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복지시설 종사자의 코로나19 감염 예방 실천 영향요인

        노충래(Nho, Choong Rai),최려나(Cui, Li Na),김현진(Kim, Hyun Jin) 한국아동복지학회 2021 한국아동복지학 Vol.70 No.2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아동복지시설에도 장기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복지시설 종사자의 개인적 특성과 시설 특성이 코로나19 감염 예방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에 따른 아동복지의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 지역아동센터, 드림스타트 종사자 336명을 임의 표집하여 전자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에 따른 집단간 차이 및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여성이 남성보다 코로나19 인식 및 직무 스트레스가 높았고, 직책 중 사례관리사의 실천수준이 낮았다. 둘째, 기관 운영체계 중 유연/재택근무가 불가능한 시설이 가능한 시설보다 직무 스트레스가 높았다. 또한, 강사 대신 프로그램을 직접 진행하는 종사자 집단이 감염 예방 실천 및 직무스트레스가 높았고, 강사 대신 프로그램을 진행하지 않는 종사자 집단은 감염관리 수준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근무 시설유형과 코로나19 인식이 코로나19 감염 예방 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를 바탕으로 코로나19 이후 아동복지시설과 종사자 차원에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하였다. As the pandemic persists, it continues to have an impact on child welfare agencies. However, literature on this topic remains scarc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raw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for Korean child welfare by examining how various characteristics of both child welfare workers and agencies affect COVID-19 prevention practice among child welfare workers in Korea. For this purpose, we recruited 336 child welfare workers (from residential care facilities, group homes,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and Dream Start centers) using a purposive sampling method. The analyses were conducte4d in two ways. First, we tested group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COVID-19 recognition, job stress, and COVID-19 prevention practice by the child welfare worker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we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predictive factors for COVID-19 prevention practi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emale workers reported higher levels of COVID-19 recognition and job stress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Second, workers at agencies that provide neither flexible work schedules nor home-based work reported higher levels of job stress than their counterparts. However, workers with a substitute worker to run programs reported higher levels of COVID-19 prevention practice and job stress, and those without a substituted worker reported higher levels of COVID-19 management than their counterparts. Lastly, type of agency (residential vs non-residential facility) and COVID-19 recogni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factors for COVID-19 prevention practice. In other words, workers at a residential facility with higher COVID-19 recognition reported higher COVID-19 prevention practice. Based on the results, we present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for child welfare including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care for child welfare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