원이 동원되었다. 이때 郡을 단위로 특정 시기에 특정 지역에서 동원되는 양상이 확인된다. 마지막으로 시바우라보급보와 제4시설부 소속으로 각 지역에 투입된 조선인들은 전체 인원의 약 30%에 달하는 약 4천1백 명이 사망하였다. 이들의 사망 형태는 투입 지역의 전투 상황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데, 미군의 지상 공격으로 점령당한 ‘전멸 지역’의 경우 미군과의 직접적인 전투로 사망하는 경우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반해 미군이 우회ㆍ진격함으로써 고립된 ‘고립 지역’의 경우 질병으로 인한 사망이 높은 비율을 나타낸다. 한편 이동하기 위해 승선한 선박이 미군의 공격으로 침몰함으로써 사망한 경우도 다수에 이른다. In the study on the compulsory mobilization committed by Japan during the Asia-Pacific War, analyzing and examining the list information written by the Japanese government and the businesses, the two main players that played a principal role in the mobilization is crucial. This is because such examination can provide a greater understanding of the actual conditions of mobilization. To that end, this paper sheds light on what actually occurred at the Shibaura Naval Engineering Supply Office(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hibaura Supply Office). The increased understanding of the conditions i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by analyzing the “Document of the Korean Employee in the Imperial Japanese Navy(2009)”(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Document of the Korean Employee(2009)) which is composed of the records of 79,000 Koreans who were forcefully mobilized to the Japanese Navy. Starting in 1937, when the restrictions imposed by an international treaty were lifted, Japan reinforced the establishment of military facilities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the so-called “South Sea Islands.” This region was proposed as a main battlefield against the U.S. In December 1940, the navy, leading the construction efforts for a faster expansion of facilities, founded the Fourth Specially Established Naval Civil Engineering Office(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ourth Engineering Office) as a department in charge. At that time, the Fourth Engineering Office was under the Fourth Fleet, which had jurisdiction over the region. The Shibaura Supply Office was an expansion and reorganization of the department that used to be responsible for supplying labor and resources for the Fourth Engineering Office on the home front in April 1943. However, the Shibaura Supply Office, apart from its initial purpose, had to provide manpower and resources not only to the Fourth Engineering Office but also to many other military units and departments including the Eighth Specially Established Naval Civil Engineering Office and a number of specially established naval civil engineering offices. In other words, it was the supply office in charge of providing manpower necessary for the construction projects taking place across the entire Western Pacific Region. In this regard,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hibaura Supply Office played a pivotal role in assigning Korean civilians in military employment to this area. According to the "Document of the Korean Employee (2009)", the confirmed number of Korean civilians 'belonging to' the Shibaura Supply Office reached approximately 9,500. This is the largest number for a single military unit among the 44 types of 197 military units and departments, which have been confirmed in the relevant document.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mobilization of a total of 13,800 Korean employees, including 43,000 deployed to the Fourth Engineering Office, are as follows: First, even before the Pacific War, they were deployed not only to the South Sea Islands, which Japan had already taken over, but also to the Gilbert Islands-Bismarck Archipelago-Solomon Islands as well as Wake Island, the islands that Japan had invaded and gained control over. However, after mid-1944, Korean civilians were assigned only to the regions within Japan, such as Tokyo. Secondly, the time they were first deployed has been confirmed to February 1941: some 6,000 were deployed in 1942 and around 2,800 each in 1943 and 1944 to the Western Pacific Region. Although the exact dates they were first transported to the areas concerned is not clear, it can be confirmed that Koreans were in place even before the attack on Pearl Harbor. Thirdly, the areas where Korean civilians came from included 241 Urban Prefectures and Counties across 13 Provinces; however, the largest number of people were from Jeollanam-do Province. It appears that people were mobilized from certain ares - by County - at specific times. It can be also concluded that the time of mobilization ...

      • KCI등재

        조선총독부 재무국장 하야시 시게조의 궁민구제 사업과 부산대교 건설

        이준영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9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101

        본 논문은 조선총독부 경제 관료 하야시 시게조[林繁藏; 이하 ‘하야시’]가 재무국장 시기에 시행하였던 궁민구제사업의 재정 확보와 그에 대한 첫 사업인 부산대교 건설의 실태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둔다. 1931년부터 시작된 궁민구제 사업은 6,500만원이라는 거금이 조선에 투하되어 외형적으로 조선인의 실업구제와 궁핍 해결을 명분으로 실시된 식민지 지원 사업이었다. 그 과정에서 부산에서도 360만원이나 투하하여 영도대교가 건설되었다. 당시로서는 눈부신 기술의 결정판인 도개교 건설이라는 고도의 기술이 투영된 다리를 건설할 수 있었다. 1929년 세계 대공황이 발발하여 경제적으로 불황이 진행되는 상황 속에서 일본본토는 심각한 재정위기를 맞이하여 ‘긴축재정’을 지향하였다. 1929년 11월 조선총독부 재무국장으로 임명된 하야시 시게조는 당시 세계 경제를 암흑기로 몰아넣은 대공황의 상황 속에서 일본본토의 긴축에 순응하여 긴축재정을 전개하면서도 내심 재정 확대를 통한 식민지 개발과 진전을 꾀하였다. 다시 말해 조선에서는 긴축에 따른 내핍과 절약보다는 오히려 재정확충을 통해 증산과 개발이 우선적이며, 이를 통해서 공황이나 재정위기를 극복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런 구상에서 출발한 정책이 바로 궁민구제사업이었다. 궁민구제사업을 전개하는데 당면한 애로는 재정 문제였다. 이에 그는 재정 염출을 위해서 본토와 예산을 절충했는데, 당시 대장대신 이노우에는 내무대신 아다지와 더불어 뜻밖에도 조선의 토목공사를 허락하고 하야시가 직접 그 계획을 짜도록 지시하였다. 이것은 당시 일본 하마구치 민정당 내각의 비모채주의 방침과 상충되는 것이었다. 그럼에도 이렇게 이노우에가 여당인 민정당의 긴축 정책에 반하는 것은 그가 비록 민정당 소속이지만 적극재정을 주장하는 정우회 다카하시 고레키요(전 대장상)의 직속 제자로서 그의 입장에 적극 동의한 결과였던 것이다. 하야시는 부산에 귀국하자마자 경남도지사 다니와 함께 부산에서의 궁민구제 사업을 논의하였는데, 그 결과가 바로 부산대교(영도다리) 공사였다. 궁민구제사업의 총 예산 6,500만 원 중에서 부산지역에 할당된 자금은 총 360만원(5.5%)이었다. 360만원 중에서 공사비는 93.6%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했으며 사무비는 6.4%로 월급과 수용비, 잡비로 사용되었다. 부산의 사업비 중에서 토지매수 및 보상비가 압도적인 비중이었으며, 이어서 남항매축공사비가 뒤를 이었다. 남항매축공사는 일본인 생활공간의 확보와 군사적 경제적 거점을 구축하려는 의도가 반영되었고, 이 중 도진교(부산대교) 건설은 일본인 거류지역의 편리를 위한 것이었다. 이처럼 궁민구제사업은 조선인을 위한 실업대책이나 궁민구제를 위한 것이라고 선전되었지만 실제 내용은 조선인에게 낮은 임금을 주고, 지배적인 자본은 일본본토 기업이나 부산부의 일본인 기술자 및 자본가의 이해를 뒷받침하거나 일본인 거류지역을 개발하는데 활용된 기만적 정책이었다. 특히 영도대교 건설은 식민통치의 화려한 위장(조선인 궁민구제) 속에서 실질적인 민족 차별(일본인 지역 인프라 구축)이 적나라하게 드러난 그야말로 식민지에 대한 기만적 차별 경제의 대표적 사례였던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firm the secure funds of the public work project for the relief project and the status of the construction of Busan Bridge construction that was the first project of Sigejo-Hayashi undertaken during the time of a chief finance officer as an economic official of the Colonial-Chosun. The relief project began in 1931, cost 65 million won to the Chosun, ostensibly under the pretext of saving Koreans' unemployment and resolving poverty. In the process, the Youngdo Bridge in Busan was also constructed by invest 3.6 million won. At that time, the bridge could be constructed with a highly advanced technology called as the crystal plate of brilliant technology. The Great Depression broke out in 1929 and the economic recession had been taking place. Under the situation, the Japanese mainland sought a "tight fiscal policy" in the face of a severe financial crisis. Sigejo-Hayashi who was appointed as the director-general of the General Affairs Bureau of the Chosun in November 1929, responded to the austerity of Japan's mainland in the midst of the Great Depression that plunged the global economy into darkness, and sought to develop and advance colonies by expanding internal finances. In other words, It is believed that increasing production and development in Chosun, should be a priority through fiscal expansion rather than austerity and saving. Accordingly the financial crisis or depression should be overcome through the way. That was the Gungmin Relief Project started under the policy. As the project was facing with the difficulty of financial problems, He compromised the budget with the mainland for financial extraction. Inoue who was an acting general at that time, unexpectedly allowed Chosun's civil engineering work along with Adaji, the interior minister, and ordered Hayashi to draw up the plan in person. This was in conflict with the non-borrowing policy of the Cabinet in Japan's Hamaguchi Democratic Party. Even though Inoue was a member of Democratic Party, his opposition to the ruling Democratic Party's austerity policy came from the active agreement with Hayashi’s position as a direct student of Korekiyo Takahashi(a former general) insisting on active fiscal affairs. Upon returning to Busan, Hayashi discussed the project with Tani, governor of South Gyeongsang Province, which result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Busan Bridge. 3.6 million won (5.5 percent) Out of the total budget of 65 million won for the project, was allocated to the Busan area. Construction costs accounted for 93.6 percent of the 3.6 million won. While office expenses were 6.4 percent, which was used for salaries, allowances and miscellaneous expenses. Land purchase and compensation costs were the overwhelming proportion of the project costs in Busan, followed by the Namhang Seaside Corporation expenses. The Southern Port Merchants Corporation reflected its intention to secure a Japanese living space and establish a military and economic hub. The construction of the Dojin Bridge (Busan Bridge) was for the convenience of the Japanese settlement area. As such, the actual contents of the project were to give low wages to Koreans although the project was touted as an unemployment measure or a relief for Koreans. The dominant capital was a deceptive policy used to support the understanding of Japanese engineers and capitalists in the Busan Ministry or the Japanese mainland enterprise and/or to develop Japanese settlement areas. In particular, the construction of Youngdo Bridge w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deceptive discriminative economy showing the real ethnic discrimination (the establishment of Japanese regional infrastructure) amid the splendid camouflage of colonial rule.

      • Change of the Old City by the Modernization

        Nakagawa, Osamu East-Asian Society for Urban History 2019 Journal of east-asian urban history Vol.1 No.-

        Kyoto, which was Japan's political and cultural capital for more than a millennium before the dawn of the modern era, show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formed in the process of urban modernization. A citizen plaza perfectly fit to a modern city is lying on the east side, but a delayed urban reconstruction in the city center due to a strong conservative self-government awareness, as well as a delayed modernization of tax system, caused disorderly urban sprawl to appear in the suburbs. Thanks to the enactment of urban planning law enacted in 1919 by the government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and an increasing awareness about the necessity and rationality of urban planning projects, urban renovation took place at a rapid pace. In the meantime, new ways of urban design were sought for and experimented to conserve it as a historical city against the city' quickly changing landsca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