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출판정책의 기본방향 정립을 위한 고찰

        남석순(Nam Seok-Soon) 한국출판학회 2007 한국출판학연구 Vol.0 No.53

        이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서 한국 출판정책 기본방향의 재정립을 논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출판정책과정에서 기본방향은 정책의 전반을 아우르는 좌표의 역할을 수행한다. 기본방향의 논의를 위해서 출판정책의 법률적, 이론적 배경의 탐색을 바탕으로 출판정책의 기본방향을 제시하였다. 법률적 배경과 이론적 배경의 검토를 통한 출판정책의 기본방향은 〈국민의 지식문화복지의 향상〉을 구현하는데 두어야 한다고 명확하게 말할 수 있다. 이러한 바탕위에서 〈국가경쟁력 제고〉보다는 〈국민의 지식문화복지의 향상〉을 우선 가치로 설정하고 이에 맞는 정책의 심도있는 개발이 요구된다. 국민은 개인과 집단으로 구성되며 이들의 지식문화복지 충족과 개발이 이루어져야 국가의 지식문화의 경쟁력이 확보되며 이를 통하여 출판지식산업도 융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출판지식산업의 기반시스템을 공고히 하고 성장동력 개발에 집중해야 한다. 기반시스템은 출판휴먼웨어, 출판하드웨어, 출판소프트웨어로 구별되며, 성장동력은 출판지원동력, 출판생산동력, 출판유통동력, 출판소비동력이 유기적으로 개발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출판정책의 관점이 출판지식산업 자체만을 분절시켜 보지 말고 문화산업의 전반의 관점에서 보아야 하며, 글로벌 출판의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reestablish the basic directions of publishing policies in Korea. In executing publishing policies, the basic directions play the role of coordinates directing the general trend of the policies. In order to discuss the basic directions, we explored the legal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publishing policies and suggested new basic directions of publishing policies. First, the basic direction of publishing policies should be set in 〈the enhancement of people’s welfare of knowledge and culture〉. Based on the direction, priority should be given to 〈the enhancement of people’s welfare of knowledge and culture〉 rather than 〈the enhancement of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corresponding policies should be developed through in-depth research. Second, competitiveness in the publishing and knowledge industry begins with satisfying individuals’ and groups’ desire for the welfare of knowledge and culture. People are composed of individuals and groups,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in knowledge and culture can be attained through satisfying their desire for the welfare of knowledge and culture, and through this, the publishing and knowledge industry can prosper. Third, the base systems and elements of the publishing and knowledge industry should be solidified. The base systems are substructure for the prosperity of the publishing and knowledge industry, and they can be divided into publishing humanware, publishing hardware, and publishing software, and they can be divided again into driving force for publishing support, driving force for publishing production, driving force for publishing distribution, driving force for publishing consumption. Fourth, for the revival of the publishing and knowledge industry, efforts should be concentrated on developing driving force for growth. Driving force for the revival of the publishing and knowledge industry should be found in the structure of 〈support ? production ? distribution ? consumption〉. It is because the base and growth of the publishing and knowledge industry come from solid support system, producers’ competitiveness, healthy distribution system, and active consumption. Fifth, competitiveness in global publication should be attained. Publishing policies should not view the publishing and knowledge industry separately but see it as a part of the cultural industry, and need new approaching strategies to secure competitiveness particularly in East Asia by region and in the IT industry by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