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문장편소설 인물들의 갈등과 화병(火病), 치유의 문제

        염원희(Youm, Won-Hee)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0 한국민족문화 Vol.76 No.-

        본고는 국문장편소설에 등장하는 두 인물의 갈등과 질병을 통해 한국의 ‘문화 연계 증후군’인 화병을 이해하고, 그 치유의 문제를 조선시대 의학론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화병은 한국인의 독특한 문화적 환경에서 배태된 정신적 질병인데 신체적인 고통을 호소하는 것이 특징이다. 국문장편소설의 인물들은 다양한 질병 증상을 호소하는데, 대개 가부장제 하의 갈등이 주요 원인이 된다. 갈등은 다양한 감정을 양산하는데, 특히 억울함과 분노의 감정이 인물의 내면에 쌓이게 되면 화(火)를 유발한다. 이를 밖으로 표출하지 못하고 참게 되면 신체적인 문제가 나타나고, 때로는 폭력이나 폭언과 같은 갑작스러운 감정의 분출로 이어진다. 『완월회맹연』의 소교완은 가부장제 윤리에 위배되는 인물로 배척당하지만, 작품후반부에 개과천선하면서 표면적으로는 화병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그려진다. 이에 비해『유효공선행록』의 유연은 아버지, 동생과 갈등하면서도 효우한 인물로 칭송받았으나, 화를 분출하지 못하고 심병을 앓게 된다. 후반부에는 아들에게 화를 분출하고, 아내와 갈등하였으며 이후 급작스러운 죽음을 맞는다. 이는 조선시대 의학론의 관점에서 보면 소교완은 도덕적 인간으로 변화하면서 가족과의 관계를 회복하여 치유에 이른 것이며, 유연은 유교적 인간을 지향하였으나 제대로 된 감정의 해소나 타인과의 관계 회복에 이르지 못하여 화병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던 것으로 보았다. This paper aims at understanding Hwa-byung(mental or emotional disorder as a result of repressed anger or stress), a Korean ‘culture bound syndrome’, through the conflicts and diseases of two characters in Korean novels, and examining its healing in relation to the medical theory of Joseon. Hwa-byung is a mental illness that has originated from a unique Korean cultural background, and features the complaints of physical pain. The characters in the Korean novels complain about diverse symptoms, which are mostly due to the conflicts in the patriarchal system. The discord creates different emotions, and especially when the emotions of unfairness and anger are built up in the characters, anger(火) brings about Hwa-byung. When anger is not expressed outside but just endured, physical problems can appear, and sometimes it can lead to the sudden release of emotions, such as violent behaviors or words. So Gyo-wan in “Wanweolhoemaengyeon” is rejected as a person violating the patriarchal ethics, but in the latter part of the novel, he is depicted as reformed, breaking free from Hwabyeong and reborn as a new person ostensibly. On the other hand, Yu Yeon in “Yohyoseonhangrok” is praised as a devoted son even in the conflicts with his father and younger sibling, but gets stricken with Sim-byung(a mental illness) because he hasn"t been able to release his anger. In the latter part of the novel, he vents his anger to his son, comes into conflict with his wife, and later dies a sudden death. From the viewpoint of the medical theory of Joseon, So Gyo-wan turns into a moral person, recovers his relationship with his family, and reaches healing, while Yu Yeon seeks to be a Confucian man but fails to relieve emotions properly and to recover the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therefore seems to fail to break away from his Simbyu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