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로노이 다이아그램을 이용한 일상 모자 개발 연구 - 3D 프린팅 활용을 중심으로 -

        김혜은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6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6 No.1

        3D 프린팅은 제3의 산업혁명을 예고하며, 제조업의 혁명을 가져올 것이라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패션에서는 프린터 크기, 속도, 소재의 문제로 패션 소품 개발이 주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3D 프린팅의 가능성 확대와 상품화를 위해 3D 프린팅을 활용하여 일상생활에 착용 가능한 모자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디자인의 요소로는 조형미와 더불어 프린팅 시간 절약과 견고성을 지녀 3D 프린팅 영역에서 활용도가 높은 보로노이 다이아그램(Voronoi Diagram)을 이용하였다. 3D 프린팅으로 제작된 모자, 보로노이 디자인 제품을 분석하여, 보로노이 패턴의 조형성, 실용성, 조화, 공극의 활용, 입체 구현, 맞춤화의 특성을 디자인에 이용하였다. 대중적인 프린터 방식인 FDM 프린터를 사용하여 모자의 부분 또는 장식을 프린트 해, 니트 비니 1점, 스냅백 1점, 페도라 1점의 총 3점을 제작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형태적으로 모자의 곡선과 보로노이 패턴의 곡선은 자연스럽게 연결 될 수 있었다. 둘째, 패턴의 공극은 다른 소재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였다. 셋째, 출력물의 가벼운 중량과 견고함은 모자의 부분 또는 장식에 모두 적합하였다. 넷째, 프린트의 단단한 소재와 일반 모자 형태와의 결합은 편안한 착용감과 동시에 모자의 입체감과 형태를 살리기에 적합하였다. 다섯째, 컴퓨터 CAD 파일의 변형만으로 디자인의 변형이 용이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의 3D 프린터 개발 상황에서 3D 프린팅 기법과 보로노이 패턴은 기존의 모자 소재와 함께 형태를 잡아주고, 또한 착용감을 높이고 제작 시간 절감함으로써, 실용화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이론 연구와 모자 제작을 통해 본 연구는 3D 프린팅 기법과 보로노이 패턴을 기존의 모자 형태에 접목하여 착용감, 시간, 형태를 보강하는 유용한 방법을 보여 줌으로써, 3D 프린팅 모자 제품의 상용화, 대중화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3D printing technology is expected to bring about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 and a revolution in manufacturing. However, due to the size and speed of printing along with current printing materials, fashion accessories are mainly developed in the fashion industry. This research proposes an innovative millinery design in order to widen the possibility of usage, popularisation and commercialisation of 3D printing. The Voronoi diagram, a geometrical pattern based on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set points, is used as design inspiration to achieve practicality, aesthetics, and balance, as well as optimise the position of holes, make a 3D model and customise it. A FDM printer is used to achieve these above. Further, 3D printed millinery products using Voronoi patterns are analysed in order to assist designing. In this way, two fedora hats, one hand-knitted beanie, three snapbacks are made, with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the curve of the hat and the Voronoi pattern are well connected; secondly, the holes in the pattern make other materials connect easily through stitching; thirdly, the lightweight but firmness of 3D printing are suitable for being used in both the body and the decoration of the hat; fourthly, the combination of hard material and wool is good for making a three-dimensional hat shape. Lastly, changes in the design are made easier by changing the CAD file instead of making a new mould. Voronoi pattern 3D printed hats are light but strong and comfortable, requiring shorter production times. They are suitable for commercialisation at the current development stage of 3D printing.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and the practice of 6 millineries,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commercialisation and popularisation of 3D printing products.

      • 학술연구 : 클라우드 컴퓨팅과 디지털 도서관 -해외 대학 도서관 사례 중심-

        임태영 ( Tae Young Lim ) 한국디지틀도서관포럼 2011 디지틀 도서관 Vol.64 No.-

        최근들어 디지털 콘텐츠들이 폭증하고, 확장성 있는 서버, 스토리지, 소프트웨어 같은 IT 자원들이 필요함에 따라, 이를 대처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도서관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의 자동화, 확장성, 사용량 기반 과금 등의 장점을 활용하려는 시도들이 발표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디지털 도서관의 데이터 보관, 처리, 서비스하기 위해서 상용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해외 대학 도서관 사례를 설명하였고, 디지털 콘텐츠 관리시스템 구축에 유용한 오픈소스 기반 솔루션들을 소개하였다. Recently as digital contents grow enormously and scalable IT resources such as server, storage, and software are needed, interest on Cloud computing to face this situation increases over the time. Also several use cases in various domains including digital library to leverage this strength of Cloud computing are prototyped and published. This articles explained foreign university library use cases implementing contents perseverance, processing, and service features by using public Cloud service, and introduced useful open source software solutions for contents management system in digital libr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