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중학생들의 부력에 대한 개념 분석

        김이영 ( Yi Young Kim ),김지나 ( Ji Na Kim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2 科學敎育硏究誌 Vol.36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학생들의 부력 개념을 조사하는 것이다. 부력 개념 검사지는 부력의 존재알기, 부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물체 밑면의 넓이, 물체의 모양, 물체가 물에 잠긴 깊이, 물의 양,물체가 물에 잠긴 정도, 물체의 부피, 물체의 무게), 대체된 유체의 양과 부력과의 관계를 묻는 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부산의 140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검사 하였으며, 이중 모든 문항에 대해 답변 및 응답 이유를 모두 서술한 132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학생들의 응답 유형은, 물속에 잠긴물체의 모양과 관련하여, 밑면적이 넓을수록 부력이 크다는 유형, 표면적이 넓을수록 부력이 크다는 유형이 있었고 수압과 부력을 구분하지 못하고 수압이 클수록 부력이 크다는 유형, 물체의 무게만큼부력이 작용한다고 생각하는 유형, 물속에서는 중력이 작아진다고 생각하는 유형 등으로 분류할 수있었다. 학생들은 부력의 존재는 알고 있었으나, 자신이 경험했던 현상으로 응답 이유를 서술하였다. 또한 부력 대신 수압, 압력, 힘 등의 개념으로 응답이유를 진술하였다. 그리고, 부력이 생기는 원인에 대해서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다. 많은 학생들이 물체의 무게, 잠긴 깊이, 모양 등에 의해서 부력이 달라진다는 반응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iddle students` conceptions of buoyancy. The questionnaires composed of 9 items which asked the reasons for situations with buoyancy; recognized of buoyancy, the facts affecting buoyancy(bottom of the Area of the object, the shape of the object, the depth of the object in the water, amount of water, the degree of the object submerged in the water, volume of the object, weigh of the obje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replaced fluid and buoyancy. The subjects were 140 students from the Busan Area who answered questionnaires composed of 9 items which asked the reasons for situations with buoyancy. Among the 140, 132 students were selected who answered all of question in the test. The students` answer types were follow: 1.. Related to the shape of the submerged object, students answered that buoynacy depended on the bottom dimensions or the surface area of the object. 2. Students confused press, water press and buoyancy, who answered buoyancy was great when the water press was great. 3. Students answered that the weight and the size of the buoyancy of the object was same in the water. 4. Students answered, gravity was smaller in the water. Students recognized the existence of buoyancy but the reason of the answer depend on their experience. Also students answered using the words that water pressure, pressure, force instead of buoyancy. Students didn`t underst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buoyancy. Many students responded that buoyancy was changed depend on weight of object, sinking depth, shape and others. It was considered that these responses didn`t understand the cause of buoyancy.

      • KCI등재후보

        중국 중학생의 학업부력 및 학업 자기개념과 학업성취 간의 관계

        능첨엽 ( Ling Tian-ye ),마서민 ( Ma Rui-min ),오혜림 ( Oh Hye-rim ),박병기 ( Bak Byung-g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0 아동교육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부력, 학업 자기개념, 학업성취 간 관계구조를 수학-중국어의 영역 특수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성별과 학년에 따라 어떠한 차이점을 보이는지 살펴볼 것이다. 434명의 중국 운남성(雲南省)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업부력, 학업 자기개념, 학업성취 간 관계구조를 구조 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업부력은 학업 자기개념을 매개로 학업성취와 연관성을 보이며 영역 특수적인 특성을 지녔다. 둘째, 성별에 따른 모형의 변인 간 직·간접 경로값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학년에 따른 모형의 변인 간 직접 경로값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교육적 시사점 및 제한점을 기술하고 몇 가지 후속 연구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academic buoyancy, academic self-concept, and academic performance with domain-specific perspective in the field of mathematics and Chinese. We also compared its relationship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The sample consisted of 434 middle school students from Yunnan Province, China.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academic buoyancy, academic self-concept, and academic performance. As results, first, there existed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concep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buoyancy and academic performance.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irect and indirect path values between the variables of the model by gender.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irect path value between the variables of the model according to the grade. Finall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 부력 개념 수업에서 교사의 비계설정 분석

        정진우 ( Jin Woo Jeong ),김현정 ( Hyun Jeong Kim ),임청환 ( Cheong Hwan Lim ),김진국 ( Jin Kuk Kim ),정진표 ( Jin Pyo Jeong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5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15 No.1

        이 논문은 초등 과학 수업에서 교사의 비계설정 사례를 12가지의 비계설정 요소로 분류하여 비계설정의 경향을 알아보는 것으로 과학 수업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마다 12가지 비계설정요소가 나타나는 비율은 교사의 특성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흥미나 개인차, 일상적 개념을 고려한 비계설정은 교사와 아동의 상호 주관성을 높게 형성함으로써 과학적탐구 학습을 위한 여건을 조성한다. 셋째, 같은 비계설정 요소를 사용하는 교사일지라도 교사의 학문적 배경, 과학 수업에 대한 교사 관점, 아동 이해의 관점 등에 따라 비계설정의 경향이 다르게 나타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the tendencies of scaffoldings as dividing the examples of teacher`s scaffolding into 12 elements of scaffolding on teaching practice about buoyancy in elementary science. According to the research, teacher`s scaffolding gave science teaching some important implications like these: Firstly, Percentage emerging 12 elements of scaffolding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characters of teacher, equally showed each elements of scaffolding. Secondly, if teacher considers children`s interest or individual differences or everyday concept in using scaffolding, the conditions of learning for scientific inquiry would be well-formed by the intersubjectivity between teacher and learner. thirdly, no matter how similar elements of scaffolding teachers use, the tendencies of scaffolding brought different results by teachers` learning backgrounds or view of science teaching and understanding of children.

      • 소형선박 유지.관리용 Floating Dock시스템 개념설계

        박충환(Chyng-Hwan. Park),심상목(Sang-Mok. Shim),추경훈(Kyung-Hoon. Choo),이경환(Kyung-Hwan. Lee),진종룡(Jong-Ryung. Jin)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 No.1

        최근, 국민소득 증대와 주5일제 근무 확산으로 낚시를 포함한 레저수요가 가일층 증가하고 있고 더불어 낚시어선을 포함하는 소형선박의 척수도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지만, 소형 선박의 수리, 유지관리 등을 목적으로 해상에서 육상으로 선박을 끌어올리는 상가작업은 소형조선소의 작업공간, 예인비용, 작업공기, 안전측연에서 많은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안 소형선박 수리, 유지관리를 위한 Floating dock 시스템 개발의 기초연구로서 Floating dock 시스템 개념정립 및 소형선박의 도크내 유입.출, 계류기능 등을 모형시험 .검증 등을 통해 개념설계 도서를 작성함으로서 향후, 소형조선소의 작업공간, 인력 및 공기단축 등에 따른 경상비용 절감과 소형선박 유지관리용 Floating dock 개발, 보급을 통한 신규물량 창출로 경영수지 개선에 기여하고자 한다. In recent years, the repairing work of the small boats in dock have pointed out a defects of the many FRP shipbuiling because of a term of works and working-space and man-power. In the paper By carried out the model tests and structure analysis of the floating dock were mainly drawing on the concept design of the floating dock systems that the above defects were sol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