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즈 데이비즈의 이면과 동양학 연구 협회 조직과 활용

        김원주 ( Kim Won Ju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21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7 No.1

        리즈 데이비즈(Thomas William Rhys Davids)는 중요한 초기 불교 학자로 꼽히는 인물이며 그가 남긴 학문적 유산은 오늘날 까지도 불교학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러나 리즈 데이비즈란 인물과 그의 업적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가 남긴 단편적인 업적 내용을 넘어 당시 시대 환경, 업적을 이루는 과정 속 다양한 인물들 간의 관계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리즈 데이비즈의 실론 생활 속 불교와의 만남과 그가 식민지 관료직에서 해고되는 내용을 통해 그동안 많이 알려지지 않은 그의 이야기를 알아볼 것이다. 또한 팔리성전 협회를 세우는 과정 속 많은 아시아인들의 도움, 왕립아시아학회의 사무관직을 통해 그가 어떠한 활동을 하였는지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우리는 그동안 알려진 무결의 숭고한 불교학자 리즈 데이비즈가 아닌, 보다 복잡하고 세속적인 오리엔탈리스트, 리즈 데이비즈의 모습을 찾아 볼 수 있다. Thomas William Rhys Davids is considered an important early Buddhist scholar, whose academic heritage still influences Buddhist scholars today. However, in order to hav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 of Rhys Davids and his achievements, it is necessary to have comprehensive consideration about not only fragmentary context of his achievements, but also the era and the environment in which he liv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figures in the process of accomplishing his achievements. In this article, we will find out about Rhys Davids’s encounter with Buddhism in his life and his dismissal from his position as a colonial officer. We will also look at the help of many Asian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Pali text society, and Rhys Davids’s activities as a secretary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Through this work, we can find a more complex and secular orientalist, Rhys Davids, rather than a noble Buddhist scholar known until now.

      • KCI등재

        서구사상의 유입과 아시아 불교신앙체계의 변용비교

        김진영(Kim, Chin-Yo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0 남아시아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영국식민지 당시 스리랑카 불교가 어떻게 변용되었는가의 문제를 서구와 아시아의 근대적 만남을 조망하는 시각에서 살피는 것에 목적이 있다. 근대에 서구의 사상이 강제적으로 유입된 아시아는 토착종교를 상실하거나 자체적으로 변화시켜야만 했다. 아시아의 대표적인 종교인 불교는 서구 중심의 근대화 속에서 생존하기 위해 변용되었다. 근대화와 서구화가 동시에 발생한 스리랑카의 근대사에서 특히 영국 식민지배 시기는 불교의 종교적 변용이 가장 많이 발생한 시기였다. 빅토리아왕조의 제국주의와 기독교 선교는 스리랑카의 근대에 그대로 반영되었고 전통적인 테라와다 불교(Therav?da Buddhism)는 단절의 위기에 직면한다. 스리랑카의 불교도는 불교의 서구화에 동화되거나 이를 서구적으로 모방했으며, 강렬하게 저항하거나 불교를 변형시켜 근대의 시기를 넘기게 된다. 서구화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아시아 국가인 스리랑카 불교의 변용을 함축한 인류학적 용어가 프로테스탄트 불교(Protestant Buddhism)이다. 19세기 후반에 형성된 새로운 스리랑카 불교를 지칭하는 이 용어에는 프로테스탄트라는 기독교식 단어가 직접적으로 합성되어 있다. 이 용어는 서구화의 영향 아래에서 성장하고 부흥한 스리랑카 불교의 특수한 변용현상을 담고 있으며 동시에 스리랑카 불교도의 근대적 정체성을 대변하기도 한다. 프로테스탄트 불교는 스리랑카 불교 근대화 과정에서의 전통의 단절, 동화와 모방의 서구화, 전통신앙의 저항과 변용을 통해 형성되었다. 그 안에는 스리랑카인들이 저항했던 서구사상과 수호하고 회복하고 싶었던 테라와다 전통의 변용이 공존했다. 이러한 근대와 서구가 혼종되어 형성된 스리랑카의 프로테스탄트 불교의 연구는 아시아 불교가 경험한 서구적 근대화와 그 변용과정을 가늠해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실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critically the Protestant Buddhism became an instrument for modernization though it played roles in social transformation and political action in Sri Lanka. The impetus for modernization came from the Western impact ushered by British rule. The term Protestant Buddhism was first used by Obeyesekere and Gombrich in preference to Buddhist-modernism having its roots of British Colonial rule. Especially noteworthy is the two sets of historical conditions: the activities of the Protestant missionaries and the close contact with the modern knowledge of the West. In this paper, I have three objectives: (1) I may briefly discuss the concept of modernization and Westernization attacked by Protestant evangelicals in England and the British government felt obliged to dissociate itself from Buddhism. The modern Buddhism appeals to the more privileged urban middle class and reflects the cultural values of a bourgeois Protestantism. (2) I analyze how the start of protestant Buddhism, consciously modeled on Christian forms, T. W. Rhys Davids and Henry Steele Olcott cases. (3) I discuss how Sangha community and Dhammapala espoused Therav?da Buddhism as a basis for the Simhalese cultural reaffirmation. This formation of Buddhism had as its chief characteristics a lay orientation, a this-worldy asceticism, and activstic and moralistic focus, and a strong social consciousness. My finding will support the idea that the Protestant Buddhism formation in Sri Lanka were due more to the general process of social modernization rather than directly the result of Protestant spirituality. In departing from traditional Therav?da, it blurs the sharp dichotomy between the hierarchically dominant monks and the subordinate laity, emphasizing the greater capacity of the individual to seek his own salvation without the need of traditional authorities.

      • KCI등재

        아시아 근대불교와 문화제국주의 비판 -근대 영국의 문화제국주의와 인도불교의 학문화 과정-

        김진영 ( Chin Young Kim ) 인도철학회 2011 印度哲學 Vol.0 No.31

        근대라는 시기에 아시아는 피식민자였고, 제국은 식민자였다. 본고는 아시아, 특히 불교 발생국인 인도와 가장 거대한 제국이었던 영국의 관계를 불교와 문화제국주의로 검토하고 비판하였다. 영국의 제국주의가 절정에 달한 빅토리아시대에 불교는 학문으로 체계화되었고 그 학문적 본질은 근대 인도불교학이었다. 학문화된 불교는 동양을 비추는 거울일뿐 아니라 빅토리아시대를 반영하는 거울의 역할도 하는데, 이는 서구 학자들이 만든 근대 인도불교학에 영국의 문화와 사상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인도 근대불교학의 주체는 인도인이 아닌 서구학자들, 제국주의적 성향을 가진 학자들이었고 그들이 속한 학회, 협회, 대학이었다. 대영제국의 학자, 특히 막스 뮐러와 리즈 데이비스 같은 서구 불교학자들이 인도의 불교학을 발견하고 제작한 데에는 근대라는 시기의 문화와 제국주의적 의도가 있었다. 그리고 식민지배가 끝난 현재에도 그 문화제국주의는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The article deals with the main cultural imperialism approaches to Buddhism in modern Asian ar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ritically the cultural imperialism became an instrument for modernization though it played roles in the establishment of buddhist studies in modern India. The 19th and 20th century explorers, archaeologists, philologists and researchers some British scholars and officials in understanding buddhist philosophy and in restoring Buddhist holy places initiated the process of revival of Buddhism in India. And we may say that with the discovery and translation of Sanskrit, Pali, Tibetan and Chinese texts and Victorian Orientalist invented and controlled Buddhism, as possessing the criteria upon which the judgement of the religious, social and cultural value of Buddhism. In this paper, I have three objectives: (1) I may briefly discuss modern indian buddhism existing in the land of its origins were the archeological studies and palm-leaf manuscripts of philology. (2) I analyze how to start Brian H. Hodgson who as an official of the East India Company in Nepal came into possession Buddhist manuscripts, and in 1837 dispatched them to Calcutta, London, and Paris. As the founding father of the discipline of Buddhology in the West, especially E. Burnouf. His mastery of both Sanskrit and Pali made an ideal person to construct from his field of documents an intelligible scheme of ideas which would henceforth be the prototype of the European concept of Buddhism. (3) I discuss how the discovery and translation of Sanskrit, Pali, Tibetan and Chinese texts, romantic and Victorian Orientalism invented and controlled Buddhism. The way had been prepared for it by the Pali and Sanskrit translations of Max Muller, Rhys Davids and a number of other British scholars. My finding will support the idea that the British cultural imperialism in modern India buddhism was constructed, generally cast as the inverse of the progressive, post-enlightenment civilization of the British colonizers. Thus, thes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y constructions and modern buddhism are part of the legacy of colonialism and of christian idiosyncras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