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스타그램의 연예인에 대한 팬의 애착을 부추기는 요인 탐색

        이형탁 ( Hyoung Tark Lee ),( Sanira-begim Mamatova ) 한국유통물류정책학회 2020 유통물류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SNS를 통해 연예인들이 자신들에 대한 팬들의 애착을 강화할 수 있는 전략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으로 사회적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하는 연예인들은 물론 고객과의 장기적인 관계를 발전시키고자 하는 기업들에게 함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는 인스타그램을 사용하고 특정 연예인을 추종하는 사람들을 포함한 198개의 응답의 표본이 된다. 이번 연구 결과는 연예인들의 감정적 자기 공개, 팬들의 댓글에 대한 실제 반응, 라이브 스트리밍을 통한 팬들과의 실시간 매개 상호작용이 팬들의 사회적 실제감에 대한 인식을 높여준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또한 결과는 사회적 실제감이 연예인에 대한 애착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연예인들의 기술적 자기 공개와 팬들의 댓글에 대한 상징적 반응이 사회적 실제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연예인의 실제 반응은 사회적 실제감을 키우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이어 라이브 스트리밍을 통해 팬들과 매개적인 실시간 상호작용이 뒤따른다. 이 연구의 결과는 팬들이 전통적인 언론매체보다는 소셜 미디어에서 그들이 좋아하는 연예인을 만날 기회가 있을 때 더 강한 사회적 실제감을 인식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또한 인스타그램에서 감정적 자기공개를 하고 팬들의 댓글에 답하고 라이브 스트리밍을 통해 실시간으로 팬들과 소통함으로써 연예인에 대한 팬들의 애착을 강화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strategies that enable celebrities to strengthen fans’ attachment towards them through SNS. With these strategies, the celebrities who want to augment their social influences as well as companies who want to foster long-term relationships with customers, equally enjoy benefits. To achieve the aim of the current research, a survey is conducted on university students resulting in a sample of 198 responses including only those who use Instagram and follow a particular celebrity. Findings of the study reveal that celebrities’ emotional self-disclosure, real response to fans’ comments, and mediated real time interaction with fans through live streaming, along with fans’ participation enhance fans’ feeling of social presence. Similarly, the results indicate that social presence, positively affects attachment towards celebrity. However, there is no evidence from the findings that celebrities’ descriptive self-disclosure and symbolic response to fans’ comments influence social presence. Futhermore, celebrity’s real response appear to have the greatest effect on fostering social presence, followed by mediated real time interaction with fans through live streaming. The outcomes of the study implies that fans tend to feel stronger social presence when they have the opportunity to meet their favorite celebrity on social media rather than on traditional media outlets. Additionally, through engaging in emotional self-disclosure on Instagram, replying to fans’ comments and interacting with fans at real time through live streaming, celebrities can strengthen fans’ attachment towards celebrities.

      • KCI등재

        연예인 유튜브 채널 시청자들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몰입(Flow)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주유존,룸와이지,황하성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사회과학연구 Vol.61 No.3

        One of the hottest key words that penetrate the media environment recently is YouTube. YouTube is pacifying people's daily lives, from entertainment to search to news.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on of immersion experienced by view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nnection, quasi-social interaction, and social presence and viewing satisfaction between entertainers and viewers through the Star YouTube channel.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in Seoul, Dongguk University, Hanyang University, and Chung-Ang University. A total of 205 copies of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6.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irst, that the immersion experience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nnection and viewing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immersion experience was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quasi-social interaction and viewing satisfaction.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immersion experience is complete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esence and viewing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viewer satisfaction will be provided by applying the immersion theory to the social viewing behavior of celebrity Internet broadcasting. 최근 미디어 환경을 관통하며 뜨겁게 부상하는 키워드 중 하나는 유튜브라고 할 수 있다. 유튜브는 엔터테인먼트는 물론 검색, 뉴스에 이르기까지 사람들의 일상을 평정해가고 있다. 본 연구는 연예인 유튜브 채널을 통해 연예인과 시청자들 간의 사회적 연결감, 준사회적 상호작용 그리고 사회적 현존감과 시청 만족도의 관계에서 시청자들이 경험하는 몰입의 매개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대학 중 동국대, 한양대, 중앙대 등 3곳의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05부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SPSS 25.0과 AMOS 26.0 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몰입 경험은 사회적 연결감과 시청 만족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몰입 경험은 준사회적 상호작용과 시청 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몰입 경험은 사회적 현존감과 시청만족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한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명인 인터넷 방송의 사회적 시청행위에 있어서 몰입 이론을 적용하여 시청자 만족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가수 <싸이>를 대상으로 한 트위터상에서 대학생 트위터리안의 의사사회현상에 관한 탐색적 연구

        박웅기 한국소통학회 2014 한국소통학보 Vol.24 No.-

        본 연구는 트위터 상에서 적극적 소통의 결과라고 할 수 있는 관계 맺기가 이루어지는지를의사사회 현상으로 살펴보았다. 대표적인 연예인인 ‘싸이’의 트위터를 대상으로 실험자들이메시지를 보내고 ‘싸이’의 트위터를 10일 동안 팔로우하게 했다. 실험자들을 대상으로 ‘싸이’트위터에 메시지를 보낸 집단, 단순히 팔로우만 한 집단, 그리고 아무것도 하지 않은 집단으로 나누어 ‘싸이’ 트위터와 관련하여 의사사회 현상에 대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조사 결과 ‘싸이’ 트위터에 메시지를 보낸 집단과 단순히 팔로우 한 집단에서 의사사회 현상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여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TV와관련된 주요 이론 중의 하나인 의사사회현상 이론이 뉴미디어라고 볼 수 있는 트위터 관련 현상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싸이’의 트위터에 메시지를 보내고, 팔로우 한 집단들에서 의사사회 현상이 드러나는 결과는 적극적인 수용자일수록 연예인과 관계맺기를 원하고 친밀감을 느끼는 효과를 가져왔다고 점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e role of media character having significant influence on mediausership have been explored by Horton and Wohl(1956). They arguedthat media personalities – being attractive, friendly, attentive and frequentfoster pseudo-friendship and thus draw media audience into morefrequent use of the media. The current stdy examined now-famous PsyTwitter account using parasocial interaction twitter scale(PITS). Resultsindicated that the parasocial phenomena can be applicable to the studyand evaluation of Twitter account and Twitter users can utilize this informationto make a better online communication between users andfollow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