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문화예술 포스터의 한글 레터링 시각적 특징 분석 - 서울 소재의 박물관, 미술관, 문예회관의 2010년~2015년 포스터를 중심으로-

        이슬예리 ( Lee Sl Ye Ri ),박수진 ( Park Soo Ji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2

        1980년대 컴퓨터의 대중화와 디지털 폰트의 개발로 한글 레터링에 대한 관심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2000년대부터 캘리그라피와 한글 레터링에 대한 대중적인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매체에 다시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본고는 문화예술 포스터의 타이틀의 경우 한글 레터링을 빈번히 사용하고 있으며, 시대성을 빠르게 반영하는 매체의 성격상 레터링 표현 역시 다양하게 시도되는 점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글 레터링의 개념과 시대적 흐름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국내 문화예술 포스터에 나타난 한글 레터링의 조형적 분석을 통해 시각적 특징을 밝히고자 한다. 연구 대상인 국내 문화예술 포스터는 서울 소재의 연 관람인원 100,000명 이상인 박물관, 미술관, 문예회관으로 한정하였으며, 2010년부터 2015년까지 5년 동안 열린 공연, 전시 포스터의 한글 레터링을 분석하였다. 한글 레터링 분석을 위해 글자 표현 유형을 부리형, 민부리형, 구상적 장식형, 비구상적 장식형, 복합 유형으로 분류하여 한글 레터링 사용 면적 비율, 포스터에 사용된 이미지를 분석하고, SD조사연구방법을 활용한 설문조사를 통해 시각적 특징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2011년을 제외한 2010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 문화예술 포스터의 한글 레터링의 활용이 꾸준히 증가하며, 구상적·비구상적 장식형의 증가와 복합 유형이 새롭게 등장한 것을 알수 있었다. 또한, 구상적·비구상적 장식형, 복합 유형은 사진, 일러스트레이션, 전시 이미지 보다 문자를 주된 시각 요소로 적극 활용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한글 레터링이 타이틀로서의 정보 전달 기능뿐 아니라, 포스터의 주요 시각 요소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복합 유형은 2011년 이후 사용이 빈번해졌으며, 한글 레터링을 전면적으로 활용하는 특징이 두드러졌다. 이는 최근 국내 문화예술 포스터에 나타난 한글 레터링 활용의 큰 변화로 볼 수 있다. 연구 주제인 한글 레터링의 조형적 분석은 다양하고 복합적인 표현 방법이 어우러진 특징으로 인해 세분화된 분류와 분석의 한계점이 다소 있었다. 하지만, 한글 레터링이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해당 활용 분야와 흐름을 살펴보는데 의미가 있으며, 향후 조형적 측면의 한글 레터링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지길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As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font and the popularization of the computer in 1980s, the concern for the Hangeul lettering declined. However, as the public concern for the calligraphy and Hangeul lettering heightened in 2000s, it began coming on the scene again through various medi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concept and the time flow of the Hangeul lettering theoretically and determine visual feature through the formative analysis of the Koran lettering appearing in the domestic culture art posters. The letter expression type was classified into the serif type, sans serif type, objective decoration type, non-objective decoration type, and complex type for the Hangeul lettering analysis. As a result of study, it was confirmed the use of the Hangeul lettering of the domestic culture art poster increased steadily from 2010 to 2015 except for 2011, and the objective/non-objective decoration types increased and the complex type appeared newly. Also, these types displayed a tendency of using the letter actively as the main visual element, from which it was confirmed the Hangeul lettering was being used as the main visual elements of the poster. In the formative analysis of the Hangeul lettering, a study theme, there was a limit of the subdivided classification and analysis due to the feature that various and complex expression ways were in harmony. Howev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xamining the use field and flow of the Hangeul lettering at this point in time that the Hangeul lettering is increasing, and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the basic data of the Hangeul lettering research of the formative aspect in the future.

      • KCI등재

        아동용 과자제품의 한글브랜드디자인(레터링) 이미지에 대한 연구

        김명혜,한창호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1

        While domestic confectionery brand names frequently seen in daily life are mostly composed of combination of foreign and Korean words, the brand letters are mostly written in Korean. Korean alphabet lettering of confectionery brands has many unstandardized and random expressions, providing a familiar image to consu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what sensitivity children see from confectionery brands' Korean alphabet lettering by directly collecting and classifying sensitivity words. To accomplish the objects of this study, we selected 70 products among those that were importantly introduced in the websites of 5 biggest domestic confectionary companies. Total 72 children from various age groups of 1st graders, 3rd graders and 6th graders, who are main targets of confectionery products, were asked to see confectionary brand Korean alphabet lettering, and 94 words that the children reacted with were classified into 5 groups of similar characteristics. Group 1 was figure associating reaction, Group 2 was design associating reaction, Group 3 was abstract associating reaction, Group 4 was empathy reaction, and Group 5 was involved with sense reaction. In addition, the types of confectionery brand Korean alphabet lettering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first category was graphic free-hand lettering, which was a very free and bold lettering type and had the biggest portion in the whole objects. The second category was a caligraphy type, which was the lettering that had strong traditional feeling with the use of power of brush strokes. The third category was a typeface type lettering that hardly had changes based on the existing fonts. The children created sensitivity words through active associative reactions rather than viewing Korean alphabet lettering as simple letters. If the characteristics implicit in children's sensitivity are observed meticulously and minutely with reference to the sensitivity words collected from the confectionery brand lettering, the result of the observation can be properly used for development of designs for children. 생활 속에서 자주 접하는 국내 과자브랜드명은 외래어와 혼합어로 이루어진 이름의 비중이 큰 반면에 한글로 표기된 브랜드레터링이 주를 이룬다. 과자브랜드 한글레터링은 주로 정형화되지 않은 자유분방한 표현이 많아 소비자에게는 친근한 이미지로 각인된다. 본 연구는 과자브랜드 한글레터링이 아동에게 어떤 감성으로 보여 지는 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감성언어를 직접 채집하여 분류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국내 5대 제과회사의 홈페이지에 중요하게 소개된 제품들 위주로 70개 제품을 선정하였다. 과자의 주 소비층인 초등학생 1, 3, 6학년 다양한 연령의 아동 72명이 과자브랜드 한글레터링을 본 후에 반응한 94개 단어를 비슷한 특성끼리 모아 5개 그룹으로 나누었다. <1그룹>은 형상연상형 감성 반응, <2그룹>은 구상연상형 감성 반응, <3그룹>은 추상연상형 감성 반응, <4그룹>은 감정이입형 감성 반응, <5그룹>은 수반감각형 감성 반응 그룹이다. 또한, 과자브랜드 한글레터링 형태를 세 가지로 분류 하였다. 첫째, 그래픽 프리핸드 레터링으로 매우 자유롭고 과감한 레터링 형태이며 대상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제일 많았다. 둘째, 캘리그래피형으로서 붓의 필력을 사용해 전통적 느낌이 강한 레터링이다. 셋째, 기존 개발 폰트를 기본으로 변화가 크지 않은 타입페이스형 레터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아동은 과자브랜드 한글레터링을 단순한 문자로만 보지 않고 활발한 연상반응을 통해 감성언어를 생성했는데 그 중 추상연상형 감성 반응이 가장 많았다. 과자브랜드 레터링에서 채집된 감성언어를 참고로 아동의 감성에 내포되어 있는 특성을 면밀하고 섬세하게 관찰한다면 그 결과로 아동을 위한 디자인 개발에 적절히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최소 형태를 활용한 한글 레터링 체계 연구

        정재완 ( Jae Wan Je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1

        본 작품 연구는 개인전 <글자풍경>과 수차례 단체전에서 선보인 연구자의 한글 레터링 디자인 작업에 대한 기록이다. 기록과 의사소통이라는 일차적 기능을 넘어서 글자를 사유하는 동안 연구자는 글자의 의미와 형태를 보다 확장할 수 있었고, 이 과정에서 한글의 다양한 실험적 접근이 이루어졌다. 최근 국내외에서 한글을 주제로 한 디자인 작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작품 연구를 통해 한글에 대한 디자이너의 입체적인 시선을 선보이고, 그것을 기록함으로써 유의미한 학문적 의미를 부여받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자의 한글 레터링 디자인 작업의 조형적 접근 방식은 『훈민정음해례본』에 나타난 초기의 글자와 닮았다. 『훈민정음해례본』에 나타난 초기 한글 자모 형태와 연구자가 최소 형태를 활용해 글자를 그려가는 것을 비교하는 과정에서 몇 가지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① 한글 자모 형태의 최소화 ② 둥근 점(·)의 복원 ③ 시옷 자의 세로줄기 강조 ④ 탈 네모, 글자 이어쓰기 ⑤ 글자 크기와 획 길이의 가변성 ⑥ 한글의 이미지성 모색 등 한글 레터링 체계를 설명하고 있다. This study documents a series of my Hangeul lettering works that were presented in my solo exhibition "Letterscape" and a number of group exhibitions. My Hangeul letterings draw on the original Hangeul forms as shown in <Hun-min-jeonge-um>. <Hun-min-jeonge-um>, originally published in 1446, is a book that explains about Hangeul principles and its use. It`s in fact the first logical document on Hangeul design.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Hangeul-based works in and outside of Korea recently.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theoretical and academic approaches concerning Hangeul works and their principles. I feel the need for a more diverse study on Hangeul, so that Hangeul-related exhibitions do not end up in one-shot events; rather, those events should become some meaningful exhibitions that foster academic discussions and findings around Hangeul-based works. Based on <Hun-min-jeonge-um>, I could infer that my Hangeul letterings share several structural similarities with original Hangeul forms. The five structural similarities that I have found out are as following: ① The minimal use of Hangeul morphemes ② The reuse of point (·) ③ The emphasis of vertical line of ``si-ot`` ④ The continuous use of Hangeul morphemes ⑤ The variability of the size of the letter and the length of the stroke.

      • KCI등재

        1970~80년대 아파트 이름과 아파트 외벽 글자 레터링의 조형적 특징

        정재완 ( Jeong Jae Wa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2

        아파트 외벽 글자는 거리 글자의 한 부분이다. 거리 글자 연구는 도시―인간―문자가 공존하는 타이포그래피의 생태계를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파트 글자 레터링의 조형적 특징을 살펴보고 타이포그래피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거리 글자 연구의 학술적 가능성을 제안하고 타이포그래피 연구의 외연을 확장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1970-80년대에 지어진 아파트의 외벽 글자 레터링이다. 3장에서는 아파트 이름의 사회적 함의를 살펴봤으며, 4장에서는 이것을 시각화한 아파트 외벽 글자 레터링의 조형적 특징을 분석했다. 연구자는 아파트 이름이 담고 있는 사회적 함의를 ① 욕망의 기호, ② 위치 좌표, ③ 교환 가치, ④ 자연 친화, ⑤ 스펙터클의 구호 등으로 분류했다. 1970-80년대 아파트 이름을 통해 도시화, 서구화를 달성한 경제 부흥과 도시민의 긍정적 희망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시골과 도시를 이분법으로 구분했던 당시 정부의 성장 위주 부동산 정책과 맞물려 있으며, 한국의 아파트가 개인에게는 신분 상승과 환금의 실물이었음을 보여준다. 아파트 이름은 이러한 당시의 사회적 함의를 함축하고 있었다. 아파트 글자 레터링의 조형적 특징을 ① 부리, ② 둥근 민부리, ③ 각진 민부리, ④ 테두리, ⑤ 입체, ⑥ 그림, ⑦ 장식으로 분류했다. 아파트 외벽 글자 레터링은 1950~60년대 거리 간판에서 흔히 보이는 굵은 붓글씨들과 비슷하게 `써진` 글자도 있고, 납작한 페인트 붓으로 `그려진` 글자들도 있다. 글자의 형태는 제작의 용이성과 함께 재료와 제작 환경에 영향을 받은 것이다. 또 1970년대부터 레터링 전문가가 활약하여 표현 의도를 담아낸 계획적인 글자 레터링도 등장한다. 아파트의 시각적 정체성을 뚜렷하게 만들어가고자 하는 디자인도 보인다. 이러한 과정에서 글자들은 정방형을 벗어난 탈네모의 형태도 보인다. 특히 그림 글자와 장식 글자에서는 이름의 느낌이 글자 형태에서 시각화되어 나타난다. 의미와 형태의 관계가 직접적으로 드러난 것이 특징이다. 이는 당시 표준화된 활자의 제약을 벗어나 추상적/구상적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개성이 담긴 한글의 형태를 실험한 것들이다. 이것은 한글의 이미지성을 관찰할 수 있는 사례이다. 이에 연구자는 1970-80년대 아파트 외벽 글자 레터링의 타이포그래피 의미가 `언어 담론`의 한글에서 `시각 담론`의 한글로 확장된 것이라고 보았다. Apartment letters are a part of street letters. Street letter studies focus on the coexistene of city, human beings and letters in terms of typographic environment. By examining the typographic meaning of apartment letters, this paper aims at proposing academic values of streetletter studies and broading the spectrum of typography studies. In addition, the paper raises the necessity of interdisciplinary approach in typography studies. In this study, apartment letters of the apartment buildings constructed in the 1970s and 80s were examined. In chapter three, the social implications of apartment names were examined, followed by chapter four, in which the letterforms of the apartment letters were investigated. The social implications of the apartment letters were classified into signs of desire, location coordinates, exchange values, nature friendly concept and finally, slogans of spectacle. The names of apartment buildings of 1970s and 80s were the positive spirit of economic growth of urbanization and westernization. Besides, the letterforms were categorised into paint brush, round gothic, square gothic, outlined, three-dimensional, illustrative and ornamental ones. There were various kinds of letters written with calligraphic characteristics or painted with paint brushes. Letters painted with wide bruch strokes seemed to the be result of easy application, availability of material and production environment. A number of letterings could be observed due to the rise of letterers in the 1970s. There were also a group of illustrative and ornamental letterings to make the identity of the aparment buildings clear. Meanwhile, out-of-square letters also appeared. As observed, apartment letters themselves were a platform of unique expressive Hanguel letterings, breaking the boundaries of standardized typeface design. In conclusion, the paper views apartment letters written and painted on apartment blocks built in Korea in the 1970s and 80s in terms of visual design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