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ottom-up Peacebuilding: Role of Grassroots and Local Actors in the Mindanao Peace Process

        Julius Cesar I. Trajano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0 Asian Journal of Peacebuilding Vol.8 No.2

        The people of Muslim Mindanao in the southern Philippines overwhelmingly approved, in a plebiscite in 2019, the creation of a new and more autonomous region, raising hopes that the decades-long conflict in Mindanao would soon end. This article asserts that the Mindanao peace process is not just about peace talks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Moro Islamic Liberation Front, but it should also include the effective participation of grassroots organizations and community-based peace advocates in resolving local conflicts. It evaluates four significant contributions of grassroots-level, local organizations and NGOs to the peace process: (1) combating violent extremism, (2) broadening peacebuilding by local women’s organizations, (3) solving local conflicts and rido (clan wars), and (4) ceasefire monitoring and civilian protection.

      • KCI등재

        일상적 평화 : 미시적 평화담론의 한반도 적용과 의의

        허지영 ( Heo¸ Ji Young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1 통일과 평화 Vol.13 No.2

        한반도의 평화논의는 남북한의 정치적인 통합에 치중하며 평화의 다양한 개념과 형태를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통일중심 평화논의를 확장하고자 갈등사회를 살아가는 평범한 개인들이 일상에서 주체적으로 만들어가는 미시적 차원의 평화적인 행동양식과 사고방식에 주목하는 일상적 평화이론을 고찰한다. 국제기구나 서구국가가 중심이 되어 자유주의 체제를 분쟁지역에 일률적으로 이식하는 방식의 자유주의 평화구축에 대한 비평적 성찰을 바탕으로 등장한 개념이 포스트자유주의 평화 담론이다. 평화구축 과정에서 갈등지역의 고유한 역사, 정치, 사회적 맥락의 중요성과 주체적인 행위자로서 지역주민의 참여를 강조한다. 일상적 평화는 포스트자유주의 담론 중에서도 갈등사회의 가장 미시적인 차원에서 일상을 살아가는 개인들의 평화적인 행동과 사고방식, 그리고 미시적 차원의 평화활동이 거시적인 사회체제나 구조와 영향을 주고받는 평화의 구성성에 주목하는 개념이다. 본 연구는 일상적 평화의 정의와 특징을 맥긴티의 이론을 중심으로 소개하고 정치적이고 구조적인 차원에 치중하는 평화이론들과 차별화되는 일상적 평화의 의의와 한계 그리고 확장성에 대해 고찰한다. 일상적 평화이론은 통일이라는 거대 담론을 넘어 한반도의 평화논의를 다양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everyday peace, based on the critical perspective that varieties of peace have not been considered in the dominant unification discourse in South Korean society, which focuses on the political integration of the two Koreas. Everyday peace refers to the routinized pro-peace and pro-social practices by individuals and collectives living in deeply divided post-conflict societies. Everyday peace, one of post-liberal peace discourses which emerged as a critique of liberal peace, a dominant form of peace-support intervention, occurs in spaces or localities over which individuals and communities exercise limited control. Everyday peace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attempts to go beyond the dichotomies in peace and conflict studies of local vs. global or agent vs. structure. This article closely studies the theory of everyday peace focusing on Mac Ginty’s research, discussing its scalability as well as its limits. As a liberal-local hybrid form of peace, everyday peace can contribute to diversifying the peace and unification discourses in South Korea, in which peace is often regarded as political processes for unification.

      • KCI등재

        한반도 평화를 위한 평화구축과 ‘평화·통일 사회적 대화’의 유효성

        정주진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2 통일과 평화 Vol.14 No.2

        평화구축(peacebuidling)은 적극적 평화의 실현을 위해 사회와 공동체 차원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접근과 노력을 통칭한다. 평화구축은 무력 갈등을 겪었거나 무력 갈등에 취약한 사회뿐만 아니라 민주주의가 정착한 사회에도 적용된다. 그 당위성은 민주주의 사회에도 다양한 폭력이 존재하고 적극적 평화의 실현이 필요한 데서 기인한다. 남북한 대결의 종식과 한반도 평화의 실현이 필요한 한국 사회에도 평화구축은 적용될 수 있다. 평화구축은 사회 구성원들의 참여와 역량 형성, 그를 위한 상향식 접근을 필요로 한다. 평화 실현을 위한 사회와 공동체의 변화는 구성원들의 필요에 기반해야 하고 구성원들스스로 그 필요를 확인하고 원하는 변화를 제안 및 합의할 수 있어야 한다. 한반도 평화를 위한 평화구축 또한 참여, 역량 형성, 상향식 접근 등을 필요로 한다. 일반 국민의 참여, 논의, 합의를 통한 통일국민협약 도출을 위해 실행된 평화·통일 사회적 대화는 국민의견 수렴과 합의를 위한 사회적 기제이자 방식으로서의 정당성과 유효성, 그리고 평화구축 접근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