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을교육공동체 참여학교에 근무하는 교사의 분산적 리더십이 자원연계활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경험과 지역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배현순,이희수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effect of the distributed leadership, perceived by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orking at education project participation schools that link Maeul educational community by mediating affection experience, and sense of community, upon resource-linking activity. The subjects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are 1,031 teachers working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carrying out an education project in which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must be closely linked, such as the Maeul educational community and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and AMOS 24.0 statistical programs.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ing tools, the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research variables. In addition, the mediation effect was reaffirmed through bootstrapping of direct effect and indirect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confirmed that the distributed 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affection experience, sense of community, and resource-linking activity, and that affection experience h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nse of community and resource-linking activity, while sense of community has a positive effect on resource-linking activity. Second, it is found that affection experience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ed leadership and resource-linking activity. Third, it is confirmed that sense of community has th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ed leadership and resource-linking activity. Fourth, it is revealed that affection experience and sense of community have the effectiveness of dual-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ed leadership and resource-linking activ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and conclusions of the follow-up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irical research variables by quantitative approach to the study of Maeul educational community which weighed on the qualitative aspect. Second, this study examined distributed leadership, affection experience, sense of community, and resource-linking activity recognized by teachers as important factors for activation of Maeul educational community. However,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factors driving the Maeul educational community based on more diverse research methods. Third, in order to enhance the participation of education projects that teachers need to be closely linked with the school-community as in the Maeul educational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raise awareness of teachers, to explore the role of changing teachers, and necessary to expand academic and practical research for the integr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마을교육공동체 참여학교에 근무하는 초·중등교사가 인식하는 분산적 리더십이 정서경험과지역공동체 의식을 매개로 자원연계활동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유효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최종 분석에 포함된연구대상은 마을교육공동체에 참여하는 초·중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1,031명이다. 모든 자료 분석은 SPSS 24.0과AMO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수행하였고, 연구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직접효과·간접효과의 부트스트래핑을 통해 매개효과를 재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분산적 리더십은 정서경험, 지역공동체의식과 자원연계활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정서경험은 지역공동체 의식과 자원연계활동에 정적 상관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지역공동체 의식은 자원연계활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정서경험은 분산적 리더십과 자원연계활동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지역공동체 의식은 분산적 리더십과 자원연계활동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확인하였다. 넷째, 정서경험과 지역공동체 의식은 분산적 리더십과 자원연계활동 관계에서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성적 측면에 무게를 두었던 마을교육공동체연구를 정량적으로 접근하여 실증적인 연구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구명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이 연구에서는 교사가인식하는 분산적 리더십, 정서경험, 지역공동체 의식과 자원연계활동을 마을교육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요인으로살펴보았으나, 좀 더 다양한 연구방법을 기반으로 마을교육공동체 추진요인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셋째, 마을교육공동체와 같이 교사가 학교-지역사회와의 긴밀한 연계성이 필요한 교육사업의 참여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인식제고, 변화하는 교사의 역할 탐색, 그리고 학교현장의 평생학습과 마을교육공동체 접목을 위한 학문적·실천적 연구 확장이요구된다.

      • KCI등재

        소규모 초등학교 교사의 분산적 리더십, 잡 크래프팅, 지역공동체 의식과 자원연계활동의 구조적 관계

        배현순 ( Bae Hyunsoon ),이희수 ( Lee Heesu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마을교육공동체에 참여하는 소규모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가 인식하는 분산적 리더십, 잡 크래프팅, 지역공동체 의식과 자원연계활동 간의 상관관계와 분산적 리더십과 자원연계활동 간의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과 지역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 유효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전국단위 소규모 초등학교(11학급 이하)에 근무하는 교사 212명이고, SPSS 26.0과 AMO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고, 연구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을 통해 매개효과를 재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분산적 리더십은 잡 크래프팅과 자원연계활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지역공동체 의식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잡 크래프팅과 지역공동체 의식 간의 관계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확인하였으나, 자원연계활동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지역공동체 의식과 자원연계 활동 간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분산적 리더십과 자원연계활동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과 지역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 검증결과 분산적 리더십은 잡 크래프팅과 지역공동체 의식의 매개를 통해 자원연계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규모 초등학교 교사와 연계한 마을교육공동체 활성화 선행요인에 관한 다양한 연구방법이 필요하다. 둘째, 교사측면의 잡 크래프팅 연구의 활성화가 요구된다. 셋째, 소규모 학교와 마을교육공동체가 연동되는 학문적·실천적 연구의 확산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distributed leadership, job crafting, sense of community, and resource-linking activity perceived by school teachers working in small-scale elementary schools participating in Maeul educational community, and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mediating effects of job crafting and sense of commun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ed leadership and resource linking activity. The study subjects were 212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at small-scale schools(11 classes or less) nationwide,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AMOS 26.0 statistical programs.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udy variables,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reconfirmed through bootstrapp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distributed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crafting and resource-linking activity, but not on sense of community.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and sense of community was confirmed to have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ut job crafting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resource-linking activit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nse of community and resource-linking activity. Second, in the results of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and sense of commun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ed leadership and resource-linking activity, it was found that distributed leadership affects resource-linking activity through mediating job crafting and sense of commun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the follow-up studie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a variety of research methodologies are needed to revitalize Maeul educational communities in connection with small-scale schools. Second, activation of job crafting research on the teacher side is required. Third, it is necessary to spread academic and practical research that connects small-scale schools and Maeul educational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