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돌궐 빌개 카간(Bilgä Qaγan) 비문 속의 한국고대사 관련기록 검토 : 특히 발해의 登州, 都山 전투를 중심으로

        박원길 한국몽골학회 2019 몽골학 Vol.0 No.56

        Bilge Khagan is the second Khagan of the Turk second empire. Bilge Khagan Inscription was built on September 20, 1935. As a research results of this inscription, records of Korean ancient history appeared in five places. First, Bükli[iLqub], which was inscribed on the inscription [E5], proved to be Goguryeo, and Čöl(lü)gil[LGLuc] was a result of hyperbole. These are the funeral delegations sent by the Pyeongwon king of the Goguryeo and Jinhung King of Silla dynasty during the funeral of the 3rd Mukhan Khagan who died in 572. Second, Bükli Khagan which appears in the inscription [E8], is the Turkic troop mobilized by Tang during the war for the attack of Koguryeo. The period is from 631 to 681. These Turkic cavalry are likely to be cavalry units of Ašïnas Še'er(?) who was mobilized during the Taichung's Ryudong attack in 645. Third, the inscription [E18] [E20] was proved to be related to the Goguryeo people's group led by Gomungwan(高文簡) and Gohongui(高拱毅) who traveled to Tang in August 715. Fourth, Tongker mountain(都山) recorded in the inscription [S7] [S8] appeared as a ferocious battlefield of the Allied Turks, Kitans, and Bohai troops between the Tang army in the leap March of 733. 빌개 카간은 돌궐 제2제국의 2대 카간이며, 그의 비문은 A.D.735년 9월 20일에 세워졌다. 이 비문의 연구결과 다섯 군데에서 한국고대사 관계기록이 나타났다. 첫째, 비문 [E5]에 새겨진 Bükli[iLqub]는 고구려이고 Čöl(lü)gil[LGLuc]은 고증결과 신라로 판명되었다. 이들은 A.D.572년에 죽은 제3대 무칸 카간(Muqan Qaγan, 木汗可汗)의 장례식 때 고구려 平原王 및 신라 진흥왕이 보낸 조문사절단이다. 둘째, 비문 [E8]에 등장하는 뷔클리 카간(Bükli Qaγan) 부분은 보장왕 때 당나라가 고구려 정벌을 위해 동원한 돌궐기병들로서 그 시기는 A.D.631년부터 A.D.681사이로 나타난다. 이 돌궐 기병들은 A.D.645년 唐太宗의 요동공격 때 동원된 阿史那社尒(Ašïnas Še'er?)의 기병부대일 가능성이 크다. 셋째, 비문 [E18][E20] 부분은 A.D.715년 8월에 당나라로 투항한 高文簡ㆍ高拱毅 등이 이끄는 고구려 유민집단과 관계된 내용으로 판명되었다, 넷째, 비문 [S7][S8]에 기록된 툉캐르山(töŋk(ä)r t(a)γ)은 733년 閏3월 突厥ㆍ契丹ㆍ渤海 연합군과 唐軍이 격전을 벌인 都山(馬都山)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