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푸코와 우리 시대의 건강 담론-의료화 현상과 관련하여

        홍은영 ( Eun Young Hong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4 철학연구 Vol.0 No.50

        이 글에서는 현재의 관점에서 보편적 담론으로 인식되고 있는 우리 시대의 건강 담론에 대한 이해의 과정 및 체험이 보편적인 것인지 아니면 우리 시대에 특수한 담론에 불과할 뿐인지를 푸코의 담론이론을 통해 접근해봄으로써 의료화를 매개로한 우리 시대의 건강담론이 형성하는 이 시대의 현상들을 탐색하며 그 극복 가능성을 푸코의 후기 사상을 통해 모색해보고자 한다. 즉, 지배 담론에 저항할 수 있는 주체의 공간을 열어 비판적 성찰을 통한 새로운 사유와 실천의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종래의 의료 비판이 제기하는 문제와 그 목적을 구명하고 푸코의 사상적 틀 내에서 이러한 문제를 다르게 조망하는 것은 큰 생산적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종래의 의료화 비판가들이 제기하는 문제 틀의 위치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하고 그러한 대안이 갖는 한계지점을 명료히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푸코의 후기 사상을 통해 제시된 자기 배려의 기술을 통해 기존의 제도와 틀에 저항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여 자율성의 영역을 확보하는 것은 진행 중인 의료화 현상을 보다 주체적으로 접근할 수 있게 도와준다. 물론 이런 방법을 통한 자율성 회복이 그 실천과정에서 어떤 새로운 문제들을 파생시킬지는 앞으로 더 깊이 검토해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discourse on health is specifically valid to our time or universally valid to all the times. By applying Foucault’s theory of discourse and genealogical method to the discourse on health we can analyze the meaning and structure of health discourse in our time. We can explore perceptions, understandings, and experiences of health of which the discourses on health in different historical times have been composed. Through examination of many different discourses of health in different times with help of Foucault’s theory of discourse we can find a way of understanding the modes of which meanings of human beings’ health have been socially defined and constructed by societies in different times. In this paper, I interrogate the notion of medicalization and explore the ways that a Foucault’s perspective may contribute to understandings of power in relation to medical knowledge and prctice and the medical encounter. I would argue that insights derived from a technology of the self informed by Foucault’s later work on the practices of the self may go some way to meet this probl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