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티볼 참여 지적장애학생의 표정정서인식력, 정서행복, 사회성 기술과의 관계

        백재근,김현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022 재활복지 Vol.2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티볼 종목에 참여한 지적장애 학생의 표정정서인식력, 정서행복 그리고 사회성 기술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전북지역 특수학교, 일반학교 특수학급, 시설에 소속하고 운동발달센터, 특수심리발달센터, 생활체육 지원사업 운영기관, 등에서 운영하는 티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지적장애 힉생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으 로 분석하여 통계적 유의성 여부를 판단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티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지적장애학생의 표정정서인식력, 정서행복, 그리고 사회성 기술과의 관계는 부분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표정정서인식력은 긍정정서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정서는 자기주장, 협력, 자아통제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정정서는 사회성 기술력의 하위요인인 자아통제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표정정서를 인식하는 능력이 증가할수록 긍정정서가 증가하게 되고, 그 결과 사회성 기술력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지적장애학생의 특수체육수업 정서경험, 표정정서인식력, 정서지능과의 관계

        백재근 ( Jae Keun Baek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5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체육수업에서 지적장애 학생의 정서경험, 표정정서인식력, 그리고 정서지능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수학교와 일반학교에 재학 중이고 특수체육수업 또는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지적장애 초등, 중등, 고등학생 2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특수체육수업 정서경험과 관련된 설문은 특수체육수업을 담당하는 특수체육교사가 지적장애학생들의 특수체육수업 시에 경험한 행동에 대한 면담을 요청하였고, 정서지능은 담임교사에게 지적장애학생들의 학교생활에서 경험한 행동에 대한 대답을 요청하였다. 표정정서인식력 검사는 담임교사의 도움을 받아 연구자가 직접 1대 1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 상관분석, 구정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쁨과 같은 긍정정서는 다른 사람의 얼굴표정에 나타난 정서를 읽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정서지능의 모든 하위영역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슬픔의 정서는 정서지능의 하위영역인 정서인식, 정서조절, 타인정서,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려움 정서는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노 정서는 정서인식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정서조절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혐오 정서는 타인정서와 정서조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지적장애학생들이 특수체육수업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정서경험은 정서지능을 발달시키기도 하고 억제시키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causality between emotional experience,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and emotion intelligence at special physical education class among intellectual disability students. To attain the goal, this researcher selected 222 intellectually disable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ttending special and general school and participating in special physical education class or the program. The data collected went through mean value, standard deviation, and correlation analysis as well as analysis wit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by using SPSS 18.0 and AMO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has been found that positive emotion such as joy not only helps them to figure out emotion appearing in others’ facial expression but also improves all the subareas of emotion intelligence. Emotion of sadness influences positively the subareas of emotion intelligence, for example,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control, other emo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Emotion of fear influences interpersonal relationship positively. Emotion of anger influences emotional awareness positively but emotional control negatively. Emotion of hatred influences other emotion and emotional control negatively. In conclusion, various emotional experiences that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s get to have in special physical education class either develops or suppresses their emotion intelligence.

      • KCI등재

        지적장애인을 위한 표정 정서 인식력 측정도구 개발

        백재근(Baek, Jae Keun),김동환(Kim, Dong Hwan),전혜자(Chun, Hea Ja)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4 재활복지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인을 위한 표정 정서 인식력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척도개발, 척도수정,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의 3단계 절차가 진행되었다. 척도개발 단계에서 기쁨, 혐오, 슬픔, 분노, 두려움 표정 30개를 수정하였다. 수집된 30개의 문항은 척도수정 단계에서 18개의 문항으로 수정되었다. 개발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단계에서, 199명의 지적장애인과 165명의 비장애인이 표정 정서 인식력 측정도구에 응답하였고, 지적장애인 199명의 친사회적 행동 평가는 지도교사 또는 특수체육교사에게 요청하였다. 그리고 지적장애인이 작성한 표정 정서 인식력과 지도교사 또는 특수체육교사가 작성한 지적장애인의 친사회적 행동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적장애인의 표정인식력과 친사회적 행동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표정인식력은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할 것이라는 가설 하에 상호작용이 높은 종목과 낮은 종목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상호작용이 높은 운동종목이 낮은 종목에 비해 표정 정서 인식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가 타당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the scale of recognition ability of emotional facial expression for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tudy procedure for scale were appled 3-steps of scale development, scale modification, and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30 facial expressions revealed; joy, disgust, sorrow, angry, fear were collected from related book and web-site in scale development. Collected 30 items of facial expression were modified in 18 facial expression items via expert discussion. 199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166 individuals without disability was respond in modified scale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Adap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 or guidance teacher were requested to evaluate Intellectual disability students'prosocial behavior. In addition, correlation analysis which was between face expression recognition-written by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and prosocial behavior-written by adap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 was conducted. As a results, recognition ability of emotional facial expression completed by intellectual student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ellectual students' prosocal behaviors evaluated by special teachers. Also in compared group, exercise type of high interaction group is high significantly in recognition ability of emotional facial expression compared with low interaction group. This results means that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is validity.

      • KCI등재

        지체장애인의 운동참여와 심박변이도(HRV), 표정정서인식력과의 관계

        김동환(Dong hwan Kim),백재근(Jae keun Baek)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6 재활복지 Vol.20 No.3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들의 운동참여와 심박변이도(HRV), 표정정서인식력의 인과관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목적표집법(purposive sampling)을 이용하여, 장애인 볼링 및 론볼 대회에 참여한 참가자와 충남지역의 생활체육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지체장애인 1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경기장과 클럽활동 시설에 직접 방문하여 연구목적을 구체적으로 설명을 한 후, 연구 참여에 동의한 대상자에 한해 운동량, 심박변이도(HRV), 표정정서인식력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SPSS 18.0,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 상관분석,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되었고, 그 결과, 지체장애인들의 운동량은 자율신경계의 교감활성도와 부교감 활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체장애인들의 운동경력은 LF/HF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교감 활성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체장애인의 교감활성도는 기쁨 정서인식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량은 슬픔 정서인식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지체장애인의 자율신경계와 표정정서인식력에 어떻게 관련성이 있는지 그 메카니즘에 대해 논의되었다. The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physically disability persons participation in exercise, heart rate variance, and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To achieve such research goal, this study targeted 139 physically disability persons and as for sampling, purposive sampling method was applied. After visiting a sporting stadium and club facilities that sporting events were held and explaining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n detail, only with those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their heart rate variance and facial emotion awareness were measured. With the results of measurement, mean value, standard devi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ng model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quantity of exercise positively affected sympathetic activity and parasympathetic activity of autonomic nervous system. Exercise history of physically disability person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LF/HF, and it had a negative influence on parasympathetic activity. Sympathetic activity of physically disability persons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recognition of the emotion, happiness, while the quantity of exercise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recognition of the emotion, sadness.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how those mechanisms that are relevant to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of physical disability pers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