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추부 척추관 협착증 치료를 위한 요추부 극돌기 삽입술의 추간판 내 압력 분포 변화에 관한 생체역학적 분석

        권순영(Soon-Yong Kwon),전성철(Sung-Chul Jun),문수정(Soo-Jung Moon),탁계래(Gye-Rae Tack),이성재(Sung-Jae Lee),신규철(Kyu-Cheol Shi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6

        목적: 요추부 척추관 협착증 치료를 위한 여러 형태의 요추부 극돌기 spacer 중 가장 초기 형태인 골시멘트 spacer 삽입에 따른 추간판의 생체역학적 압력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시편으로는 생후 2주일 미만의 송아지 요추 다분절 (Ll-L5) 6개를 이용하였다. 각각 3개의 시편을 정상군과 요추 3-4번 극돌기 사이에 골시멘트 12 mm 원형 spacer를 삽입한 시술군으로 구분하였다. 압축 하중 (700 N) 및 신전 하중 (700 N+7.5 Nm) 하에서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정상군과 시술군의 요추 2-3번, 3-4번, 4-5번 사이의 전방 섬유륜, 수핵, 후방 섬유륜, 후측방 섬유륜에서의 압력을 측정하였다. 결과: 정상 시편의 경우 압축 하중에 비해 신전 하중 시 후방 부위 섬유륜내의 압력이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spacer를 삽입한 후 압축 하중 및 신전 하중에서 인접한 추간판(L2-L3, L4-L5)의 압력 변화는 정상군과의 비교 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하지만 신전 하중 하에서, 정상군의 요추 3-4번 사이의 수핵, 정 후방 섬유륜, 후 측방 섬유륜에서의 압력이 l.48±0.27 MPa, l.42±0.21 MPa, 1.71±0.56 MPa로 나타난 것에 비해, 시술 후 압력이 1.11±0.18 MPa, 0.96±0.31 MPa, 1.08±0.14 MPa로, 수핵의 경우 25%, 정 후방 섬유륜에서는 31.7%, 후 측방 섬유륜에서는 36.8%의 감소율을 보였고,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결론: 신전 하중 하에서의 압력의 감소 효과는, 요추부의 신전을 유발하는 자세에 따라 증상이 나타나는 요추부 척추관 협착증의 원인으로 알려진 추간판의 팽륜의 감소를 유발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기존 내고정 장치를 이용한 시술 부위의 너무 강한 융합은 인접한 추간판에서의 퇴행화를 가속화 시킨다고 보고 되었다. 또한 시술 후 인접한 추간판내 압력의 경우 정상군의 결과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이는 spacer의 삽입술이 인접한 추간판의 생체 역학적 역할에 변화를 유발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assess the biomechanical effects and effectiveness of an interspinous spinal spacer (ISS) on the intradiscal pressure using in vitro biomechanical tests. Materials and Methods: Six calf spine specimens (less than 2 weeks of age, L1-L5) were divided to two groups the intact and the surgery groups (n=3 each). For the surgery group, an ISS made from PMMA (Greek pi=12-mm) were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spinous processes of L3-L4. The intradiscal pressures at the various regions of the annulus (anterior, posterior, and posterolateral locations) and the nucleus pulposus were measured using the four pressure transducers under pure compression (700 N) and extension loads (700 N+7.5 Nm). Results: An increase in pressure was observed from neutral to extension at the posterior and posterolateral annulus. After inserting the ISS, the changes in pressure at the adjacent disc levels (L2-L3, L4-L5) were negligible regardless of the loading conditions (p>0.05). However, at the implanted level (L3-L4)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the pressure were found under extension loading at the nucleus pulposus, posterior and posterolateral regions of the annulus with a pressure drop from 1.48 MPa, 1.42 MPa, 1.71 MPa to 1.11 MPa, 0.961 MPa, 1.08 MPa, at the respective locations (p<0.05). The relative percentage decrease were 25%, 31.7%, and 36.8%. Conclusion: On the implanted level,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insertion of the ISS with PMMA can effectively reduce the intradiscal pressures by at least 25% quite uniformly over the intraver-tebral disc during extension. More effective reduction was observed at the posterolateral location. The pressure changes at the adjacent levels were negligible in contrast to the abnormal pressure changes that are frequently reported after conventional rigid fusion. This suggests that the likelihood of adjacent level degeneration after surgery can be minimized using the ISS inser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