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카타(形), 타오루(套路), 품새의 비교분석을 통한 태권도 품새경기의 방향성 모색

        송남정,임신자 한국체육철학회 2012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0 No.1

        This research is Qualitative Case study to aim at investigating the proper directivity of Poomsae competition, Korean Taekwondo, by examining and analysing the 2010 competition rules of Kata competition, Japanese Karate, and Taolu competition, Chinese Wushu. To this end, the related literature was referred and other data were considered, with in-depth interviewing, so as to draw the conclusion. As for the analysis of data, the result an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as achieved by modifying and applying the 4 step method for comparison that had been created by Bereday(1964). To assure the veracity of the study of quality in the analysis of data, the triangulation, the conference of experts and the review of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carried out. Resul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into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 of competition system: Kata and Taolu competitions shows various types of contests, therefore, no monotony, but persue the elite sports concentrating on children and young people; Poomsae competition pursues to expand the base of training people from all ages, but shows monotonous games with 13 recognized types of Poomsae.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into the difference of scoring criteria and system: as for Kata competition, it is entirely judged by referees with the qualitative criteria, thus, its objectivity is enhanced by selecting and training referees strictly; as for Taolu competition, its objectivity is enhanced by adopting detailed and objective scoring criteria and scoring system which assigns each judgement area to each referee by groups, but the scoring criteria is concentrated on the form; as for Poomsae competition, as the institutional system to select and train the referees is yet insufficiently set up, the scoring system is quite formal. Second, to develop the Poomsae competition, the diversification of Poomsae competition and the reinforcement of the referee's judgement and the scoring criteria were considered. 본 연구는 한국 태권도 품새와 유사한 일본 가라데의 카타, 중국 우슈의 타오루의 2010 국제경기규정을 조사․비교분석하여 태권도 품새경기의 올바른 방향성을 모색하는 질적 사례연구(Case study)이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확보하였으며, Bereday(1964)의 4단계 비교방법론을 수정, 활용하여 심도있게 분석‧해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연구의 진실성 확보를 위해 다각검증법과 전문가 회의 그리고 연구 참여자 검토 등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경기방식의 특성에 있어서, 카타와 타오루경기는 다종의 품새 경연으로 태권도보다 단조로움은 없었으나, 아동․청소년층에 집중된 경기형태를 추구하고 있었고, 반면, 품새경기는 13가지의 공인품새 경연경기로 단조로운 경기를 운영하고 있지만 다양한 연령의 선수층으로 품새 수련인구의 저변확대를 추구하고 있었다. 심판 및 채점기준의 특징과 차이점에 있어서, 카타경기는 정성적인 기준으로 전적으로 심판의 판단에 의해 승패를 결정하고 있었으며, 타오루경기는 세분화된 채점기준과 심판원의 각기 정해진 담당분야를 나누어 객관성을 높이고 있었다. 반면, 품새경기는 제도적 정립이 미흡하여 형식적인 채점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으로 나타났다. 둘째, 태권도 품새경기의 발전방향성은 두 가지로 모색되었다. 먼저, 경기를 다양화를 이루기 위한 경기용 품새의 제정이 필요하고, 다음으로 심판판정 및 채점기준의 강화를 위한 엄격한 제도적 정책과 단순화된 채점기준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