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통정원에서 “오동(梧桐)”의 수종, 식재 위치와 경관적 활용

        홍형순 ( Hyoung Soon Hong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3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1 No.2

        인류 문명과 함께해 온 나무 중 하나인 ‘오동’은 정원수로도 널리 사용되어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전통 정원에 ‘오동’이 어디에 어떻게 식재되었는가? 또 그로부터 취한 효용성은 무엇이었는가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규명하고자 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전통 정원에서 ‘오동나무’와 ‘벽오동’ 등 수종을 명확히 구분하고, 또 이들을 방위에 따라 가려서 식재하였는가? 둘째, 의기(宜忌)에 준해서 정전(庭前)에 오동나무 식재를 금기시했다면 어떤 위치에 식재하였는가? 셋째, 옛 사람들은 왜 오랜 기간에 걸쳐 오동을 즐겨 심고 가꾸었으며, 이를 통해 어떠한 효용을 취하고자 했는가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여러 사료들에 담긴 내용과 의미를 고찰하고 해석하는 기술(description)적 연구방법이 사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백과사전류와 농서, 원예서 등 고문헌을 고찰한 결과, ‘오동’에 대한 설명이 편찬자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구체적인 수종의 구분도 모호하다. 따라서 방위에 따라 ``오동’의 수종을 가려서 식재하는 등의 제한이 적용되지는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오동’의 식재와 관련된 의기 사항은 『산림경제』가 아닌 『증보산림경제』와 『임원경제지』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2. 옛 정원을 묘사한 시문을 통해서도 오, 동, 오동, 벽동 등의 어휘가 큰 구분 없이 사용되었음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정원에 도입된 ``오동’의 수종은 오동나무와 벽오동을 비롯해 개오동나무도 활용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3. ‘오동’ 식재와 관련된 의기 사항이 보편적으로 적용되지는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정전(庭前)’ 즉, 뜰 앞이나 뜰 가 등 집 가까이에도 오동이 즐겨 식재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4. 옛 정원의 정원수로서 오동의 효용성은 ‘가을의 전령’으로서 계절감을 강조하는 수목으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5. 오동은 일시적 경관의 정취를 더하는 수목으로서의 효용성도 있었다. 즉, 옛 사람들은 ‘달’과 가장 잘 어울리는 사물을 ‘오동’이라고 보았고, 이 둘이 병치된 운치를 즐겼다. 또 ‘오동’은 잎에 떨어지는 빗소리를 즐기는 등 비오는 날의 정취를 더해주는 수목 중 하나로 활용되었다. 본 연구의 한계는 많은 한문 자료 중 번역물에 국한하여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점이다. 추후 연구과제는 새로운 사료의 발굴과 번역 성과물이 축적됨으로써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Paulownia tree``, one of a tree species which has been with human civilization, has been widely used as a garden pl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ncrete species of ``paulownia tree``, which had been planted in Korean traditional garden, the position of plantation, and consider its usefulness there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s the result of considering old literatures as encyclopedia, agricultural book (農書), gardening book, etc., there`s a difference in the description of ``paulownia tree`` depending on the complier, as well, the classification of concrete species is quite ambiguous. Therefore, it judged a limit which is planted based on point of the compass is not apply to species of tress of paulownia tree. Merely, the point of suitability and evasion(宜忌) related to the plantation of ``paulownia tree`` could be identified in 『Jeungbosanrimgyeongje(增補山林經濟)』 and 『Imwongyeongjeji(林園經濟志)』, not 『Sanrimgyeongje(山林經濟)』. 2. It could be confirmed again through poetry and prose which describe old garden that the words such as ``O(梧)``, ``Dong(桐)``, ``Odong(梧桐)``, etc. were used without significant division. However, it is supposed that the species ‘Odong`` which was actually adopted at the garden might be Catalpa as well including Korean Paulownia and Chinese parasol tree. 3. It is considered that the reference point of suitability and evasion(宜忌) regarding ``paulownia tree`` plantation was not generally applied. That is, species of paulownia tree was not divided for planting according to direction, as well, they seemed to willingly plant paulownia trees nearby the house as well, e.g. front yard or nearby yard, etc. 4. The usefulness of paulownia tree as a garden plant of an old garden played a role of ``the messenger of fall``, emphasizing a sense of the season. 5. Paulownia tree has another usefulness as a tree which adds an Ephemeral landscape. Therefore, the ancient people considered ``paulownia tree`` that goes with ``the moon`` the best, and enjoyed the quaint beauty of those two are juxtaposed. Also, ``paulownia tree`` was utilized as a tree which adds an atmosphere of a rainy day, such as enjoying the sound of rain dropping on the ``paulownia tree``, etc.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research was performed being restricted to the translation among lots of Chinese references. Later-on task of research is the necessity of a more in-depth study through the discover of new historical sources and the accumulation of translation outcom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