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독교 민중해방운동과 영성

        강원돈(Won Don Kang) 혜암신학연구소 2021 신학과교회 Vol.15 No.-

        이 글에서 필자는 한국에서 전개된 기독교 민중해방운동에서 형성된 영성을 분석했다. 기독교가 지배적인 종교로 자리를 잡지 못한 한국에서 기독교 민중해방운동은 민중이 주체가 되어 전개하는 해방운동에 기독교인들이 참여하는 방식으로 나타났고, 그러한 기독교인들이 민중해방운동에 참여한 경험에서 비롯된 신학이 민중신학이다. 1970년대에 하나님의 선교의 틀에서 민주화-인권운동과 민중운동에 개입한 현영학, 안병무, 서남동, 김용복 등 민중신학자들은 역사 안에서 펼쳐지는 메시아 통치에 민중이 주체로서 참여한다는 점을 부각했고, 민중의 역사 주체성을 사건의 신학, 증언의 신학, 성령론적-공시적 해석, 민중의 사회전기 등으로 설명하고자 했다. 민중신학은 메시아 통치의 역사성을 중시했다. 그것은 출애굽 사건, 원시 이스라엘, 예언자 운동, 묵시운동, 예수 운동 등을 통하여 또렷하게 드러났고, 그 운동의 기억을 전승하면서 오늘의 민중의 고난과 죽임당함과 저항에 온 몸으로 연대하는 기독교인들의 운동을 통하여 계속 실증되고 있다. 메시아 통치의 역사적 기억을 전승하면서 민중과 더불어 투쟁하는 기독교인들의 영성은 메시아적 영성으로 규정할 수 있다. 그것은 예언자적 영성이고, 묵시적 영성이고, 정치적 영성이고, 참여적 영성이다. 1980년대의 한국 민중해방운동에 대응하면서 민중신학은 소장 신학자들을 중심으로 급진화하였고, 민중해방운동의 필요 불가결한 일부를 이루는 기독교인 운동을 뒷받침하는 이론과 신학적 담론을 제공하였다. 소장파 신학자들의 민중신학은 역사적 현실관계에 대한 사회과학적 분석과 신학적 성찰을 해방실천의 맥락에서 통합하고자 했고, 실천과 유물론에 굳게 선 신학을 모색하고자 했다. 유물론적 신학은 메시아 통치의 역사성과 물질성을 중시하기에 메시아 통치를 관념론과 형이상학의 언어로 서술하는 것을 단호하게 거부한다. 그것은 유물론의 합리적 핵심을 지키고자 한다. 따라서 유물론적 신학은 역사적 현실관계들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현실관계들을 은폐하고 왜곡하는 갖가지 이데올로기를 가차 없이 비판하고, 민중해방운동의 전망과 전략을 명확하게 인식하고자 한다. 유물론적 신학은 유물론적 영성을 제시한다. 그것은 하나님의 정치에 충실한 메시아적 영성이지만, 하나님과 인간과 자연이 형성하는 관계들의 망상구조를 체화한 신독의 영성, 사회적 영성, 생태학적 영성을 통합하는 형식과 내용을 갖는다. In this article, I analyze the spirituality which has been formed in Christian movement for minjung liberation in Korea. In Korea, in which Christianity has not established itself as the dominant religion, the Christian movement for minjung liberation appeared as a mode of Christians’ participation in the liberation movement of minjung as subjects. Minjung theology was born from the experience of Christians who participated in the minjung liberation movement. In the 1970s Minjung theologians, such as Hyun Young-hak, Ahn Byeong-mu, Suh Nam-dong, and Kim Yong-bok, intervened in the democratization-human rights movement and the minjung movement in the framework of God’s mission(mission Dei). They focused that minjung participated as the subject in the messianic rule ‘in history’. They attempted to explain the minjung as subject of history through theology of events, theology of testimony, spiritual-synchronic interpretation, and social biography of minjung. Minjung theology emphasized the historicity of the messianic rule. It was evident through the Exodus event, the primitive Israel, the prophetic movement, the apocalyptic movement, and the Jesus movement. It continues to be demonstrated through the movement of Christians who transfer the memory of the messianic rule in history, and at the same time struggle in solidarity with the minjung who suffer, are brought unceasingly to death and resist. The spirituality of the Christians can be defined as messianic because they are oriented to the messianic rule in history and struggle with minjung. It is prophetic spirituality, apocalyptic spirituality, political spirituality, and participatory spirituality. In response to the minjung liberation movement in the 1980s, Minjung theology of younger generation has radicalized. It provided theories and theological discourse to support the Christian movement, which was an integral part of the minjung liberation movement. Such a Minjung theology attempted to integrate social scientific analysis and theological reflection in the context of liberation practice. It sought to seek a theology firmly founded on liberation practice and materialism. This theology has been called materialistic theology. It accentuates the historicity and materiality of the messianic rule, therefore it adamantly rejects to describe it in the language of idealism and metaphysics. It endeavors to keep the rational core of materialism. Therefore, materialistic theology scientifically analyzes historical relations of reality. It relentlessly criticizes various ideologies that conceal and distort real relations. It seeks to clearly recognize the prospects and strategies of minjung liberation movement. Materialistic theology presents materialistic spirituality. It is a sort of messianic spirituality that is faithful to God’s government in history. It has a form and content that unites personal spirituality before God(coram Deo), social spirituality, and ecological spirituality. It is because the materialistic spirituality is open to the network of relationships which God, human beings, and nature form.

      • KCI등재

        발 플럼우드의 철학적 애니미즘 연구 : 장소에 기반한 유물론적 영성 개념을 중심으로

        유기쁨 종교문화비평학회 2022 종교문화비평 Vol.42 No.42

        Val Plumwood(1939~2008) was an Australian leading ecological philosopher who criticized the dominant view of dualism and the human-centered worldview at the root of Western culture. In particular, Plumwood found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the harmful effects of the chronic material/ spirituality dichotomy of Western culture in animism captured in the religious culture and lifestyle of Aboriginal Australians. Plumwood’s philosophical animism reminds us that the world is not a human arena and that other non-human actors are forming complex networks, and asks us to establish conversational relationships with various actors in the world . In this paper, I analyze the ‘Philosophical Animism’ proposed by Val Plumwood focusing on the “materialist spirituality of place”, and examine the meaning of her discussion to us living in an era of ecological crisis. In Chapter II, under the title of ‘Return of the non-human’, Plumwood's Philosophical Animism is compared with the discussion of ‘Old Animism’ from a modern perspective and the ‘New Animism’. Chapter III examines Plumwood's discussion of the ‘materiality’ shared by the human and nonhuman worlds, under the premise of ‘materialistic spirituality’ to overthrow deep-rooted dualistic thinking. In particular, I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utility of Plumwood's strategy of focusing discussions on the ‘natural world’, unlike the general trend of New Materialisms that blurs the boundary between nature and culture, emphasizing the actor's powerful influence in this world. Chapter IV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on-human nature in Plumwood’s works, focusing on the concept of death and food, and pays attention to the differentiation of Plumwood's discussion compared to the deep ecologist Arnes Naess. Chapter V attempts to interpret Plumwood's discussion emphasizing the connection with the place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 capitalist world. 발 플럼우드(Val Plumwood, 1939~2008)는 서구 문화의 근저에 자리한 이원론과 인간중심적 세계관의 지배 관점을 비판한 호주의 대표적인 생태철학자이다. 그는 호주 원주민의 종교문화와 생활방식에서 포착되는 애니미즘에서 서구문화의 고질적인 물질/영성의 이분법적 사유의 폐해를 극복하고 세계와 관계 맺을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했다. 이 글에서 나는 플럼우드가 비인간 자연과의 공존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면서제안한 철학적 애니미즘 논의의 주요 쟁점을 물질성, 영성, 먹이, 죽음, 장소의영성, 탈자본주의 등의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을 시도했다. II장에서는 ‘비인간의귀환’이라는 제하에 근대적 시각에서 이루어진 ‘낡은 애니미즘(old animism)’ 논의, 일부 학자들을 중심으로 활발히 일어나는 ‘새로운 애니미즘(new animism)’ 논의와 비교해서 플럼우드의 철학적 애니미즘의 특징을 분석했다. III장에서는뿌리 깊은 이원론적 사유의 전복을 위하여 인간과 비인간 세계가 공유하는 ‘물질성’에 주목하는 플럼우드의 논의를 ‘유물론적 영성’이라는 제하에 살펴보았다. 특히 이 세계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사물의 행위자성을 강조하면서 이른바 자연과 문화의 경계를 무화하는 새로운 유물론 논의의 일반적 경향과는 달리, ‘자연 세계’에 논의를 집중하는 플럼우드의 전략의 특징과 효용에 대한 분석을시도했다. IV장에서는 ‘먹고 먹히는 세계’라는 제하에 죽음과 먹이 개념을 중심으로 플럼우드에게서 나타나는 인간과 비인간 자연의 관계성을 살피되, 심층생태학자 아느 네스와 비교하여 플럼우드의 논의의 차별성에 주목하였다. V장에서는장소와의 연결을 강조하는 플럼우드의 논의를 탈 자본주의적 세계 이해라는 측면에서 해석을 시도했다. 플럼우드는 영과 물질을 대립적인 것으로 여기는 서구문화의 고질적인 이원론을 거부하면서, 지상의 것과 물질적인 것을 긍정하고 인간과 비인간 세계의 연결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유물론적 영성’이란 개념을 전략적으로 내세웠다. 또한 애니미즘을 새롭게 소환해서, 지구에는 인간 이외에도 자신의 영향력을 발휘하며 저마다 역할을 하는 다양한 비인간 행위주체들이 존재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리고 생태학적 세계 속에서 신체화된 모든 존재는 다른 존재를 위한 먹이가된다고 역설하면서, 죽음에서 일어나는 물질의 순환을 긍정적으로 조명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플럼우드는 인간이 비인간 타자와 연대하고 ‘함께 서기’ 위한철학적 단초를 제시하려 했던 것이다. 나아가 그는 비인간 자연의 수많은 타자들이 저마다 영향력을 발휘하면서 서로 관계 맺는 세계에 대한 생태학적 감수성을계발하기 위해, 현실의 장소에 대한 경험적이고 감정적인 접근 뿐 아니라 자본주의적 공간관에 저항하는 비판적 접근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플럼우드가 제안한 철학적 애니미즘은 이 세계가 인간의 독무대가 아니며 또다른 비인간 행위주체/행위자/배우들이 복잡한 관계망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을우리에게 환기시키며, 이 세계의 다양한 배우들과 대화적인 관계를 수립할 것을우리에게 요청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