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테미스토클레스 무덤과 유골의 귀환

        변정심 ( Jung Sim Byun ) 대구사학회 2015 대구사학 Vol.118 No.-

        살라미스 해전의 영웅, 테미스토클레스는 반역자로 낙인 찍혀 망명지 페르시아의 마그네시아에서 기원전 459년 삶을 마감하였다. 그가 죽은 후 마그네시아의 아고라에 무덤이 있었고 조상(彫像), 묘비 등이 세워졌다. 이곳에 유골의 매장 여부를 확인할 수는 없다. 그가 사망한 후 유골은 아티카 지방으로 옮겨와서 비밀리에 묻었다는 소문이 퍼져나갔다. 기원전 450년대 아들들이 아테네로 귀국하면서 부친의 유골을 가져왔을 수 있다. 혹은 기원전 430년대 펠로폰네소스 전쟁 초 전염병으로 고통을 받던 아테네인들이 델포이 신탁에 따라서 유골을 옮겨왔을 수도 있다. 기원전 5세기 후반 피레우스에 테미스토클레스의 곶이 나타나고 무덤과 결부되었다. 기원전 390년대 초 아테네는 국력을 회복하고 해군력의 부활을 열망하며 피레우스 성벽과 장성을 재건하기 시작하였다. 기원전 395년 유골은 자손들 의해 옮겨져 있었는데 민회의 결정에 따라 피레우스의 대항구 근처 알키모스 곶에 무덤이 건설되었다. 이는 해군력 강화 정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기원전 394년 코논이 크니도스 해전에서 승리하는데 상징적 역할을 하였다. 테미스토클레스 무덤은 살라미스 해협과 프시탈리아 섬에서의 승리를 기억하기 좋은 위치에 자리하고 있다. 기원전 4세기 초 아테네는 제해권회복을 열망하였다. 해군의 창설과 더불어 항구를 요새화하여 해상제국의 토대를 마련한 테미스토클레스의 위업이 대중의 기억 속에서 되살아났다. 이는 유골을 찾아내고 확인하여 무덤의 건설을 통해 해상제국을 부흥시키고 국가정체성을 강화하는 기념비로 삼고자 하였다. 무덤과 유골 귀환 전승은 해상권의 부흥을 추구하던 아테네인들에 의해서 재구성된 집단 기억이라 할 수 있다. Byun, Jung-Sim[Abstract]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truth of Themistocles`` tomb and his bones`` return. There were two main arguments about where Themistocles was buried: Magnesia or somewhere in Attica. After he died in Magnesia, the memorial was built in the agora of Magnesia, and later it was ornamented by a statue and a tombstone. However, Thucydides stated that the bones of Themistocles had been brought out of Magnesia and secretly reburied somewhere in Attica. He never mentioned the place and its form. The great statesman’s bones, however, were reported to be buried in Piraeus. In the decade after the Peloponnesian War, Athenian restored national strength and planned to reconstruct the rampart and Long Walls of Piraeus. The tomb of Themistocles was built for the purpose of intensifying its national identity as a symbol of Konon``s Victory. It is located at the entrance of Grand Harbour to the Piraeus on the south. The site is regarded as the nearest spot to Psyttaleia and Salamis, and the best place to bury the remains of Themistocles, the hero of the Battle of Salamis. Athenians built his tomb to intensify the navy policy for the command of the sea, fortify the port of Piraeus, and remind the achievements of the hero of the Persian W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