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증 뇌병변 장애학생 기능체력 검사도구의 타당화

        김인애 ( In-ae Kim ),한민규 ( Min-kyu Han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6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는 중증 뇌병변 장애학생에게 적합한 기능체력 요인별 검사도구를 선정하여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두 단계의 연구 절차를 거쳤다. 첫째, ‘중증 뇌병변 장애학생에게 적합한 기능체력 검사도구 선정’을 위하여 2차례의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둘째, ‘중증 뇌병변 장애학생의 기능체력 검사도구의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지체장애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뇌병변 장애 1∼3급 학생 95명을 대상으로 기능체력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중증 뇌병변 장애학생에게 적합한 기능체력 검사도구로 근기능은 1RM, 공 밀기, 파악력(pinch strength), 유연성은 응용유연성, TST(target stretch test), 협응성은 손가락-코 짚기, 엄지로 손가락 짚기, 패그보드, 균형성은 앉기, 한발 들기, 기능적 팔 뻗기가 선정되었다. 둘째, 중증 뇌병변 장애학생 기능체력 검사도구의 결과타당도 검증 결과, 근기능은 0.5kg 공밀기, 파악력, 유연성은 응용유연성, TST, 협응성은 손가락-코 짚기, 균형성은 앉기 균형, 기능적 팔 뻗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렴타당도는 모두 만족하나 판별타당도는 근기능과 협응성, 유연성과 균형성의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엄지로 손가락 짚기가 R=.544로 보통으로 나타났으나, 나머지 검사도구는 R=.728∼978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해 최종 선정된 검사도구는 근기능에서 0.5kg 공밀기, 파악력, 유연성에서 응용유연성, TST(팔꿈치신전, 손목엎침, 어깨회전, 무릎신전), 협응성에서 손가락-코짚기, 균형성에서 앉기 균형, 기능적 팔뻗기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기능체력 검사도구는 중증 뇌병변 장애학생의 기능체력을 진단하고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증 뇌병변 장애학생의 기능체력을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체력 검사도구 개발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validity of physical factors and tools for the students with severe brain lesions. The following two research problems were set up to achieve the object of this study. First, to select the functional fitness test tools which were suitable for the students with severe brain lesions Delphi panels of experts were conducted twice. Secon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functional fitness test tools for the students with severe brain lesions, the functional fitness ability for 95 students with brain lesions on the 1st~3rd grade attending the physically disabled school was measured.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produced the followings. For one thing, as the examination tools which were appropriate to the students with severe brain lesions, 1RM, Pinch strength and Pushing a ball for muscle function, Modified Apley test and TST(target stretch test) for flexibility, Finger to nose, Finger-thumb test and Peg board for coordination, sitting, sitting lift foot, functional reaching for balance were selected. For another, as the result of the validity in each test, Pushing a 0.5kg ball, Modified Apley Test, Finger to nose test, Sitting, Functional reach were turned out to be suitable for the test. And the convergent validity produced satisfactory result in all, but in discrimination validity the correlation between muscle function and coordination, flexibility and balance had each high one. Retest reliability was lowly R=.544 in Finger-thumb test but in others it was higher by R=.728~.978. Thus, functional fitness test tools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expected to be utilized in the diagnosis and evaluation of the functional fitness for the students with the severe brain lesions. And so,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ill be expected to get the development of the diverse examination tools for functional fitness and to assess the physical fitness of the disabled students with severe brain lesions.

      • KCI등재

        중증 뇌병변 장애학생의 기능체력 향상 운동프로그램 적용효과

        김인애 한국특수체육학회 2020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8 No.3

        This study aimed at identifying the effects of the improving Functional Fitness program, which targeted at the students with severe brain lesions. We also purposed to provide the effective the exercise program for people with brain injury. For this reason, we modified the program after preliminary application of the functional fitness program on selected 5 subjects with severe brain lesions targeted. Further 18 sample(experimental 9, control group 9) were applied for twice weekly each 90 min for 18 weeks. For examining the functional fitness we measured the pinch strength as muscular performance, goniometer regarding elbow extension, forearm supination, shoulder rotation, knee extension as flexibility, finger to nose as coordination, modified functional reach as balance. Collected data were conducted to the analysis of interaction effects in two way repeated measure ANOVA. Overall it showed that muscular performance, flexibility(Forearm supination), coordination and balance hav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p<.05). The elbow extension, shoulder rotation and knee extension did not show to hav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p>.05). Functional fitness exercise programs must include activities that can increase flexibility, and various exercise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to satisfy the desire of severe brain lesion disorders. 본 연구는 중증 뇌병변장애인을 대상으로 개발된 기능체력 향상 운동프로그램(김인애, 김권일, 2020)의 적용 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중증 뇌병변 장애학생에게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증 뇌병변 장애학생 5명을 대상으로 기능체력 향상 프로그램을 예비 적용하여 활동을 수정·보완하였으며, 중증 뇌병변 장애학생 18명(실험집단 9명, 통제집단 9명)을 선정하여 주 2회 90분씩 18주간 기능체력 향상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기능체력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된 검사로 근기능은 파악력(pinch strength), 유연성은 팔꿈치 신전, 전완 뒤침, 어깨 회전, 무릎 신전에 대한 관절가동범위(goniometer), 협응성은 손가락-코 짚기(finger to nose), 평형성은 기능적 팔 뻗기(modified functional reach)이다. 수집된 자료는 이원반복측정분산분석(Two-way repeated measure ANOVA)을 실시하여 집단 및 시기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근기능, 유연성(전완 뒤침), 협응성, 평형성은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나(p<.05), 유연성 중 팔꿈치 신전, 어깨 회전, 무릎 신전은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따라서 중증 뇌병변 장애학생의 기능체력 향상 운동프로그램에 유연성을 강화할 수 있는 활동이 포함되어야 하며, 중증 뇌병변 장애학생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더욱 다양한 운동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