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기관 채용 필기전형 도구의 타당성 분석: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양재은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0 경영컨설팅연구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validity of the Basic Occupation Ability Test and the Job Performance Competency Test, which are representative selection tools for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based recruitment, to suggest effective selection systems for public institu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rst hiring in 2020 by th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two test scores and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candidate's perception of validity was conducted.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two test scores of 588 test takers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two tools was 0.11.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two test scores of 89 students who passed the test was 0.23.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validity of the Basic Occupation Ability Test and the Job Performance Competency Test. Second, the perception of the validity of the two tools was investigated with 84 interviewees. 44 participants (53%) responded positively to the validity of the Basic Occupation Ability Test. 60 participants (71%) responded positively to the validity of the Job Performance Competency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validity of The job Performance Competency Test was higher then the Basic Occupation Ability Tes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lternative plan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based recruitment was suggested. 본 연구는 NCS 기반 채용의 대표적 필기전형 도구인 NCS직업기초능력평가와 NCS직무수행능력평가의 타당도를 비교하여 공공기관의 효과적인 채용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2020년 제1차 채용 결과를 바탕으로 두 시험점수 간 상관분석과 응시자의 타당도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첫째, 필기전형 응시자 588명의 두 시험점수 간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두 도구 간 상관계수는 0.11로 나타났다. 필기전형 합격자 89명의 두 시험 점수 간 상관계수는 0.23로 나타났다. 따라서 NCS직업기초능력평가와 NCS직무수행능력평가의 타당도에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면접전형 대상자 84명을 대상으로 두 가지 도구의 타당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NCS직업기초능력평가의 타당도에 대하여 44명(53%)이 긍정적으로 답변한 반면, NCS직무수행능력평가의 타당도에 대해서는 60명(71%)이 긍정적으로 답변해 응시자들은 NCS직무수행능력평가의 타당도가 더 높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NCS 기반 채용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