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혁신학자 끌라스 스킬더의 후기(1934-1952) 생애와 저술

        이상웅 ( Lee Sangung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22 성경과신학 Vol.102 No.-

        끌라스 스킬더(Klaas Schilder, 1890-1952)는 카이퍼와 바빙크 사후 화란 개혁교회를 주도한 주요한 신학자 중 한 사람이다. 신학교 교수, 저널 편집인, 설교자와 강연자, 저술가 등으로 많은 업적으로 남겼지만, 한국 내에서는 그에 대한 소개가 부족하고, 학문적인 논의도 아직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논자는 이러한 현황에서 스킬더의 생애와 주요 저술에 대한 소개를 진행하고 있는데, 초기 스킬더(1890-1933)에 대해서는 이미 공표했다. 이제 본고에서는 후기 스킬더의 생애와 주요 저술에 대해 논의를 했다. 이러한 논구는 보다 더 깊은 연구를 위한 기초 작업이라는 의의를 가진다고 생각한다. II에서는 깜쁜 신학교 교수로서 활동했던 1934년부터 1944년까지의 시기를 논구해 보았다. 그는 신학교 교수로서, 「개혁」지의 편집과 주필로서 왕성하게 활동하면서 화란 개혁교회 목회자들과 교인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던 시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활동은 H. 카이퍼와 V. 헤프 같은 카이퍼리안들과의 갈등과 논쟁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이러한 갈등은 1940년 독일 침공과 화란 점령 기간 동안에 더욱더 극단으로 치달아서 마침내는 스킬더의 정직과 면직에 이르게 되고, 그 여파로 해방파 또는 31조파 교회라고 하는 새로운 교단이 생겨나게 되었다. III에서 우리는 새로이 출범한 해방파(혹은 31조파) 교단의 지도자와 브루더벡 깜쁜 신학교 교수로서 스킬더의 활동과 주요 저술에 대해 논구해 보았다. 이 시기는 1945년부터 시작해서 1952년 갑작스러이 소천할 때까지의 비교적 짧은 기간이다. 스킬더는 새로 설립된 교단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교단 내 문제점들을 풀어나가야 하는 과제를 수행했고, 신학교 강의와 1940년에 폐간당했던 「개혁」지의 재발행과 편집 책임을 다시 맡아 많은 글을 공표하기도 했다. 이 후기에 스킬더는 『그리스도와 문화』(1948),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해설 1-4』(1947-1953), 그리고 『수난당하시는 그리스도 1-3』 2판 수정증보판(1949-1952) 등을 출간하기도 했다. 스킬더는 독창적이고 풍성한 개혁신학의 유산을 우리에게 남겨주었기 때문에, 국내에서도 그에 관한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소망한다. 특히 학술적인 전기가 출간되어야 하고, 그의 주요 신학적인 기여들(언약, 교회, 종말론, 역사관, 문화관, 신론, 변증법적 신학 비판)에 대해 심층적인 연구 작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Klaas Schilder (1890-1952) was one of the leading theologians of the Dutch Reformed Church after the death of Kuyper and Bavinck. Although he left many achievements as a Seminary professor, journal editor, preacher, lecturer, and prolific writer, he has not yet been introduced much in Korea, and academic discussion about him has not been activated yet. In this context, I am introducing Schilder’s life and major writings, and the paper dealing with the early Schilder (1890-1933) has already been published. Now,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life and major writings of later Schilder(1934-1952). I think that this introduction paper has significance as a basic work for more in-depth research of him. In section 2, I examined the period from 1934 to 1944, when he was active as a professor at Kampen Theological School. He was active as a seminary professor and editor of a weekly named De Reformatie and had a profound influence on pastors and members of the Dutch Reformed Church. However, such activities have also sparked conflicts and disputes with Kuyperians such as H. Kuyper and V. Hep. These conflicts became more and more extreme during the period of the German occupation of Holland, eventually leading to the suspension and dismissal of Schilder, and in the aftermath, a new denomination called the Vrijgemaakte (Liberated) was born. In section 3, I examined Schilder’s activities and major writings as a leader of the newly launched Vrijgemaakte Churches (or Maintaining 31 st article) and a professor at Bruderweg Kampen Seminary. This period is relatively short, from 1945 to his sudden death in 1952. Schilder ha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new denomination, to solve problems raised within the denomination, and published many articles in De Reformtie Journal along with lectures at seminaries. Moreover, in this period, Schilder published Christ and Culture (1948), Commentary on the Heidelberg Catechism 1-4 (1947- 1953), and the second edition of Christ in his Suffering 1-3 (1949-1952). Since Schilder has left us with an original and rich legacy of Reformed theology, we hope that research on it will be activated. In particular, an academic biography should be published, and in-depth research work is needed on his major theological contributions (covenant, church, eschatology, view of history, view of culture, theology proper, criticism on dialectical theology).

      • KCI등재

        개혁신학자 끌라스 스킬더의 초기(1890-1933) 생애와 저술

        이상웅 ( Lee Sang Ung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7 성경과신학 Vol.84 No.-

        끌라스 스킬더는 카이퍼(Kuyper)와 바빙크(Bavinck)를 이어 화란개혁교회와 신학에 여러 가지로 지대한 공헌을 한 신학자이다. 그는 심원하고, 독창적이고, 현실적합한 많은 저술들을 출간했고, 목회자와 신학교 교수로서 개혁교회의 갱신을 도모했던 교회의 신학자이기도 하다. 후기에 그는 한 교단과 한신학교의 설립자가 되기도 한다. 이렇게 중요한 신학자임에도 불구하고 그의 저술과 생애에 대한 논구 작업이 그동안 희소했다. 이런 상황에서 스킬더에 대한 연구와 논의가 점증되기를 소망하면서, 본고를 통해 스킬더의 공적인 이력과 저술에 대한 개관 작업을 시도해 보았다. 그의 공적인 이력을 개관하는 일만 해도 논문 한 편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그의 초기성장과정과 목회기간에 집중해서 천착해 보았다. 2절에서는 스킬더의 출생과 성장 과정에 대해서 논구해 보았다. 가난한 환경에서 태어나 자란 스킬더는 어렵게 김나지움에 들어가게 되었으나 6년간 고전어들, 현대어들, 화란사 등에 집중적을 면학정진했다. 이러한 학업 과정은 이어지는 깜쁜신학교에서의 신학수업을 위해서 크게 유익하였다. 김나지움을 졸업한 후에 깜쁜신학교에 진학하여 4년 반의 목사 훈련 과정을 우수하게 이수하였다. 신학뿐만 아니라 철학과 문학에 대한 방대한 독서를 하였으며, 학생회 활동에도 열정을 다했다. 3절에서는 스킬더의 개혁교회 목회자로서의 사역 기간을 개관해 보았다. 1914년 암트-폴른호브 소재 개혁교회 목사로 사역을 시작한 스킬더는 로테르담-델프스하브에 이르기까지 총 6개 교회를 연속해서 19년 동안 목회를 했다. 스킬더의 목회 사역기를 특징짓는 것은 그가 구속사적 설교에 집중 했다고 하는 것이다. 또한 이 기간 동안 각종 교회 신문들에 글들을 기고하거나 주간지 「개혁」지의 편집을 맡으므로 화란개혁교회 내에 영향력있는 인사가 되어갔다. 그리고 마지막 목회지에서는 독일 에얼랑엔대학교에서 박사과정 공부를 진행하여 철학 박사학위를 받기에 이른다. 그리고 1933년 총회에서 그는 깜쁜신학교 교수로 임명을 받는다. 여기까지가 그의 초기 생애 혹은 제1시기에 속한다. Klaas Schilder (1890-1952) was a theologian who made various contributions to the Dutch Reformed Church and theology after Kuyper and Bavink. He had published many works characterized by profundity, originality and relevance. He was a pastor as well as a seminary professor - the theologian of the Church - who aimed at the renovation of Dutch Reformed Churches. In the latter days, he became the founder of a new denomination and a Theological Seminary. Despite his significance as a theologian, his works and life have been rarely examined academically in Korea. In this regard, I tried to overview his public career and writings in this paper, hoping that the research and discussions on Schilder will increase. Since it is impossible to examine entirety of his life and works in a brief paper, I focused on his early development and his pastoral period in this paper. In section two, I examined on the birth and early development of Schilder. Although Schilder grew from a poor family and hardly advanced to Gymnasium, he concentrated to study on classical languages, modern languages, and Dutch language for six years. This course of study was very beneficial for the subsequent studies in Theological Seminary. After graduating from Gymnasium, he went to the Theological School in Kampen where he prosecuted the training course for candidates of would-be Reformed pastors about four and a half years. While attending seminary, he did extensive reading on philosophy and literature as well as theology. There, he was passionate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of the student clubs as well In section three, I examined the period of Schilder’s ministry as a pastor in Reformed Churches. In 1914, Schilder began his first pastoral work in the Amt-Vollenhove and to his last ministerial place at Rotterdam- Delfshaven had he ministered in the six churches for 19 years. During his pastoral ministry, Schilder was known for his focus on redemptive preaching. On the other hand, he also became an influential opinion leader in his denomination by contributing so many articles to various church newspapers or editing the weekly magazine De Reformatie. At his last pastoral place, he had prosecuted his doctoral coursework in Erlangen University and finally he received Ph. D. degree in philosophy. In the 1933 General Assembly, he was appointed as a professor of his alma mater. So far, I examined the early development of Schilder.

      • KCI등재

        그리스도, 교회 그리고 문화 : 끌라스 스킬더와 디트리히 본회퍼를 중심으로

        김재윤(Jae Youn Kim)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0 갱신과 부흥 Vol.26 No.-

        그리스도인의 세상적 삶의 기초는 무엇인가? 밴드루넨(Vandrunen)은 구속과 창조를 구분하고 창조를 세상적 삶의 기초로 본다. 북미의 신칼빈주의자들은 창조-타락-구속의 구도속에서 세상의 변혁을 구속안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정리하자면 밴드루넨은 구속이 배제된 창조를, 북미의 신칼빈주의자들은 지나치게 구속안에서 그 동기를 찾으려고 한다. 이 논쟁에 대한 대안을 스킬더(Schilder)와 본회퍼(Bonhoeffer)의 기독론적 통합에서 발견할 수 있다. 스킬더는 일반저주라는 개념을 사용하면서 세상 문화 속에 존재하는 죄악성을 강조한다. 따라서 문화적 삶의 기초는 철저히 구속자 그리스도에 있다. 그러나 그는 단지 기독론에만 한정하지 않고 그리스도안에서의 문화사명을 결론적으로 제시한다. 세상 전체가 그리스도 주권 아래 있어야 한다는 점도 동시에 붙든다. 본회퍼는 먼저 그리스도의 현존으로서의 교회를 주목한다. 교회는 그리스도와 단절할 수 없는 관계성 속에서 규정된다. 세상의 현실은 그리스도의 현실로서 끊임없이 수렴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교회는 하나님의 현실로서 그리스도를 통해서 시작된 새로운 현실의 중심이다. 따라서 교회에 속한 성도의 세상적 삶도 그리스도의 현실 안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우리는 이 두 신학자를 통해서 세상적 삶의 기초는 철저히 기독론적어야 한다는 점과 그리스도안에서 구속과 창조는 통합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확인한다. 철저히 기독론적이지만 동시에 창조세계를 포괄하는 대안적인 그림을 제시하게 되었다. What is the basis for Christian life in the world? Vandrunen makes a distinction between redemption and creation. Further, he sees creation as the basis of cultural life ourside church. Neo-calvinists in North-America want to include the transformation of the world in redemption insisting on the framework of creation-depravity -redemption, An alternative to this debate can be found in the Chritological integration of Schilder and Bonhoeffer. Schilder uses the concept of general curse to emphasize the sinful nature that exists in the culture of the world. Therefore, the foundation of cultural life is thoroughly in Christ the Redeemer. However, it also holds that the whole world should be under Christ s sovereignty by concluding the cultural mandate in Christ. Bonhoeffer notices the church as the presence of Christ. The reality of the world must converge constantly as the reality of Christ. As a result, the church is the center of the reality of God which is a new reality founded by Christ. Therefore, the worldly life of the christians belonging to the church must be understood in the reality of Christ. Through these two theologians we confirm that the foundation of worldly life must be christologically defined. In Christ, redemption and creation must be unif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