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義勝記」의 주제 의식 고찰

        이연순(Lee Yeon-Soo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서강인문논총 Vol.0 No.34

        본고는 滄溪 林泳(1649~1696)의 작품 「의승기」에 드러난 주제의식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먼저 「의승기」의 창작 배경으로 17세기 중반 사회와 문화, 그리고 창계의 생애와 학문에 대해 살피고, 「의승기」의 주제의식에 대해 두 가지 점을 밝혔다. 「의승기」가 창작된 17세기 중반 조선 사회에서는 병자호란을 겪은 사대부들이 벼슬을 거부하는 움직임을 보였고, 문단에서는 산문이 유행하며 문학의 향유층이 확대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시대에 창계는 어려서 누이들에게 언문 소설을 듣고, 조부께 窮理修心의 학문에 힘쓸 것을 家學으로 전수받으며 「의승기」 창작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창작된 「의승기」는 16세기의 천군전과 다르게 地上에 국한한 공간을 설정해 천군을 지상의 존재로서, 도적은 바다의 주인으로 제시하며, 宦海를 도적의 제일 요해처로 강조하였다. 그리고 천군을 돕는 충신으로 敬을 대변하는 성성옹과 義를 대변하는 맹호연의 인물 형상을 조화롭게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창계의 「의승기」는 벼슬[宦]을 경계하며, 敬과 義를 조화롭게 추구한 주제의식을 드러냄으로써, 당시 병자호란 직후 오랑캐의 무력적 침입에 의해 무너진 자존감을 회복하며 아울러 정신적 불균형 상태를 조화롭게 만드려는 유자들의 정신적 회복 의지를 보여준 작품이라 파악된다. This paper looked at the subject of consciousness exposed to 「Ui-Seung-Gi」(1664 works) written by Chang-Gyega Lim-Young(滄溪 林泳, 1649~1696). The first, I examined the creative background of the mid-17th century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and then the life and learning of Chang-Gyega. The second, I analyzed the text of 「Ui-Seung-Gi」 and clarified the theme of 「Ui-Seung-Gi」 in two ways. As a result, I identified that 「Ui-Seung-Gi」 of Chang-Gyega is restoring self-esteem destroyed by barbarians invading and reveals the spiritual restoration by persuating harmonious state of mental imbal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