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헤테로토피아, 제3의 눈으로 읽는 만주 - 현경준의 「유맹」을 중심으로 -

        노상래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人文硏究 Vol.- No.70

        The main narrative of Hyun Kyungjun's Yumaeung sheds light on the criminal modification project which was implemented by Manchukuo. The novel narrates the project based on Bodoso(a guidance institute), a collective village in Manchuria. The criticism of the novel used to keep the perspectives of resistance and cooperation. This study, however, considers Bodos as heterotopia where the stories of Myungwoo and Kyusun are developed, and analyzes the spatial directionality. When viewed from the standpoint of Myungwoo, the project looks successful. There is a symbol code by which to view the standpoint of Myungwoo. This is confirmed by those who are similar to Kyusun. The spatial assessment of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Bodoso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residental space. While those living outside of Bodoso reproach the individuals living the inside for committing crimes, the insiders consider the others as the same criminals just like themselves. In contrast, there aren't any differences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to the persons like Kyusun. This is indeed smooth space. That'why those living inside couldn't escape to the outside for complacency. They dreams of the third space which is neither the inside nor the outside. Accordingly, they wouldn't give up their own old dreams. Regulation and restrictions in this novel are too much to control the stragglers. Although they are overseen by the collective village and controlled by regulations, they put themselves beyond their control. While the regulations are equipped to suppress the persons, they open slip down. Royal road and paradise in the novel is a dream of unrealizable fantasy and a broken mirror which reflects shapes distortively. What the novelist discloses is the slip which is veiled by the eyes of a regenerator, Myungwoo. 현경준의 「유맹」은 집단부락인 보도소를 중심으로 만주국이 시 행한 범죄인 개조프로젝트를 서사로 다루고 있는 소설이다. 이 소설에 대한 기존의 평가는 저항과 협력이라는 시선으로 자주 다루어지곤 했다. 그러나 이 논문은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인 보도소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명우와 규선의 서사를 중심으로 제3지대의 공간 지향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소설은 명우를 중심으로 한 개조프로젝트가 일정 부분 성공한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명우의 초점 속에 드리워진 상징코드가 있는데, 그것은 ‘규선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보도소 <안>과 <밖>으로 나누어진 공간에 대한 평가는 거주 공간의 차이에 따라 평가는 갈린다. <밖>의 사람들은 <안>의 사람들이 저지르는 범죄 행위를 질타하지만 <안>의 사람들에게는 <밖>의 사람들도 <안>의 사람과 별반 다를 것 없는 범죄인으로 규정된다. ‘규선류’들에게 <안>과 <밖>은 구분되지 않는다. 등질의 공간인 것이다. 그래서 <안>의 사람들은 안주를 위해 <밖>으로 탈주하려 하지 않는다. <안>과 <밖>의 공간이 아닌 제3지대를 꿈꾼다. 그런 이유로 그들은 ‘옛꿈’을 포기하지 못한다. 이 소설에서 규정이나 규율은 ‘낙오된 폐인’을 통제하기에 버겁 다. 그들은 집단부락의 감시와 규율에 의해 통제받지만, 스스로 그 통제 바깥에 놓여 있다. 규율은 그들을 강제하기 위해 마련되었지만, 규율은 자주 미끄러진다. 왕도낙토는 실현될 수 없는 환상이었고, 형체가 일그러져 보이는 깨진 거울이었다. 현경준이 고발하려는 것은 개심자 ‘명우’의 시선에 가려진 바로 이 미끄러짐에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