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상적 평화 : 미시적 평화담론의 한반도 적용과 의의

        허지영 ( Heo¸ Ji Young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1 통일과 평화 Vol.13 No.2

        한반도의 평화논의는 남북한의 정치적인 통합에 치중하며 평화의 다양한 개념과 형태를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통일중심 평화논의를 확장하고자 갈등사회를 살아가는 평범한 개인들이 일상에서 주체적으로 만들어가는 미시적 차원의 평화적인 행동양식과 사고방식에 주목하는 일상적 평화이론을 고찰한다. 국제기구나 서구국가가 중심이 되어 자유주의 체제를 분쟁지역에 일률적으로 이식하는 방식의 자유주의 평화구축에 대한 비평적 성찰을 바탕으로 등장한 개념이 포스트자유주의 평화 담론이다. 평화구축 과정에서 갈등지역의 고유한 역사, 정치, 사회적 맥락의 중요성과 주체적인 행위자로서 지역주민의 참여를 강조한다. 일상적 평화는 포스트자유주의 담론 중에서도 갈등사회의 가장 미시적인 차원에서 일상을 살아가는 개인들의 평화적인 행동과 사고방식, 그리고 미시적 차원의 평화활동이 거시적인 사회체제나 구조와 영향을 주고받는 평화의 구성성에 주목하는 개념이다. 본 연구는 일상적 평화의 정의와 특징을 맥긴티의 이론을 중심으로 소개하고 정치적이고 구조적인 차원에 치중하는 평화이론들과 차별화되는 일상적 평화의 의의와 한계 그리고 확장성에 대해 고찰한다. 일상적 평화이론은 통일이라는 거대 담론을 넘어 한반도의 평화논의를 다양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everyday peace, based on the critical perspective that varieties of peace have not been considered in the dominant unification discourse in South Korean society, which focuses on the political integration of the two Koreas. Everyday peace refers to the routinized pro-peace and pro-social practices by individuals and collectives living in deeply divided post-conflict societies. Everyday peace, one of post-liberal peace discourses which emerged as a critique of liberal peace, a dominant form of peace-support intervention, occurs in spaces or localities over which individuals and communities exercise limited control. Everyday peace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attempts to go beyond the dichotomies in peace and conflict studies of local vs. global or agent vs. structure. This article closely studies the theory of everyday peace focusing on Mac Ginty’s research, discussing its scalability as well as its limits. As a liberal-local hybrid form of peace, everyday peace can contribute to diversifying the peace and unification discourses in South Korea, in which peace is often regarded as political processes for un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