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편집지적도와 수치영상을 활용한 필지면적 분석

        민관식,김재명 한국국토정보공사 2011 지적과 국토정보 Vol.41 No.1

        Cadastral maps are recently increasingly being used in diverse fields such as urban planning, corporate and private activities involving land, and exercising of rights of property; however cadastral maps are being manufactured on the basis of on-site manual surveying. Thus, this research presents a comparative analysis of parcel area by land category, surveyed land size, and land size as registered in the books, by overlapping digital image and compilation cadastral map. The surveyed land size in target areas was obtained through a total station surveying, and was compared with the land size in the overlapped images, thereby confirming that the method of calculating land size using overlapped images below standard deviation ± 0.25㎡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Furthermore, surveyed land size and registered land size by plot of land were compared, suggesting that the land size was in the range of standard deviation ± 49.19㎡, and the road area size was in the range of standard deviation) ± 9.10㎡; overlapped images and registered land sizes were compared, confirming that the land size was in the range of standard deviation ± 49.17㎡ and the road area size was in the range of standard deviation ± 9.44㎡.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possibility was verified that overlapped images produced from digital image can be used effectively, application data of city planning and it is expected that if this method is used in the future large-scale cadastral surveying projects, it will be more effective than the manual surveying method. 최근 도시계획이나 기업 및 개인의 토지 활동, 재산권 행사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지적도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적도 제작은 여전히 현장실측 등 상당부분 인력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5년 대전광역시 동구 판암동 달기장골 일대를 대상으로 취득한 수치영상과 편집지적도를 중첩하여 지목별 실측면적과 대장상의 면적에 대한 비교․분석을 실시했다. 중첩에 사용된 수치영상을 통하여 기존의 지적도에 가시적인 효과를 부여하여 현장조사 없이도 필지상의 식생과 건축물 등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대상지역의 실측면적은 토털스테이션 측량을 통해 획득하였으며, 수치영상의 면적과 비교한 결과, 표준편차가 ±0.25㎡ 이하로서 중첩영상을 이용한 면적산출 방법이 필지면적을 산출하는 대안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필지별 실측면적과 대장면적을 비교한 결과 대지의 표준편차는 ±49.19㎡, 도로는 ±9.10㎡이었으며, 중첩영상 면적과 대장면적 비교에서는 대지의 표준편차가 ±49.17㎡, 도로는 ±9.44㎡로서 대장면적에 오차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 결과에 의거하여 디지털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수치영상으로부터 제작한 중첩영상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였으며, 이 중첩영상이 도시계획 수립이나 대단위 지적조사사업에 적용된다면 인력에 의한 실측방법에 지대한 효율성을 더하리라 기대된다.

      • 항공사진 기반 하수 지하시설물도 시범구축

        민관식,최민호,Min, Kwan-Sik,Choi, Min-Ho 한국공간정보학회 2011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9 No.6

        본 연구에서는 지하시설물도 구축에 기존의 수치지도 및 편집지적도의 대안으로 가독성 및 일반인의 접근성을 높인 항공사진을 사용하여 하수 지하시설물도를 시범구축 하였다. 구축된 하수 지하 시설물도는 기존의 편집지적도기반 지하시설물도와 연계하여 그 활용 가능성 및 정합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지적도와 항공사진을 융합하여 지하시설물도를 구축 활용하면 지하시설물에 대한 다양한 공간정보 분석과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통합정보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고도정보화 사회에서 항공사진을 이용한 지하시설물도 작성은 관리기관별로 존재한 도면 및 기존 도면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통합관리를 위한 기본도로서의 구실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항공사진을 이용한 하수 지하시설물도 구축 정보는 앞으로 도시정보시스템 구축에 연계하여 체계적인 도시계획의 수립 및 관리의 효율 성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establish sewerage underground facility map using aerial photograph with high readability and accessibility as an alternative of digital map and compilation cadastral map. A study on utility and consistency of established sewerage underground facility map in line with the current continuous cadastral map of underground facility was carried out. If underground facility map is established and utilized by converging digital image and compilation cadastral map, various spatial information analysis and systematic and integrated information utilization is available. The drawing of underground facility map using aerial photograph in this highly information-oriented society shall play a role in basic map for integrated control as an alternative of problems in the current drawing and designs created and managed by controlling institutions. In addition, the information of sewerage underground facility map using aerial photograph shall be used for establishing systematized urban planning and control.

      • KCI등재

        항공사진 기반 하수 지하시설물도 시범구축

        민관식,최민호 대한공간정보학회 2011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19 No.6

        This study attempts to establish sewerage underground facility map using aerial photograph with high readability and accessibility as an alternative of digital map and compilation cadastral map. A study on utility and consistency of established sewerage underground facility map in line with the current continuous cadastral map of underground facility was carried out. If underground facility map is established and utilized by converging digital image and compilation cadastral map, various spatial information analysis and systematic and integrated information utilization is available. The drawing of underground facility map using aerial photograph in this highly information-oriented society shall play a role in basic map for integrated control as an alternative of problems in the current drawing and designs created and managed by controlling institutions. In addition, the information of sewerage underground facility map using aerial photograph shall be used for establishing systematized urban planning and control. 본 연구에서는 지하시설물도 구축에 기존의 수치지도 및 편집지적도의 대안으로 가독성 및 일반인의 접근성을 높인 항공사진을 사용하여 하수 지하시설물도를 시범구축 하였다. 구축된 하수 지하시설물도는 기존의 편집지적도기반 지하시설물도와 연계하여 그 활용 가능성 및 정합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지적도와 항공사진을 융합하여 지하시설물도를 구축 활용하면 지하시설물에 대한 다양한 공간정보 분석과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통합정보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고도정보화 사회에서 항공사진을 이용한 지하시설물도 작성은 관리기관별로 존재한 도면 및 기존 도면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통합관리를 위한 기본도로서의 구실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항공사진을 이용한 하수 지하시설물도 구축 정보는 앞으로 도시정보시스템 구축에 연계하여 체계적인 도시계획의 수립 및 관리의 효율성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