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mparative evaluation of peri-implant stress distribution in implant protected occlusion and cuspally loaded occlusion on a 3 unit implant supported fixed partial denture: A 3D finite element analysis study

        Paramba Hitendrabhai Acharya,Vilas Valjibhai Patel,Sareen Subhash Duseja,Vishal Rajendrabhai Chauhan 대한치과보철학회 2021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Vol.13 No.2

        Purpose. To assess peri-implant stress distribution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in implant supported fixed partial denture with occlusal schemes of cuspally loaded occlusion and implant protected occlusion. Materials and methods. A 3-D finite element model of mandible with D2 bone with partially edentulism with unilateral distal extension was made. Two Ti alloy identical implants with 4.2 mm diameter and 10 mm length were placed in the mandibular second premolar and the mandibular second molar region and prosthesis was given with the mandibular first molar pontic. Vertical load of 100 N and and oblique load of 70 N was applied on occlusal surface of prosthesis. Group 1 was cuspally loaded occlusion with total 8 contact points and Group 2 was implant protected occlusion with 3 contact points. Results. In Group 1 for vertical load, maximum stress was generated over implant having 14.3552 Mpa. While for oblique load, overall stress generated was 28.0732 Mpa. In Group 2 for vertical load, maximum stress was generated over crown and overall stress was 16.7682 Mpa. But for oblique load, crown stress and overall stress was maximum 22.7561 Mpa. When Group 1 is compared to Group 2, harmful oblique load caused maximum overall stress 28.0732 Mpa in Group 1. Conclusion. In Group 1, vertical load generated high implant stress, and oblique load generated high overall stresses, cortical stresses and crown stresses compared to vertical load. In Group 2, oblique load generated more overall stresses, cortical stresses, and crown stresses compared to vertical load. Implant protected occlusion generated lesser harmful oblique implant, crown, bone and overall stresses compared to cuspally loaded occlusion.

      • KCI등재

        임플란트 지지 보철물의 교합양식 및 고려사항

        백연화(Yeon-Wha Baek),김명주(Myung-Joo Kim),권호범(Ho-Beom Kwon),임영준(Young-Jun Lim) 대한치과의사협회 2020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58 No.8

        The osseointegrated implants react biomechanically in a different pattern to occlusal force, due to lack of the periodontal ligament unlike the natural teeth. The implants show markedly less movement and limited tactile sensitivity compared with the natural teeth. The implant occlusion concept aims to avoid overloading on the implants and to direct occlusal loads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implants,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different biomechanics of the implants. Although many guidelines and theories on implant occlusion have been proposed, few have provided strong supportive evidence. Moreover, the outcome of treatment often quite successful in spite of different concepts of occlusion and there is an increasing tendency to doubt about the strict theoretical implant-specific occlusion concep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previous reports about the concept of implant occlusion and discuss clinical occlusal considerations in implant rehabilitations.

      • KCI등재후보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의 교합적 고려사항

        이규복(Kyu-bok Lee) 대한치과의사협회 2013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51 No.5

        The proper occlusal desig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long-term succes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and define occlusal considerations to reduce failure of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es. The physiological movement of implants is markedly lower than that of natural teeth and they also lack in occlusal sensitivity. Proper occulsal pattern may be assigned to compensate for the biological disadvantages and occlusal contacts must be formed where the cantilever effect is minimized. Moreover, the long-term success can be assured by reducing early occulsal loading to avoid implant overloading and selecting appropriate occlusion material.

      • KCI등재후보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에서 자연치와 비슷한교합형성법에 대한 가능성과 한계

        전보슬,김승균,이정진,서재민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 2018 대한구강악안면임프란트학회지 Vol.22 No.3

        Restoration with fixed prostheses using implants is a generalized treatment method in partially or fully edentulous patients. In the past, where only the function of the implant prostheses was emphasized, successful osseointegration was just enough to be considered clinically satisfactory. Recently, however, as the patient’s demands have increased, the recovery of function and esthetics similar to the lost natural teeth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for implant prostheses restoration. There may be controversy as to whether occlusion of natural teeth can be applied to implants with different morphological, histological, and dynamical characteristics from those of natural teeth. Therefore, this article will investigate the possibility, prerequisites, limitations and solutions of implant occlusion formation similar to natural teeth. Ⅰ. 서론 : 부분 또는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수복은 일반화된 치료방법이다. 임플란트 보철의 기능만이 강조되던 과거에는 골유착에 기반한 성공만으로도임상적으로 만족스럽다고 여겨졌다. 그러나 최근에는 환자의 요구사항이 높아지면서 상실된 자연치아와 유사한 기능성과 심미성의 회복이 임플란트 보철 수복의 중요한 문제로대두되고 있다. 자연치와 임플란트를 아우르는 교합 양식은 상호보호교합(mutually protected occlusion) 으로, 이는 최대교두감합에서는 구치부가 강하게 교합되고 전치부에서는 약하게 교합되며, 하악의 전방운동 시에 모든 구치가 이개되고, 측방운동 시 비작업측의 구치는 이개되고 작업측구치는 교합간섭이 없어서 기능 운동시에 전치부와 구치부를 모두 보호하는 교합 방식이다 . 임플란트는 자연치와 달리 치주인대와 치주기계수용기(periodontal mechanoreceptor)가 없기 때문에, 자연치에 비해 충격 흡수가 약하고 교합 인지 능력이 떨어지며 임플란트-골 계면으로 스트레스가집중된다1,2. 그렇다면 과연 자연치와 다른 형태학적, 조직학적, 역학적 특성을 가지는 임플란트를 자연치와 유사한 교합으로 형성해주어도 되는 것인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을 수 있다 . 따라서 임플란트 보철물의 교합 형성은 자연치와 다른 방식으로 임플란트를 보호할 수 있는 임플란트 보호교합(implant protected occlusion)이 추천되어져 왔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3,4. 1) 중심 교합 시 간섭이 없고 자연치보다 약한 교합 또는 저위 교합(infra-occlusion)의 형성2) 임플란트의 중심에 집중된 교합 접촉(centered occlusal contact)의 부여3) 넓은 자유도를 가지는 와(wide freedom in centric occlusion)의 형성4) 둥글고 낮은 교두각(rounded and diminished cusp tip)의 형성5) 자연치 보철물보다 30~40% 작은 크기의 교합면(narrow occlusal table) 형성6) 작업측/비작업측의 간섭이 없는 교합면의 형성지금까지 이러한 임플란트의 교합형태가 기계적, 생물학적 합병증 없이 임플란트의 임상적 성공율과수명을 높여줄 것이라고 평가되었다5,6. 하지만 이를 증명할 충분한 임상적 연구와 근거 기반 결과(evidence- based outcome)의 부족으로 이상적인 임플란트 교합은 아직 정립되지 않았다7. 또한 최근에는골유착에 기반한 성공만으로는 임상적 만족을 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임플란트 및 보철물의 기계적물성과 개발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자연치와 유사한 임플란트 교합 형성에 대한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에 전통적으로 추천되어 왔던 임플란트 교합 형성의 개념을 다시 한 번 살펴보고 임상적으로 임플란트 보철물을 설계할 시에 적용할 수 있는 교합에 대해 제시해 보고자 한다 . Ⅲ. 결론 : 임플란트와 자연치 모두에서 존중되어야 하는 기본 교합 양식은 상호보호교합이다. 따라서 임플란트보철 수복 시, 교합면 접촉의 위치와 교합 정도, 교두 각도, 교합면 크기를 자연치와 유사하게 형성하는것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으며, 하악의 편심운동 시에는 전방부 치아나 다수의 임플란트가 유도를 담당하여 구치부의 불필요한 간섭이 없도록 하는 것이 추천된다. 하지만 주변치아들의 심한 마모나 파절, 비기능 습관과 같은 조절할 수 없는 응력이 존재한다면 선택적으로 임플란트 보호교합을 형성하는 것이임플란트의 기계적 합병증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즉, 임상가가 환자 개개인마다 응력에대한 종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