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산 외암마을 토속경관의 문화유산적 가치

        신상섭 국립문화재연구원 2011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4 No.1

        During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many rural villages in Korea have experienced degeneration and breakdown, losing sustainability. However, Oeam village in Asan City, South Chungcheong Province (State-designated cultural heritage, Important Folk Material No. 236) has established itself as a unique folk village, which evolves with sustainability, pursuing the revival of Neo-traditionalism. Oeam village is a tribal village of the Yis from the Yean region and has maintained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sustainability and soundness for over five centuries. Thus, the village has sustained itself well enough to be a cultural asset with‘ Outstanding Universal Value’, in terms of its value as world cultural heritage. The village maintains its own identity, filled with a variety of traditional and scenic cultural assets that symbolize a gentry village. Those assets include Confucian sceneries (head family houses, ancestral shrines, tombs, gravestones, commemorative monuments, and pavilions), various assets of folk religion (totem poles, protective trees at the entrance of a village, shrines for mountain spirits, village forests),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assets related to daily lives (vigorous family activities, rigorous ancestral rituals, family rituals, collective agriculture and protection of ecosystem), which have all been well preserved and inherited. In particular, this village is an example of a well-being community with a well-preserved folksy atmosphere, which is based on environmentally sound settlements (nature + economy + environment + community) in a village established according to geomancy, East Asia’s unique principle of environmental design. In addition, the village has kept the sustainability and authenticity for more than 500 years, combining restraint towards the environment and the view of the environment which respects the natural order and cultural values (capacity + healthy + sustainability). Therefore, the Oeam folk village can be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folksy and scenic Korean community which falls into the category of Ⅳ (to exemplify an outstanding type of building, architectural or technological ensemble, or landscape which illustrates significant stages in human history) and Ⅴ (to exemplify an outstanding traditional human settlement, land-use, or sea-use which is representative of cultures, or human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especially when it has become vulnerable under the impact of irreversible change) of Unesco’s World Cultural Heritage. 근대화 과정에서 우리나라의 수많은 농촌마을은 문화경관적 건전성을 상실한 채 변질이나 해체과정을 경험하고 있다. 그러나 충청남도 아산에 위치하는 외암마을(국가지정 문화재 중요민속자료 제236호,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은 신전통주의 부흥을 추구 하며 지속성을 유지한 채 한국의 대표적인 민속마을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외암마을은 예안이씨 동족마을로 500여년의 긴 역사 동안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지속성과 건전성을 지켜온 민속마을로서 문화유산적 가치 측면에서‘Outstanding Universal Value’의 필요충분조건을 갖춘 토속경관 사례이다. 유교적 문화경관 지표물(종가, 사당과 묘역, 신도비, 정려와 송덕비, 정자 등)과 다양한 민간신앙 요소(장승과 솟대, 당산목, 산신당, 마을숲 등), 그리고 유·무형의 생활문화(활발한 문중활동과 엄정한 조상숭배 의례, 가계계승의식, 공동체 농경문화 및 생태환경의 보존 등)를 지속성있게 전승함으로써 전통시대 양반촌을 상징하는 보편성과 완전성, 그리고 진정성을 유지한 채 정체성을 표출하고 있다. 특히, 동아시아의 독특한 환경설계원리인 풍수지리적 관점에서 마을을 자리 잡기하여 환경적으로 건전한 정주공간(nature + economy + environment + community)을 구축함으로서 토속성 짙은 문화경관을 완성한 사례가 되는데, 외암오산(광덕, 설아, 송악, 월라, 면잠)과 외암오수(용추, 인곡, 반계, 역천, 온정)와 같은 광역 생태문화경관의 보전과 같은 자연 환경의 절제, 그리고 생태환경의 질서와 문화적 가치를 중시하는 환경관(capacity + healthy + sustain-ability)을 결합하여 지속성과 진정성을 지켜나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외암마을 토속문화경관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록기준 Ⅳ(인류역사의 발달단계를 보여주는 뛰어난 유형의 건축물이나 건조물 집합체 또는 조경유산)와 Ⅴ(뛰어난 유형의 전통 인간 거주지 또는 급격한 변화로 파괴의 위험에 직면한 문화의 대표적 유산으로서 토지에 기반을 둔 유산)의 범주에 포함되는 우리나라 공동체 사회의 대표적 사례가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