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출신 고학력의 두 어머니가 자녀양육 과정에서 구성하는 ‘다문화’의 의미

        이상미 ( Lee Sangmi ),이유미 ( Lee Youme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0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출신 고학력의 어머니가 자녀양육과정에서 구성하는 ‘다문화’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중국 한족과 조선족 출신 석사학위 이상의 고학력 어머니 2인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심층면담을 진행하고 수집된 자료는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국 출신 고학력의 두 어머니가 자녀양육과정에서 구성한 ‘다문화’의 의미는 첫째, ‘인정할 수 밖에 없는 팩트’, 둘째, ‘활용하기 나름의 자원’, 셋째, ‘스스로 선택한 거리’로 나타났다. 즉, 연구 참여 어머니들은 한국사회 다문화가정의 범주에 매몰되지 않고 학력이 주는 문화적 자본을 토대로 자신의 상황을 유연하게 수용하며 ‘다문화’의 의미를 주체적으로 재구성해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우리사회에 여전히 존재하는 다문화가정에 대한 정형화된 이미지 재고와 글로벌 시대에 부응하는 다문화가정 지원 정책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meaning of ‘multiculture’ that highly-educated mother from China constitutes in the course of child rearing. For the foregoing, this study selected two highly-educated Chinese mothers (1 Han Chinese, 1 Korean-Chinese respectively) with master’s degree or above who reside in the metropolitan area as study participants. For the data collected after having an in-depth interview,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analysis. Study results show that the meaning of ‘multiculture’ that two highly-educated mothers from China constituted in the course of child rearing was First, the fact they cannot but accepting, Second, resource that they can take advantage of and Third, voluntarily distantiating. In other words,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as reconstituting the meaning of ‘multiculture’ autonomously accepting one’s own situation flexibly based on the cultural capital coming from their academic ability without being buried in the category of multicultural family in Korean society. This study is expected to become base data for improving standardized image of multicultural family that still exists in our society and preparing a policy for supporting multicultural families that comes up to the global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