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영성교육과 평암 이계학의 인격교육 비교고찰

        이충범 한국인격교육학회 2016 인격교육 Vol.10 No.2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많은 문제점들의 하나의 해결방안으로서 전인교육, 인성교육, 도덕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교육들이 내포하고 있지 못한 점의 보완으로서, 영성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은 기독교 영성교육과 평암 이계학(1937-2005)의 인격교육을 비교고찰하였다. 우선 개념의 혼란이 심각한 영성의 개념에 대하여 고찰한 저자는 영성의 개념에 대한 이해에 따라 영성교육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영성교육을 A, B, C 세 유형으로 분류한 저자는 A형 영성교육이 갖고 있는 특징 중 하나인 신비적 차원으로 도약하는 문턱을 평암선생의 질적인 도약을 가져오는 깨달음과 비교하였다. 저자는 영성교육과 인격교육이 공히 이러한 깨달음의 유도를 교육의 중요한 기능으로 보고 있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B형 영성교육과 인격교육은 공히 몸과 의식의 참여를 강조하는 바, 두 번째 장에서는 이러한 공통점을 다루었다. 영성교육이 단순한 훈련에서 벗어나 그 외연을 확대한 바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대영성교육은 직접적인 체험과 참여를 매우 강조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평암선생의 인격교육은 교육이 단순한 교수학습의 장에서 벗어나 몸과 마음을 닦는 기술이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기독교의 전례적인 영성을 평암교육사상에서는 가정 내 실천적 예에서 찾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마지막으로 C유형의 영성교육과 인격교육은 종교성을 탈피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서로 만난다. 그러나 타자와의 감응을 강조하는 C유형의 영성교육과 인격교육의 대화는 쉽지 않다. 왜냐하면 이러한 C유형 영성교육의 특징을 인격교육에서는 찾기 쉽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면에 대한 연구는 차세대의 몫으로 보인다. To combat the diverse drawbacks that are present in contemporary society, there is great emphasis on the education of the human being as a whole, with character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as a solution. Furthermore, spiritual education emerged into the forefront of importance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type of education stated previously. The following thesis is a comparative study over the character (saramdaum) education of Dr. Keay-Hark Lee and the spiritual education as influenced by Christianity. Above all, the author has categorized spiritu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spiritual concepts, due to his contemplation over the severe confusions over the concepts of spirituality. The author, who has categorized spiritual education into three models, A, B, and C, compared model A’s characteristic, which is the threshold of the leap through mystical dimensions, with that of Dr. Lee’s “great awakening,” which on the other hand, brings a qualitative leap. He also emphasizes that both spiritual and character education have a major function in education by nominally inducing these “awakenings.” Both Model B of spiritual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emphasize the participation of the consciousness and the body, where the second chapter covers the similarities between these two entities. Although spiritual education has exaggerated the denotation far from basic practices, contemporary spiritual education highly emphasizes firsthand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Likewise, Dr. Lee’s character education is an education that breaks the borders of simple teaching and learning and emphasizes the techniques to train the body and mind. Moreover, the preceding divine nature of the liturgy from Christianity according to Dr. Lee’s philosophy can be found within the traditional ceremonies of households. Lastly, model C’s spiritual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convene together when they attempt to depart from religion. However, because model C emphasizes the effect from others, communication between spiritual and character education is not simple. This type of feature from model C is not easily found in character education. As a result, research in this respect seems to be a role for succeeding generations.

      • KCI등재후보

        자기 배려, 영성신학, 그리고 인격교육론

        이충범 한국인격교육학회 2017 인격교육 Vol.11 No.3

        Since Michel Foucault has developed his notion of the care of the self, called the aesthetics of existence, he has given insight to scholars such as theologians. Provided with the creative mode of the formation of self, Foucault has demonstrated structural autopsy of spirituality and spiritual discipline. Furthermore, by doing so, he has shown the possibility of an ethical autonomous self which enabled the self to escape from the modern subjectivity, that is, Cartesian rational subjectivity. Even though it is different from Foucault’s theory of the care of the self in detail, Christianity has developed its own economy of the principles of self formation in terms of spiritual disciplines. The fruits of these endeavors have also emerged in the name of spiritual theology in the late 19th and the early 20th centuries. Similarly, based on Asian traditions, Dr. Keay-Hark Lee has alluded that saramdaum education was a type of discipline of self formation. In this paper, Foucault’s concept of the care of the self is examined in comparison both with the Christian spiritual discipline and with the saramdaum education. These three have several commonalities in that, first, they embrace bodily cultivation in philosophy. Second, these theories have shared some hierarchical steps of the soul during the evolution of self. Last, these three commonly developed the principles of self cultivation,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the unremitting subjectivation. 영성에 대한 개념정의와 의미에 대한 물음이 지난해진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미셸 푸코에 의해 개진된 자기 배려와 실존의 미학은 영성에 대한 깊은 통찰을 주기에 충분하다. 푸코는 자기 배려라는 새로운 양태의 자기 구성 원리를 제공함으로써 영성 및 영성훈련에 대한 구조적인 해부학을 보여주었고 나아가서 스스로 구성하는 자기에 대한 희망적 원리를 제공하였다. 동시에 근대적 주체로부터 탈주할 수 있는 자율적 자아의 가능성을 드러냈다. 비록 푸코는 자기 배려의 원천을 고대 그리스적 전통에서 찾고 있지만 그리스도교 전통 속에 있는 영성신학 혹은 영성훈련 역시 일종의 자기 배려의 방식 중의 하나이다. 그리스도교는 오랫동안 영적인 성장과 자기 구성에 대하여 정치한 신학을 발전시켜왔고 이 신학은 20세기 초 영성신학이라는 모습으로 현시되었다. 유사하게 평암 이계학의 인격교육 역시 동양의 전통에 기반을 둔 자기 배려의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푸코의 자기 배려에 대하여 이해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자기 배려를 이해하면서 이를 전통적인 영성신학과 평암 이계학의 인격교육론의 시각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은 이 논문의 부수적 효과라고 할 수 있다. 자기 배려를 영성 및 인격교육론을 통해 이해하려는 틀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삶과 교육은 이론적이거나 지적인 유산을 계승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 훈련을 포괄한다는 것이다. 둘째 자기 배려, 영성신학 및 인격교육론은 실천의 목적성과 완성 혹은 완전을 위한 단계를 가진다는 것이며 셋째 이들 모두 정교하거나 혹은 거칠거나 수행법을 제공하거나 암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 KCI등재

        자살에 대한 서구적 이해와 인격교육학적 제언

        이충범 한국인격교육학회 2019 인격교육 Vol.13 No.3

        The person who commits suicide has been considered a murderer in the Christian world for a long time. However, it is embarrassing to witness the fact that the rate of suicide of Christians has been much higher than those of other religions. This paper aims to, first of all, study the Christians’ perspective on suicide both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in West and in the biblical background. Surprisingly,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Christianity has a neutral or affirmative concept as well as formal abhorrence regarding suicide. Second, this paper deals with the typology of suicide and death. Recently, the definition of suicide and death has been very problematic sophisticated. Considering traditional typology such as that of Emile Durkheim, this essay suggests eight types of death defined as suicide. Finally, this paper deals with the concept of death and suicide in saramdaum education. As a result, Dr. K. Lee and saramdaum education provide boundless affirmation on life and suggest that death is not only the end of eschatology but also a birth of other dimensional lives. Thus, it is found that saramdaum could contribute to the protection of suicide in the Korean society and the Church. 현재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적게 출산을 하고 가장 많은 수가 자살을 한다. 이미 10년 전부터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심각한 상태이다. 종교인이 국민의 1/3 이상 차지하는데도 자살률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 그리스도교는 오랜 동안 자살을 살해라고 여겼다. 자살에 대하여 극단적인 혐오를 드러내며 자살을 방지하고자 노력해왔다. 그러나 무종교인이나 타종교인은 차치하고서라도 그리스도인들의 자살률조차 매우 높은 실정이다. 이 글은 자살에 대한 신학·교학·윤리적 판단이 아닌 종교·교육·인문학적 성찰을 담고 있다. 우선 역사 속에서 그리스도교가 자살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탐색하고 그 시각들을 알아본다. 그리고 그리스도교의 자살 혐오와 터부의 역사적인 분석 결과, 그리스도교가 갖고 있는 자살에 대한 양가적인 특성을 드러낸다. 그리스도교는 자살에 대하여 매우 부정적인 것 같지만 사실 순교나 금욕주의처럼 스스로 가하는 고통과 생명의 헌신을 대한 칭송도 공존한다. 두 번째 자살이라는 죽음의 구조적 분석과 그 유형에 대하여 검토한다. 외견 상 자살 혹은 타살로 보이는 다수의 죽음들이 사실은 해석의 과정을 거친 판단들이었음을 드러낸다. 마지막으로 죽음과 자살에 대한 사람다움 교육(인격교육)의 태도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스스로 거두는 목숨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교정해본다. 또한 사람다움 교육론을 활용하여 자살 방지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가능성을 타진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